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干各論 壬水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壬水編(4)(5) 사주적인 관점 이제 사주에서의 壬水를 관찰해보도록 하자. 우선 임수로 태어난 사람은 웬지 심사숙고하는 형태가 떠오른다. 그렇게 폭넓은 사고력으로 앞뒤를 조용하게 관조하는 여유있는 모습이 떠오르는 것은 종교적인 성향이라고 하는 점.. 풍수지리 2019.02.12
十干各論 壬水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壬水編(3)(2) 물질적인 관점 그러면 구체적으로 임수탐험을 해보자. 맨 먼저 눈에 띄는 것으로 생각을 해볼적에 가장 일반적인 유행의 흐름으로는 호수(湖水)가 대표적 이라고 하겠다. 바다로 이해를 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리라고 본다. 그러나 여기에서 확대.. 풍수지리 2019.02.11
十干各論 壬水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壬水編(2)(1) 아홉째천간 壬의 의미 이미 辛金의 부분에서 천지의 이치가 정리가 되어버린 것처럼 생각이 되었는데, 또다시 무엇이 전개되고 있는 것은 아마도 순환불식(循環不息)하는 의미가 아니겠는가 싶다. 계속 돌고도는 흐름의 고리가 이렇게 이어지고.. 풍수지리 2019.02.10
十干各論 壬水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壬水編(1) 9. 壬水(임수) 사전적인 의미로써의 壬水는 간단하게 나와있다. 가장 처음에 있는 것은 다시 아홉째 천간 임 으로 되돌아 간다. 이에 대한 것은 또 설명을 해보도록 하고, 다음에 나와있는 의미는 간사할 임 이다. 간사 하다? 갑자기 엉뚱한 의미가 .. 풍수지리 2019.02.09
十干各論 新金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新金編(4)(3) 사주적인 관점 사주에 신금의 작용을 많이 받고 있는 사람, 즉 辛金일에 태어난 사람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해본 여러 가지의 상황들이 연결될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야 음양오행의 이치가 사람의 운명에 작용한다는 말을 할 수가 있겠.. 풍수지리 2019.02.08
十干各論 新金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新金編(3)(2) 물질적인 관점 그러면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서 신금이 갖을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물질적인 상황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우선 가장 냉혹한 물건으로는 무엇보다도 살상(殺傷)용 무기(武器)를 꼽을 수 있겠다. 예전.. 풍수지리 2019.02.07
十干各論 新金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新金編(2)(1) 매울 신의 의미 자전에서 가장 처음에 나타나는 의미가 그 글자를 대표하는 뜻이 있다고 생각해 볼적에, 이 매울 신자의 의미를 바로 이해하게 된다면 자연히 여덟째 천간의 의미가 느껴질 것 같아서 이 의미를 좀더 분석해 보려고 한다. 맵다고 .. 풍수지리 2019.02.06
十干各論 新金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新金編(1) 8. 辛 金(신금)辛金은 아마도 매울 신이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는 것같다. 맵다는 것은 고추도 맵고 마늘과 양파도 매운데, 이러한 성분들이 모두 같은 의미에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어쨌던 맵다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실제로 사전.. 풍수지리 2019.02.05
十干各論 庚金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庚金編(4)(3) 사주적인 관점 그렇다면 이러한 성분을 사주팔자로 타고난 사람에게는 어떤 성분이 나타날 것인가도 생각해봐야 하겠다. 뭐든지 그렇겠지만, 이 명리학의 교과서도 실제적으로 그 사람에게 상당부분(100%라고는 못하더라도) 타당성이 있게 나타.. 풍수지리 2019.02.04
十干各論 庚金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庚金編(3)(2) 물질적인 관점 경금을 대표하는 성분의 물질로 알려진 것으로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위 라고 하는 성분이겠다. 양금으로써 암석은 원석이라는 부제를 의지하면서 오랜 시간을 명리교과서에서 그 위치를 확고하게 지켜온 것에 대해서는 .. 풍수지리 2019.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