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地支 各論 卯木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卯木編(1) 4. 卯 木(묘목)이제 木이 왕성해지는 계절도 접어들었다. 卯木은 목의 大王이라고 부른다. 그만큼 강하다는 의미이겠는데, 王이라고 하는 것은 旺(왕성할 왕)과도 서로 통하기 때문에 그냥 왕이라고 부른다. 그래선지 몰라도 卯木을 생각하다 .. 풍수지리 2019.03.04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6)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6)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기다리고 있던 상황이 전개된 것이니 당연히 생동감이 넘쳐나게 된다. 잔뜩 웅크리고만 햇살이 퍼지기만을 기다려야 했던 목으로써는 기지개를 켜고서 움직이게 되는 주체세력이 되었다. 참으로 .. 풍수지리 2019.03.03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5) (4)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春∼雨水) 계절로 본 寅月은 할말이 많을 듯하다. 앞에서도 이야기를 했지만,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간이기에 그럴 것이다. 뭔가 바뀐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변화를 의미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평진.. 풍수지리 2019.03.02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4) (3) 지장간의 원리(原理) 출 처 내 용 항신재 역설 戊 7일 2분 반 丙 7일 2분 반 甲 16일 5분 연해자평 정해 戊 7일 2분 丙 7일 2분 甲 16일 2분 명리정종 정해 戊 7일 2분 반 丙 7일 2분 반 甲 16일 5분 삼명통회 戊 7일 丙 5일 甲 18일 적천수 징의 戊 7일 .. 풍수지리 2019.03.01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3)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상징은 어디까지나 상징이다. 참고용은 되겠지만 그 자체가 하나의 이론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본론으로 들어가 본다. 그리고 이치에다가 상징성에서 얻은 상식을 꿰어 넣어야 비로소 상징에 생.. 풍수지리 2019.02.28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2) (1) 상징성(象徵性) 인목에서 그래도 상징을 삼을 만한 것은 봄의 시작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벗님의 생각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겠다. 인목에서는 힘이 느껴 지는데 그 힘은 솟구쳐 올라가는 새싹의 힘으로 떠오른다. 그러나 이것은 이미 干.. 풍수지리 2019.02.27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寅木編(1) 3. 寅 木(인목)寅木을 보면 왠지 포근한 느낌이 감돈다. 이미 겨울이 지나갔다고 생각이 되어서일까? 그런데 일반인들의 생각에는 아마도 살벌한 분위기 가 떠오를 런지도 모르겠다. 이유는 바로 호랑이의 모습이 어른거려서 말이다. 하긴 얼.. 풍수지리 2019.02.26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丑月에 오면 좀 복잡하게 五行간의 이해관계가 형성된다. 그래서 주 변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가능성도 더욱 높아지게 되는데, 여기에서도 기본적인 암시에 바탕을 두고서 추적해 보도록 한다. 어디까지나 기본 .. 풍수지리 2019.02.25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4)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小寒∼大寒) 子月에서도 그랬듯이 이번에도 하루 중에서 丑時와의 연관성을 생각 하면서 丑月이라고 하는 계절의 상황을 음미 해보도록 하겠다. 축시라 고 하면 새벽 1시 30분부터 3시 30분으로 되어있다. 현재의 표.. 풍수지리 2019.02.24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丑土編(3) (3) 지장간의 원리(原理) 출 처 내 용 항신재 역설 癸 9일 2분 辛 3일 1분 己 18일 6분 연해자평 정해 癸 9일 3분 辛 3일 1분 己 18일 6분 명리정종 정해 癸 9일 2분 辛 3일 1분 己 18일 6분 상명통회 癸 10일 己 18일 적천수 정의 癸 9일 辛 3일 己 18일 자평.. 풍수지리 2019.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