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과 숫자의 구조(4)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과 숫자의 구조(4) 3. 三은 조절(調節)하려고 발생되는 기운(氣運)이다.이미 1과 2가 발생한 연유에 대해서 이해를 해봤다. 다음으로는 3에 대한 원리를 생각해보는데, 이 3도 역시 어느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1을 거치고 2를 거치면서 자연스럽.. 풍수지리 2018.12.24
천간과 숫자의 구조(3)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과 숫자의 구조(3) 2. 二는 열(熱)이 발생한다고 본다.냉혹한 공기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 움직임이 처음에는 미미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빨라진다. 마치 청용열차가 처음에는 천천히 고리에 매달려서 올라가지만 일단 가속이 붙어버리면 사람의 혼을.. 풍수지리 2018.12.23
천간과 숫자의 구조(2)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과 숫자의 구조(2) 1. 一은 天地의 출발점이다.1은 처음이다. 어떤 숫자던지 1로부터 시작을 하는 것은 우리가 익히 그렇게 사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견이 없겠는데, 실은 0부터 시작을 해야 한다는 말도 있다. 그러나 숫자라고 하는 것은 우리 사고방식으로는 일.. 풍수지리 2018.12.22
천간과 숫자의 구조(1)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과 숫자의 구조(1) 천간만의 상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 는데, 이또한 몇가지의 분류를 통해서 상당히 상세하게 연구를 해보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각각의 특성을 알아야 하겠는데, 아마도 생각보다는 상당히 만만치 않을 것이다. 지금부터 그 십천간의 각기 .. 풍수지리 2018.12.21
天干의 活要(15) 풍수지리(風水地理) 天干의 活要(15)(6). 간지학(干支學-명리학)의 활용 이렇게 상황을 이야기하면 마치 명리학이 만능인 것처럼 생각하실런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절대로 만능은 아니다. 다만 보다 자신의 삶에 충실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알고 사는 것과 모르고 되는대로 사는 것과는 많.. 풍수지리 2018.12.20
天干의 活要(14) 풍수지리(風水地理) 天干의 活要(14)(5) 배우자의 인연을 알 수 있다. 세상을 살기가 힘이 들다고도 하지만, 그 중에서도 배우자와의 인연은 참으로 여러 가지 면에서 만만치 않다. 가정이 가족단위로 줄어진 상황이기 때문에 두 사람의 인연은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질수밖에 없다고 보겠는.. 풍수지리 2018.12.19
天干의 活要(13) 풍수지리(風水地理) 天干의 活要(13)(4) 일의 시작과 마무리를 할 시기를 파악한다. 사람은 누구던지 일을 해야 살 수 있다. 그 일이 스스로 원해서든 원치않든 간에 무슨 일인가는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왕에 일을 하는 것이라면 언제 시작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인가를 파악하면 작전.. 풍수지리 2018.12.18
天干의 活要(12) 풍수지리(風水地理) 天干의 活要(12)(3) 직업의 적성을 알아볼 수 있다. 그 사람의 기본적인 마음을 헤아릴 수가 있다면 무엇을 하면 적성에 맞을 런지도 파악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BR>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종사를 하려고 한다. 그래서 무엇이 자신에게 맞는지를 알아 .. 풍수지리 2018.12.17
天干의 活要(11) 풍수지리(風水地理) 天干의 活要(11) (2) 사회적으로 얻는 지위를 알수 있다. 사주를 보고서 그 사람이 상등급에 속하는 사람인지 아니면 하천한 사람인지를 궁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살아가면서 어려운 지경에 처할 적마다 도와주는 사람이 있을 것인지, 또는 설상가상으로 고난만 따르.. 풍수지리 2018.12.16
天干의 活要(10) 풍수지리(風水地理) 天干의 活要(10) (1) 심리적인 구조를 파악한다. 그 사람이 어떻한 마음을 먹고 살아갈것인가를 알수 있다. 실제로 고통을 당하던지 행복을 얻는 것에도 그 원인이 있게 마련이다. 분수를 지키면 행복해지기 쉽고 분수를 어기면 고통을 얻게 될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 .. 풍수지리 2018.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