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地支 各論 亥水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4)(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잉태되어서 성장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양분은 충분하므로 얼어 붙지만 않도록 따스한 온기를 원할 뿐이다. 매우 좋은 에너지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본다. 2) 火의 상태 불의 입장에서야 죽을 .. 풍수지리 2019.04.13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3)(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冬-小雪) 바야흐로 겨울이다. 날이 추워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그렇게 볶아대던 삼복더위가 그리워질런지도 모른다. 더구나 없는 사람은 날이 추워지면 걱정이 되는 것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입동이라고 하는.. 풍수지리 2019.04.12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2)(3) 지장간의 원리(原理) 지장간의 사용 결정이라고 정리는 했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갈등을 만든다. 우선 亥月의 本氣인 壬水의 비율을 관찰 해보면 12일에서 18일 까지 최대로 6일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것이다. 그리고 戊土의 상황도 삼명통회에.. 풍수지리 2019.04.11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亥水編(1) 12. 亥 水(해수)이제 종착역이다. 여기에서는 다시 전열을 가다듬어야 한다. 그래서 다시 한번 재생의 길을 가려면 봄으로 가는 열차를 기다려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체 하차를 해야 한다. 대합실에 더 이상 머물러 있을 필요는 없는 셈이다... 풍수지리 2019.04.10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5)(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이미 단풍이 든 나무를 이야기 했으니까 어느 상황인지는 더 잘 아 실 것으로 생각된다. 그야말로 생기운이 모두 단절된 상황이다. 그야말 로 내년 봄이 다시 시작될 때까지 긴 휴식을 취하는 것이 .. 풍수지리 2019.04.09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4)(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寒露-霜降) 이미 지장간을 살피면서 겨울로 가는 간이역이라고 생각을 해봤는데, 정말로 술토는 뭔가 깊숙한 맛이 풍겨나는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이 전 부는 아니기에 또 다른 이야기를 생각해보는 낭월이다. 무엇보.. 풍수지리 2019.04.08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3)(3) 지장간의 원리(原理) 지장간의 성분을 음미해보면 辛丁戊의 배합이다. 이것은 다른 地支의 토에 해당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간단하지만은 않은 복잡한 암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배합의 원리를 차근차근 관찰 해본다.. 풍수지리 2019.04.07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2)(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戌土는 가장 철학적(?)으로 생겼다. 그래서 그 위치도 이렇게 느지감치 11위에 지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사실 철학이라고 하는 것은 그렇게 나이가 들어야 맛이 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 풍수지리 2019.04.06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戌土編(1) 11. 戌 土(술토)이제 그 많은 토 중에서도 마지막에 해당하는 戌土를 연구해볼 차례 이다. 그러니까 더욱 열심히 연구를 해야 하겠는데, 언제나 느끼지만 토에 대한 항목에서는 몇가지 이해를 하지못할 점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 풍수지리 2019.04.05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6) 풍수지리(風水地理) 十二地支 各論 酉金編(6)(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 木의 상태 목은 죽음을 기다리고 있은 입장이라고 봐도 되겠다. 순전히 깡철 위 에다가는 뿌리를 내릴 수도 없는 일이고, 한 방울의 물도 없는 입장이 니까 그대로 말라 죽는 도리밖에 달리 묘수가 없는 것이다.. 풍수지리 2019.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