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상생론(7)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7) 2. 육행(六行)은 무엇인가.(1)이렇게 오행에 대한 이야기를해 드렸는데 이번에는 또 웬엉뚱한 육행을 들고 나오는가? 하고서 의아해 하시는 분도 계실 것으로 생각 된다. 그리고 좀더 열심히 진리를 찾아다니신 분이라면 아, 그거! 하면 서 고개를 .. 풍수지리 2018.11.14
기초 상생론(6)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6) 1.五行의 상생(相生)(5) (5) 수가 목을 생한다(水生木) 이제 水生木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다. 물은 당연히 나무를 기른다. 나무는 물을 먹어야 살아나는 것이니, 천상 수생목은 나무가 물을 먹고 자라나는 것을 생각해 보면서 이해를 하는 것이 가장 빠르.. 풍수지리 2018.11.13
기초 상생론(5)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5) 1.五行의 상생(相生)(4)(4) 금이 수를 생한다(金生水) 금이 수를 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면 이렇게 말한다. 바위에서 생수가 나오는데 이것이 금생수의 이치라고 말이다. 바위 중에서도 물맛이 좋은 암석은 화강암지대이다. 화강암이 바닥에 깔린 .. 풍수지리 2018.11.12
기초 상생론(4)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4) 1.五行의 상생(相生)(3)(3) 토가 금을 생한다(土生金) 토가 금을 생하는 이치를 생각하기 위해서는 이암(泥岩)이나 퇴적암 (堆積岩)을 보면 실감이 난다. 흙이 쌓여서 오랜 세월이 경과하면 금으로 변한다는 이야기는 이 암석을 보면서 이해를 한다... 풍수지리 2018.11.11
기초 상생론(3)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3) 1.五行의 상생(相生)(2)(2) 화가 토를 생한다(火生土) 목의 원조로써 불이 생겨났다고 본다면 불은 또 토를 만들어 낸다고 하는 순환의 원리가 있다. 화가 어떻게 토를 생할까? 일단 가장 원시적인 방법을 생각해본다. 나무를 의지해서 불이 타고나면 그 .. 풍수지리 2018.11.10
기초 상생론(2)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2) 1.五行의 상생(相生)(1)五行은 각기 좋아하는 글자가 있는가 하면 싫어하는 글자도 있다. 그 러면 어느 오행을 얼마나 싫어하고 또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잘 이해한 다면 앞에서 배운 오행의 이치를 좀더 깊이 궁리하는 실마리가 되리라고 본다. 그럼 먼.. 풍수지리 2018.11.09
기초 상생론(1)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1)기본적인 오행의 독립된 상태에서는 간단하지만, 서로 만나는 과정에서는 또 별개의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그래서 서로 좋아하는 관계가 있는가 하면, 혹은 서로 싫어하는 관계도 성립하게 된다. 이름하여 五行生 克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 생하고 극.. 풍수지리 2018.11.08
기초 오행론(16)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16) 5. 수(水)(3)(2) 물의 마음 다른 것들도 인생에 비추어서 생각을 해봤으니 이번에도 한번 물과 인생에 대한 생각을 해보자. 흔히 하는 말이 사람은 늙어봐야 안다고 했다. 젊어서야 아무래도 상관이 없다는 말은 아니겠지만, 나이를 먹어 보면 그 사람이 .. 풍수지리 2018.11.07
기초 오행론(15)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15) 5. 수(水)(2)(1) 물의 본질 물은 아래로만 흘러간다고 한다. 눈으로 보기에도 그렇게 보이는데, 과연 물의 실상은 어떤가 생각을 해볼 일이다. 얼핏 보기에는 아래로만 흘러간다고 생각이 되지만, 실은 아래로 흘러가는게 아니라 응고하는 것이라고 생각.. 풍수지리 2018.11.06
기초 오행론 (14)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 (14) 5. 수(水)(1)만물을 적셔주는 물은 항상 움직이기를 좋아한다. 언제나 같은 자리에 머물기를 거부하니, 머물면 썩어버리기 때문이다. 생각이 많기 때문 에 얼핏보면 꿍꿍이가 많은 사람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간혹 음모가 많은 사람이나 사기꾼 등.. 풍수지리 2018.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