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柱命式 作成法(10)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10) 고전의 관찰 가장 고전적이면서도 종합적이라고 할만한 최초의 자평명리학의 종합서적인 연해자평 을 우선 살펴봤다. 여기에서는 하루를 12시로 보고 있다. 일명 야자시(夜子時)(야자시는 밤 11시(현재시각으로는 11시 30분)부터 12시까지의 사이를 .. 풍수지리 2019.04.24
四柱命式 作成法(9)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9)1) 日柱의 기준점 일주의 기준점은 子正이다. 여기에서 자정이라고 하는 것은 子時의 한 복판 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전에 子水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언급을 하기도 했는데, 다시한번 정리를 한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 풍수지리 2019.04.23
四柱命式 作成法(8)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8)(3) 日柱 作成(일주작성) 이제 월주까지도 세웠으니 세 번째 작업인 일주를 세우도록 해야 하겠다. 일주는 어찌보면 가장 간단한 문제인 것 같다. 만세력에 표기가 되어있는대로 그냥 해당되는 날짜의 干支를 그대로 기입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풍수지리 2019.04.22
四柱命式 作成法(7)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7)2) 윤월(閏月)은 어떻게 처리되는가? 이런 제목만 보고서도 벗님은 낭월이가 또 헛소리를 하려고 드는군 윤달이 월주와 무슨 상관이람... 하는 생각이 들어야 제대로 알고 계신 것이다. 그런데 정말~! 윤달에 태어난 사람은 사주로 어떻게 따져야 하.. 풍수지리 2019.04.21
四柱命式 作成法(6)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6)(2) 月柱 作成(월주작성) 年柱를 세우는 문제는 이제 확실하게 파악을 하셨을 것으로 생각하고 月柱는 또 어떤 기준으로 세우게 되는지를 생각 해보도록 하자. 무엇보다도 月柱는 四柱를 모두 다세워 놓았을 경우에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 풍수지리 2019.04.20
四柱命式 作成法(5)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5)3) 立春時는 서울표준? 동경표준? 135도를 기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동경기준이 된다. 이것을 또 명리학자가 정확하게 적용을 시킨다고 하면, 여기에다가 약 30분 정도를 추가해야 실제로 입춘시를 만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 일본.. 풍수지리 2019.04.18
四柱命式 作成法(4)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4)2) 정확한 입춘시의 기준점은 대한민력(大韓民曆) 이제 만세력마다 각기 약간이기는 하지만 시각이 다르다는 것을 눈치채기에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 장단이 올바른 정답을 가지고 있는 장단인가를 알아야 속이 편안 할텐데, 무.. 풍수지리 2019.04.17
四柱命式 作成法(3)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3)1) 年柱의 기준점 年柱를 세울적에 기준이 되는 부분이 있다는 것만 알게 되면 그 나머지는 걱정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 기준점은 바로 절기력(節氣曆)이다. 즉 24절기 중에서 매월의 처음에 속하는 절기가 우리의 명리학에서 사용하는 기준인.. 풍수지리 2019.04.16
四柱命式 作成法(2)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2)(1) 年柱 作成 (년주작성) 사주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서 가상으로 한 사람이 태어난 상황을 설정해보도록 하는게 입체감이 있을 것 같다. 이 기준은 년주는 물론이고, 사주를 세우고 대운까지 나타내도록 하는데 실험.. 풍수지리 2019.04.15
四柱命式 作成法(1) 풍수지리(風水地理) 四柱命式 作成法(1)명리공부를 하시는 벗님이 공부를 하다가 보면, 뭔가 약간 알 것도 같은 기분이 들다가도 도무지 감을 잡기가 어려운 처지에 빠지는 경우를 왕왕 당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를 생각해 본다면 .. 풍수지리 2019.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