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干各論 乙木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乙木編(3)(2) 물질적인 관점 물질적으로 을목에 대한 설명은 갑목이 양목이라고 한 것에 반해서 을목은 음목(陰木)이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음목의 형태가 물질 로 나타난 경우는 주로 일년생 초목(草木)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보면 큰 차이가 없을 것.. 풍수지리 2019.01.13
十干各論 乙木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乙木編(2)(1) 두 번째 천간 乙의 의미 스포츠 경기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의미가 대단히 다르게 나타 난다. 그야말로 색깔이 다르고 연금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를 쓰고 1등을 하려고 하는 것이다. 2등은 이미 그 대우가 하늘과 땅 차이로 벌어지기.. 풍수지리 2019.01.12
十干各論 乙木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乙木編(1) 2. 乙 木(을목)우선 사전 속에서 乙木에 대한 항목을 찾아보도록 한다. 이미 짐작으로라도 알수 있는 의미는 두번째 천간 을 이라고 하는 것이 있을 것은 너무도 당연하겠다.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의미로써 둘째 을 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굽을 .. 풍수지리 2019.01.11
十干各論 甲木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甲木編(5) (4) 사주적(四柱的)인 관점 이미 인간의 관점에서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희망(希望)이라고 하는 점이 이야기 되었고, 이것은 심리적인 영향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더 이 상 말을 하지 안하더라도 충분히 짐작이 되고도 남음이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 풍수지리 2019.01.10
十干各論 甲木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甲木編(4)(3) 인간적(人間的)인 관점 이번에는 범위를 인간으로 좁혀놓고서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우선 가정으로 봐서는 가장(家長)이 갑목이다. 그리고 이것은 가장은 기둥이 라고 하는 의미에서 연결이 된다. 기둥은 그 집안을 떠받히고 있는 역 할이다. 가.. 풍수지리 2019.01.09
十干各論 甲木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甲木編(3)(2) 물질적(物質的)인 관점 물질적인 관점에서 갑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미 앞에서 말씀 드렸듯이 소나무를 연상하면 가장 근사치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아울러서 온갖 종류의 거목(巨木)들도 역시 갑목의 물질적인 관점으로 봐서 크게 벗어나지.. 풍수지리 2019.01.08
十干各論 甲木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甲木編(2)(1) 첫 번째 천간 甲의 의미 갑의 글자를 이해하기 위해서 사전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맨 처음에 있다는 것과 일등을 의미하는 뜻이 그 속에 들어있다는 점에 착안을 해본다. 이것이 가장 기본이 되는 글자의 의미라고 하겠다. 그래서 갑의 영향을 .. 풍수지리 2019.01.07
十干各論 甲木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甲木編(1) 1. 甲 木(갑목)十干各論 사주팔자라고 하는 것이 이 22자의 간지로써 모든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단순하게 볼수가 없는 것이 처음 공부를 하시는 입장에서는 매우 골치가 아프게 느껴질 가능성.. 풍수지리 2019.01.06
用神의 의미(5) 풍수지리(風水地理) 用神의 의미(5) 직업을 묻는다면 뭐가 용신?질문 중에는 당연히 어떤 일을 해야 행복하게 잘 살 수가 있겠느냐는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적성에 맞는지 또는 더 좋은 일이 있음에도 스스로 모르고 있는지 자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풍수지리 2019.01.05
用神의 의미(4) 풍수지리(風水地理) 用神의 의미(4) 4) 용신의 확대해석 기본적으로는 앞에서 설명 드린 내용이 용신의 의미라고 봐서 아무런 하자(瑕疵)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용신으로 그 사람의 시회성에만 관찰을 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좀더 넓은 의미로써 용신을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풍수지리 2019.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