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干各論 丁火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丁火編(3)(2) 물질적인 관점 이미 앞서도 말했듯이 열(熱)에 해당하는 부분은 모두 정화라고 생각을 해보도록 하겠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물질 중에서는 인체가 있다. 사람의 몸에서 가장 온기를 느끼고 있는 것이 무엇일까? 아마도 심장 (心臟)일 것이다. 심.. 풍수지리 2019.01.23
十干各論 丁火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丁火編(2)(1) 네 번째 천간 丁의 의미 앞의 병화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양화(陽火)를 빛이라고 하는 의미로써 설명해 봤다. 그렇다면 이 음화(陰火)에 대해서는 뭐라고 해야 가장 합당하게 접근하는 것이될까? 여러 가지 상황이 스쳐지나간다. 그러나 무엇보다.. 풍수지리 2019.01.22
十干各論 丁火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丁火編(1) 4. 丁 火 (정화)우선 정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자전(字典))(한자(漢字)에 관계된 사전(辭典)으로는 자전과 옥편(玉篇)이 있다. 여기에서 옥편은 글자 한자 한자의 의미를 적어놓은 그야말로 구슬을 모아놓은 것이라고 하겠고, 자전은 옥편에다가 응용.. 풍수지리 2019.01.21
十干各論 丙 火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丙 火編(5)(4) 사주적인 관점 사주에서도 병화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단순, 명확, 화끈 하다. 일단 목적이 정해지면 저돌적으로 목표를 향해서 달려나가고, 또 웬만한 일은 단숨에 끝장을 내버릴 정도로 과감하기도 하다. 봉사희생 정신도 강하지만.. 풍수지리 2019.01.20
十干各論 丙 火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丙 火編(4)(3) 인간적인 관점 우선 가정적인 관점에서 병화의 역할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다. 가정 에서 가장 밝고 명랑한 위치에 있는 사람은 막내아들이 아닐까 싶다. 언제나 부모님은 내편이고, 형과 누나들도 모두 내 말 한마디면 꼼짝도 못한다는 장점을 .. 풍수지리 2019.01.19
十干各論 丙 火編(3)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丙 火編(3)(2) 물질적인 관점 물질로 관찰이 가능한 병화의 유형은 아무래도 빛이라고 생각이 된다. 광선이라고 부를 수 있겠는데, 실제로 많은 명리서(命理書)에서도 병화로써 가장 어울리는 성분은 태양(太陽)이라고 비유를 많이 들고 있 다. 그러나 얼핏 생.. 풍수지리 2019.01.18
十干各論 丙 火編(2)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丙 火編(2)(1) 세 번째 천간 丙의 의미 병화가 세 번째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세 번째라고 하는 것에 대 한 의미를 또 관찰해보는 것도 재미있을상 싶다. 우선 가벼운 마음으로 병화의 특성을 생각해보면서 시동을 거는 장면을 떠올려 본다. 부릉~~! 부릉~~~ .. 풍수지리 2019.01.17
十干各論 丙 火編(1)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丙 火編(1) 3. 丙 火(병화)丙火는 또 어떤 의미가 있을는지 이정도 오면 약간의 궁금증도 발생 하지 않을까 싶은데 어떨까? 우선 사전에서 찾아보는 병화의 의미는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첫째로 셋째천간 병이 최우선으로 자리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보지않.. 풍수지리 2019.01.16
十干各論 乙木編(5)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乙木編(5)(4) 사주적인 관점 무엇보다도 실리에 밝은 마음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충실한 사람이라고 본다. 그리고 모질고 악독한 마음이 없다. 그야말로 자신의 일은 스스로 알아서 처리하고 남에게 의존하지않는 마음이라고 하면 적절할 듯 싶다. .. 풍수지리 2019.01.15
十干各論 乙木編(4) 풍수지리(風水地理) 十干各論 乙木編(4)(3) 인간적인 관점 이미 물질적인 을목을 통해서 상당히 많은 을목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그러한 에너지를 사람이 이어받았다고 한다면 과연 어떻한 성분이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보는 것은 과히 어렵지 않다고 하겠다. 무엇보다도 을목으로 .. 풍수지리 201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