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4) 풍수지리(風水地理)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4)(3) 수가 화를 극한다(水剋火) 이번에는 수와 화의 관계를 생각해본다. 수는 화를 보면 못마땅해 한다. 수는 아래로만 내려가는 성분인데 반해서 화는 위로만 올려가려는 성분이다. 그러니 자신의 성격에 반하는 화를 이뻐하고 싶지가 .. 풍수지리 2018.11.24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3) 풍수지리(風水地理)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3) (2) 토가 수를 극한다(土剋水) 토와 수는 또 어떠한가? 흙은 물을 극한다. 물은 항상 흘러가는 것인데 토는 가만히 있는 것이다. 그래서 토와 물은 그 성분이 상이한 연고로 서로 사이가 좋지 않다고 본다. 사이가 나쁘니까 극을 한다. .. 풍수지리 2018.11.23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2) 풍수지리(風水地理)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2)(1) 목이 토를 극한다(木剋土) 우선 목부터 생각을 해본다. 나무와 흙의 관계는 어떤 관계인가? 나무로써는 위로 벋어 올라가야 하는 성질이 있고, 그렇게 위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흙에다가 뿌리를 내려야 가능하다는 간단한 이치 정도.. 풍수지리 2018.11.22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1) 풍수지리(風水地理) 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1)五行의 상극(相剋) 상생의 관계를 가정적인 관계라고 한다면 상극의 관계는 사회적인 관계라고 한다. 가정적인 관계에서는 이익계산에 대해서 대단하게 집착 하지 않는다. 가정에서도 계약관계라는 것이 간혹 있기도 하겠지만, 그 정.. 풍수지리 2018.11.21
기초 상생론(13)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13) 3. 화생금과 오행배치도의 연구 여기에서 다시 좀더 깊이 생각을 해보 도록 하겠다. 왜냐면 이 분야에 대해서는 뭔가 석연치 않은 점이 있어 서이다. 그래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좀더 생각했던 점을 언급하고 넘어 가야 각자 연구를 하시는데 참고가 될.. 풍수지리 2018.11.20
기초 상생론(12)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12) 2. 육행(六行)은 무엇인가.(6) (6) 금생기(金生氣)라고 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오행이 아니라 육행이라고 하는 주장이 나오는 항목이다. 금 에서 바로 물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일단 기라고 하는 것을 거쳐서 수 가 나오게 되는 것이.. 풍수지리 2018.11.19
기초 상생론(11)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11) 2. 육행(六行)은 무엇인가.(5) (5) 화생금(火生金)이지 화극금이 아니다. 사실은 낭월이가 육행설에 대해서 무시하려고 해도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은 바로 이 화생금이라고 하는 이론을 반박하기가 어려워서이다. 화생금이라는 이론은 이.. 풍수지리 2018.11.18
기초 상생론(10)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10) 2. 육행(六行)은 무엇인가.(4) (4) 죽은 나무는 토인가? 여기에서 잠시 이견을 제시해본다. 나무로 만든 가구(家具)가 있다고 한다면 그 가구를 목제(木製)가구라고 할 수는 있더라도, 토제(土製)가구라고는 하지 않을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상식이.. 풍수지리 2018.11.17
기초 상생론(9)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9) 2. 육행(六行)은 무엇인가.(3)(3) 토생화(土生火)이지 토생금이 아니다. 다음으로 토가 생하는 것은 불이지 금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다. 시체나 나무가 토로 화하면 그 곳에서 열이난다. 열이 나는 것도 자연발생 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 풍수지리 2018.11.16
기초 상생론(8)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상생론(8) 2. 육행(六行)은 무엇인가.(2) (2) 목생토(木生土)이지 목생화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생의 고리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수생목에 대해서는 동일한 원칙이므로 넘어가도록 하고, 다음으로 목생화라고 하는 부문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도록 .. 풍수지리 2018.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