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地支 各論 酉金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5)(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白露-秋分) 실로 酉金에 대한 상황을 떠올리면서 느끼게 되는 것은 여러 가지 면에서 죽음과 연관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저승에 대한 생각과 칼날과 의 연관성도 그리 어렵지 않은 연상을 할 수가 있겠다. 이것은 스.. 풍수지리 2019.04.03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4)(3) 지장간의 원리(原理) 현대적인 감각으로 그냥 庚金을 10으로 보고, 辛金을 20으로 따지도록 하는게 좋을 것 같다. 이러한 날짜의 비율은 앞으로 보다 정밀한 기계가 발명되어서 천기(天機)가 움직이는 것 조차도 놓치지 않고 잡을 정도가 되.. 풍수지리 2019.04.02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3)(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우선 유금에 대한 것을 생각하다 보면 가장 강하게 떠오르는 것은 庚辛金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또 이어지는 생각은 자 력(磁力)이 가장 강하다는 생각도 해보는 것이다. 얼마나 강하냐면 불 조차도.. 풍수지리 2019.04.01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2)(1) 상징성(象徵性) 유금의 실체는 깡철이라고 말을 하였는데, 상징하는 것으로는 꼬꼬닭 이다. 이녀석이 어떻게 유금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지는 간단하게나마 왕초보사주학에서 생각을 해봤지만, 여기에서는 또 다른 관점에서 생각을 해볼 참.. 풍수지리 2019.03.31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1) 10. 酉 金(유금)申金이 시작되는 금의 역사라고 한다면 酉金은 누리는 금의 역사라고도 할만 하겠다. 그야말로 전성기이기 때문이다. 유금은 그렇게 왕성 한 힘을 가지고 있는 파워를 자랑한다. 이렇게 단단한 금이라고 한다면 보검(寶劍)이 될.. 풍수지리 2019.03.30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4)(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목의 기운은 申月에 와서 더 이상 버틸 필요가 없고, 그럴만한 힘도 없다. 이미 목의 대왕은 지난 달에서 창고에 깊숙히 저장이 되어버린 상태이다. 그러니까 여기에 나올 필요가 없는 셈이다. 일단 .. 풍수지리 2019.03.29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3)(3) 지장간의 원리(原理) 지장간으로 들어가면 두통이 생기기 시작하게 될것 같다. 다른 지장간은 많아야 세 글자 정도인데, 이 申金은 네글자이니까 말이다. 한자 한자마다 그만한 의미가 있을 것은 분명하고, 그래서 마음대로 지워버릴 수도 .. 풍수지리 2019.03.28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2)(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이치적으로 연구를 한다면 아무래도 신금은 가을의 시작이라고 하는 특성을 빼놓을 수가 없을 것이다 이렇게 가을의 기운이 슬슬 다가오는 계절이다 보니까 우선 여름철과의 관계를 마무리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 풍수지리 2019.03.27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申金編(1) 9. 申 金(신금)申金은 未土의 뒤를 잇는다. 오행의 배합 관계에서 생각해 본다면 土生金이 되므로 좋은 그림이라고 생각을 할만 하겠다. 실은 地支에 네 개의 토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렇게 토의 생을 받으면서 이어지는 계절로써는 申金이 .. 풍수지리 2019.03.26
十二地支 各論 未土 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未土 編(4)(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목은 마르지만 그래도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는 의지처가 되기도 한 다. 주변의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습기가 얼마나 장단을 맞춰 주느냐는 것인데, 亥子水가 도와주기만 한다면 미토는 오히려 뿌리.. 풍수지리 2019.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