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地支 各論 丑土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丑土에서는 냉기를 가득 머금고 있는 동토(凍土)를 연결지어보게 된 다. 겨울날 눈덮인 벌판이 축토와 연결되는 모습이라고 생각을 해본 다. 그렇게 얼어붙어서는 돌덩이처럼 단단한 형태도 있고, 서릿발처럼 얼음 .. 풍수지리 2019.02.22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1) 2. 丑 土(축토)丑土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자. 우선 축에서 떠오르시는 것은 아마도 소가 아닐까 싶다. 소도 기왕이면 힘찬 들소를 떠올리시는게 좋겠다. 어쨌던 축이라고 하는 글자에 대해서 일일이 분해를 해보도록 하자. 뭐든.. 풍수지리 2019.02.21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5)(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子月이 되면 五行들의 상황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를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마련해본 것이다. 하늘이 차가운 것으로 봐서 불의 기운이 약화되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 풍수지리 2019.02.20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4)(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大雪∼冬至) 계절적으로는 한겨울이다. 子月은 밤도 가장 길고 춥다. 이렇게 추운 겨울에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그냥 화롯가에서 밤을 구워먹으면서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를 듣는 것이 상책이 아닌가 싶다. 즉 삼라.. 풍수지리 2019.02.19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3)(3) 지장간의 원리(原理) 그러면 이제 지장간에 대한 이치를 대입시켜보도록 하자. 앞에서 몇 개의 월률분야에 대한 도표를 인용했으므로 서로 비교를 해보면서 설 명을 하도록 하겠다. 그럼 잠시 여러 개의 도표 중에서 자수(子水)의 부분에 해.. 풍수지리 2019.02.18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2)(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현재까지도 가장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이론이 바로 이 자수의 양면성에 대해서이다. 상당히 명망이 있으신 학자 분들끼리도 이 이야기에 대해서는 서로 입장이 다른 경우가 많은 것을 보면서 뭔가 정리를 하지 않.. 풍수지리 2019.02.17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子水編(1) 1. 子 水(자수)본격적으로 지지에 대한 연구로 들어가 보자. 가장 먼저 연구를 해볼 글자는 子水이다. 원칙으로는 그냥 子라고만 해야 하겠다. 이 자 의 대표적인 의미가 水이기 때문에 그냥 붙여서 子水라고 습관처럼 부르게 된다. 그러니까 .. 풍수지리 2019.02.16
十干各論 癸水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癸水編(3)(3) 사주적인 관점 그렇다면 사주에서도 계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은 법칙을 준수 하고 결속력을 다져주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하는 가정이 발생한다. 그리고 실제로 분산시키는 작용 보다는 뭉쳐주는 작용에 더욱 관심을 갖고 있는 것도 발.. 풍수지리 2019.02.15
十干各論 癸水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癸水編(2)(2) 물질적인 관점 이제 본격적으로 물의 연구를 해보자. 물에 대해서 생각을 하다보면 물의 특성에 대해서 묘한 느낌을 갖는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물 -법칙 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나름대로의 이치에 있어서 기준으로 삼는 것을 법칙이라.. 풍수지리 2019.02.14
十干各論 癸水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癸水編(1) 10. 癸 水(계수)癸水라고 하는 성분은 이미 임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덩달아 설명이 된 셈이니 이미 벗님도 감을 잡으셨겠다. 아시다시피 그야말로 물이라고 하면 되겠다. 그러나 또 나름대로 연구를 해볼 것은 있으니까 가볍게 생각하시지 말고 .. 풍수지리 201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