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干各論 庚金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庚金編(2)(1) 일곱째 천간 庚의 의미 그렇다면 그 중에서 우리가 가장 필요로 하는 의미인 일곱째 천간으로써의 경에 대한 것을 좀더 생각해 보도록 하자. 우선 경금이라고 하는 것이 등장을 했다. 비로소 木火土에서 金으로 넘어가는 과정이라고 하겠는데, .. 풍수지리 2019.02.02
十干各論 庚金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庚金編(1) 7. 庚 金(경금)庚金에 대해서도 우선 사전적인 의미로써 이해를 해보도록 하자. 보나마나 맨 처음에 있는 것은 일곱째 천간 경이다. 방위로는 서쪽을 나타내고 오행으로는 금이라고 하는 설명이 붙어있다. 물론 이것은 우리가 좀더 상세하게 살펴봐.. 풍수지리 2019.02.01
十干各論 己土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己土編(3)(3) 사주적인 관점 기토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한다면 역시 포용성이 아닐까 싶다. 어느 한가지라도 버리지 않고서 보듬어 주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기토의 특 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남의 심중을 가장 잘 헤아려 주는 특성을 그대로 .. 풍수지리 2019.01.31
十干各論 己土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己土編(2)(2) 물질적인 관점 이미 앞의 상황에서 감은 잡으셨겠지만, 물질적으로 살펴볼 적에는 기토는 토양(土壤)이라고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戊土를 중정지기(中正之氣)로 본다면, 기토는 중앙토양(中央土壤)이라고 해야 맞을 것으로 생.. 풍수지리 2019.01.30
十干各論 己土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己土編(1) 6. 己 土(기토)여기에 오니까 자전(字典)에서도 약간 이상한 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에는 무조건 몇번째 천간 무슨자로 되어있었는데, 이번에는 맨 처음에 있는 의미가 약간 다르다. 과반수가 넘어가면서 약간 변화가 생기는 것일까? 몸 기가 일.. 풍수지리 2019.01.29
十干各論 戊 土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戊 土編(3)(3) 사주적인 관점 극단적인 양면을 보이는 사주 중에서는 단연 무토로 태어난 사람이 월등하다고 하겠다. 그동안 심리관계에 치중해서 사주를 풀어가는 과정 에서 오직 헛다리를 짚었다고 인정을 해야 하는 경우의 사주는 모두 戊土일에 태어난 .. 풍수지리 2019.01.28
十干各論 戊 土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戊 土編(2)(2) 물질적인 관점 이번에는 물질적인 관점에서 무토의 성분을 찾아보자. 우선 토 중에서도 陽土라고 한다면 아무래도 높은 산을 떠올리는 것이 가장 보편적 인 접근방법이겠다. 그렇다면 일단 산을 올라가봐야 하겠는데, 산도 막상 자세하게 살펴.. 풍수지리 2019.01.27
十干各論 戊 土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戊 土編(1) 5. 戊 土(무토)戊土에 대해서 사전을 찾아보면 아주 간단하게 단지 다섯째 천간 무 한가지 뿐이다. 아무래도 丁火에 대한 의미의 설명이 너무 많다 보니까 미안해진 자전이 간단하게 한가지만 올린 모양이다. 그리고 설명은 다소 긴편인데, 특히 오.. 풍수지리 2019.01.26
十干各論 丁火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丁火編(5)(4) 사주적인 관점 사주를 갖고 태어날적에 丁火로 태어난 사람은 그 영향을 받아서 항상 남의 입장을 고려하고 그의 편에 서서 살펴보려고 하는 포근한 마음씨를 소유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기본적으로 태어나면서 그러한 기운을 받고 나기 때문.. 풍수지리 2019.01.25
十干各論 丁火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丁火編(4)(3) 인간적인 관점 그렇다면 이러한 것을 사물에게서 배우고 나서는 이제 인간에게 점목을 시켜봐야 할 것이다. 이미 인체에 대해서는 연관을 시켜봤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부분적인 것일 뿐이다. 인간에게 정화를 접목시킨다면 또 어떻게 나타날.. 풍수지리 2019.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