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地支 各論 蛇火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蛇火編(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이번에는 이치적으로 한번 생각을 해보자. 그런데 한가지 드릴 말씀이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로 항목을 나눠서 생각을 하고는 있지만, 구태여 항목에 구애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항목이 다른 곳에 서도 .. 풍수지리 2019.03.14
十二地支 各論 蛇火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蛇火編(1) 6. 蛇 火(사화) 巳火는 더워지는 분위기를 가지고 있는 글자 이다. 춘삼월의 좋은 시절도 다 지나가고 이제는 도리 없이 더위와 한판 싸움을 해야 할 상황이 도래한 것이다. 이렇게 더위가 시작되는 계절이라고는 해도 실제로 느끼기에는 어떤.. 풍수지리 2019.03.13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5)(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목이 진토를 만나면 상당히 좋아한다. 뿌리를 내리기가 좋기 때문이 다. 진토 속에는 가장 반가운 것이 자갈이 없다는 것이다. 촉촉하고 영 양가 높은 진토의 기름진 땅에는 뿌리만 내리면 천년을 살.. 풍수지리 2019.03.12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4)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淸明∼穀雨) 다음으로 다가오는 계절은 火氣가 치성한 여름철이다. 그렇다면 여름은 불의 계절이고, 불의 계절이 되면 물은 자연스럽게 그 권좌(權座)에 서 물러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그러한 연유로 해서 여.. 풍수지리 2019.03.11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3) (3) 지장간의 원리(原理) 출 처 내 용 항신재 역설 乙 9일 3분 癸 3일 1분 戊 18일 6분 연해자평 정해 乙 9일 3분 癸 6일 1분 戊 18일 6분 명리정종 정해 乙 9일 3분 癸 2일 1분 반 戊 18일 6분 삼명통회 乙 9일 癸 3일 戊 18일 적천수 징의 乙 9일 癸 3일 戊 1.. 풍수지리 2019.03.10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비록 용이라고 하는 동물이 실존하고 있는 동물이든 그냥 전설로만 남아있는 가상의 동물이던지 간에, 우리가 연구하는 것과는 전혀 상관 없다. 다만 우리는 이치적으로 진토에 대해서 생각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 풍수지리 2019.03.09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辰土編(1) 5. 辰 土(진토)언제나 생각을 해봐도 그렇게 만만치가 않은 地支가 바로 이 辰土라고 생각된다. 만물이 소생해서 생기를 받고 움직이기 시작하는 시기에 해당하는 계절을 상징하는 글자라고는 생각이 되는데, 이 글자가 갖고 있는 의미는 여러.. 풍수지리 2019.03.08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4)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묘월의 목에 대해서는 더 이상 말씀을 드리지 않더라도 능히 짐작을 하실 것으로 생각된다. 상당히 왕성한 힘을 축적하고 막 터지려는 상황 에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대단한 파워를 갖고 있는데, .. 풍수지리 2019.03.07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驚蟄∼春分) 계절의 節氣로써는 경칩(驚蟄)에서부터 청명(淸明)까지를 묘월(卯月) 이라고 한다. 이미 卯月이 되면 봄이 무르녹았다고 해야 하겠다. 그야 말로 명실상부한 봄인 셈이다. 그러나 아직도 체감적으로 느.. 풍수지리 2019.03.06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卯木을 놓고서 생각을 해볼 적에 뭐니뭐니해도 가장 중요한 것은 목이 가장 왕성한 地支라고 하는 것이다. 그렇게 왕성한 목이기에 어느누 가와도 당당하게 부딪혀 가는 힘이 있다. 이것은 이미 寅月에게서 상당 한 .. 풍수지리 2019.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