천간의 오합(6)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6)2) 日干을 제외한 합 우선 日干의 합에 대해서는 이정도로 이해를 하면 되겠고, 일간을 제외한 합의 경우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물론 기본적인 원리는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즉 합을 했으면 두 글자의 앉은 자리의 여건에 의해서 화하게 될것.. 풍수지리 2019.06.03
천간의 오합(5)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5)(2) 合의 유형 합에 대해서 종류를 논한다면 크게 봐서 日干이 포함된 合과 日干을 제외한 합을 이야기 할 수 있겠다. 이 둘의 사이에는 기본적인 원칙은 똑같다. 그러나 실제로 나타나는 해석법에 대해서는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구분을 해서 이해하는 .. 풍수지리 2019.06.02
천간의 오합(4)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4)★ 合은 混合, 化는 化合, 두 개의 각기 다른 성분이 뒤섞이게 되면 혼합이라고 말하는데, 합이라고 하는 것은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이것을 상추쌈으로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다. 큼지막한 상추 잎에다가 밥을 한숫갈 퍼얹고.. 풍수지리 2019.06.01
천간의 오합(3)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3)2) 合과 化의 이해 우선 合이라고 하는 글자에 대해서 좀 생각을 해보자. 자원의 풀이를 보면 사람인과 아래의 한일자로 보이는 것이 합해져서는 뚜껑이라고 하는 의미가 된다고 한다. 그리고 아래의 口(입구)자는 그릇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 풍수지리 2019.05.31
천간의 오합(2)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2)1) 干合이 어디서 나왔는가? 간합의 근원을 뒤지다 보면 어김없이 거룩한(?) 이름이 나타난다. 삼황(三皇)에 속하는 황제(黃帝)가 등장을 하기 때문이다. 황제는 의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한 공로가 대단한 것 같은데, 이것이 황제 자신이 스스로 .. 풍수지리 2019.05.30
천간의 오합(1)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의 오합(1) 合沖變化論(합충변화론)사주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난해한 것이 여러 가지 겠지만, 그 중에서도 지금부터 거론을 하게 될 合沖의 이치를 가장 명확하게 알아야 오진율(誤診率)을 줄이게 된다. 여기까지의 공부 수준이라고 본다면 아마도 합충에 .. 풍수지리 2019.05.29
형파해(5) 풍수지리(風水地理) 형파해(5)(13) 살이 있음 풀어야지 - 살풀이 흔히 하는 이야기가 가족간에 유난히도 잘 다투면 너랑 나랑은 아무래도 살이 찐 모양이야, 수수떡 한말 해가지고 어디가서 살을 풀어야 할려나봐. 라는 말을 쉽게 한다. 이 말은 살이 끼면 서로 불편하게 대한다는 점과 살을.. 풍수지리 2019.05.28
형파해(4) 풍수지리(風水地理) 형파해(4) 귀문관살(鬼門關殺)제목에서는 뭔가 그럴싸한 기분이 들기도 하는데, 어둡고 칙칙한 느낌이라고 해야 하겠다. 실제로 귀문관살을 감정에 응용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 것 같다. 어떤 분은 백호살 보다는 적중율이 좋다고 하기도 하니까 관심이 있으신 벗님.. 풍수지리 2019.05.27
형파해(3) 풍수지리(風水地理) 형파해(3) 해(害)의 구성과 결론해의 의미는 해를 끼친다는 정도의 미약한 흉살작용이다. 그리고 보통은 이러한 의미까지 부여해서 활용을 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이름은 역마살이나 도화살의 쟁쟁한 이름 앞에서는 명함도 못내미는 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는 해도 .. 풍수지리 2019.05.26
형파해(2) 풍수지리(風水地理) 형파해(2) 육파살(六破殺)명리서에서는 흔히 형충파해(刑 破害)라고 하는 말을 한다. 이들은 각각의 다른 의 미를 갖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는데, 그냥 묶어서 형충파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충의 작용은 가장 크게 비중을 두고 있다. 그리고 .. 풍수지리 2019.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