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오행론 (13)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 (13) 4. 금(金)(3)(2) 금의 마음 역시 금의 마음도 인생에 견주어서 생각을 해보도록 한다. 金의 기운 이 인생으로 따지면 중년을 넘어서 초로(初老)라고 볼 수 있겠다. 나이 로 치면 50대라고 보자. 이 때에는 뭔가 일생동안 벌여놓은 일에 대한 .. 풍수지리 2018.11.04
기초 오행론 (12)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 (12) 4. 금(金)(2)(1) 금의 본질 금에 대해서 생각을 해볼적에는 금속(金屬)을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 다. 더 나아가서는 광물질(鑛物質)도 생각해봐야한다. 금속이 광물질에 포함이 되기 때문이다. 금속 또는 광물질은 고열(高熱)을 받을수록 단 .. 풍수지리 2018.11.03
기초 오행론 (11)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 (11) 4. 금(金)(1)가장 강건한 성분이다. 그리고 의리(義理)를 가장 중히 여기는 성분 이기도 하다. 뜻이 통하는 벗과 어울리기를 좋아하지만, 운세가 불량할 적에는 자칫 침체가 잘 되는 단점도 있다. 혼돈→음→음중의 양→다시 음양으로 분리→십간.. 풍수지리 2018.11.02
기초 오행론(10)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10) 3. 토(土)(3)(2) 토의 마음 이번에는 정신적인 면에서 토를 살펴보도록 한다. 말은 이렇게 해도 실은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이 뒤범벅이 되어있다는 것을 느끼실 것이다. 그래도 가능하면 정신적인 면을 고려해서 설명을 드려본다. 토 의 본질에서는.. 풍수지리 2018.11.01
기초 오행론(9)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9) 3. 토(土)(2)(1) 토의 본질 토의 본질은 어느 것과도 연관을 맺고 있다는 점이다. 오행에서 토를 제외한 다른 네가지의 성분들은 서로 대립을 하지만, 토가 있음으로해 서 서로 화평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자평진전에서는 토는 충기(沖氣) 로써 발생했.. 풍수지리 2018.10.31
기초 오행론(8)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8) 3. 토(土)(1)인간은 흙에서 태어나서 흙으로 돌아간다고 하고, 그래서 흙을 인간 의 완전한 고향이라고 하겠다. 토는 언제나 그자리에 있으니 믿음과도 상응한다. 믿음이란 신용(信用)과도 같은 말이다. 흙은 또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성분이다. 그래서 .. 풍수지리 2018.10.30
기초 오행론(7)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7) 2. 화(火)(3)(2) 불의 마음 이번에는 불의 마음을 헤어려본다. 애초에 불의 마음은 정열적인 청 춘의 마음이라고 했는데, 특히 밝음이라고 하는 마음을 빼 놓을 수가 없다고 본다. 불은 그 자체가 빛이기 때문이다. 하늘의 별을 불이라고 보는 것도, 바로 .. 풍수지리 2018.10.29
기초 오행론(6)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6) 2. 화(火)(2)(1) 화의 본질 불이 폭발하는 성분이라고 볼적에 이것은 가장 화의 구조를 잘 대변 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가하게 한 방향을 응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분주하게 동서남북으로 뛰어 다니는 성분이라고 생각을 해보는 것이다. 그리.. 풍수지리 2018.10.28
기초 오행론(5)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5) 2. 화(火)(1)불은 밝음으로서 그 본성을 삼는다. 그래서 모든 것을 분명하게 처리 한다. 이를 일러서 예(禮)라고 한다. 그러나 또한 무례하기도 한 것이니, 지나치게 불이 많으면 예도 또한 무례하게 된다고 한다. 즉 지나친 사 양은 결례라는 말과.. 풍수지리 2018.10.27
기초 오행론(4)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4) 1. 목(木)(3)(2) 목의 마음 목의 형상에 대해서는 설명을 드렸는데, 이번에는 목에 해당하는 마음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한마디로 한다면 목의 마음은 미래지 향적이라는 것으로 대신할 수가 있을 것이다. 언제나 앞을 향해서 나간 다. 그 모델은 20.. 풍수지리 201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