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오행론(3)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3) 1. 목(木)(2)(1) 목의 본질(本質) 목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생각을 해 봤는데, 이번에는 좀더 구체 적으로 목에 연결된 것들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도록 한다. 우선 목을 의미하는 여러 가지에 대해서 살펴볼적에, 온갖 모양은 다르지만 각기 그 내부에 .. 풍수지리 2018.10.25
기초 오행론(2)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2) 1. 목(木)(1)나무 목이다. 나무라고 하는 것이 뭐냐고 묻는 사람은 없으리라고 생 각된다. 적어도 한국 사람이라면 말이다. 이 한글자를 음미하면서 오행 의 20%를 알게되는 것이다. 우선 보기에 가장 변화가 분명하다. 나무의 종류를 보면서 목을 이해 한.. 풍수지리 2018.10.24
기초 오행론(1) 풍수지리(風水地理) 기초 오행론(1)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음양의 확장된 모습으로 존재하는 이론인 五行을 각기 나눠서 이해 를 해본다. 다섯가지의 원소로 설명을 할 수 있는 오행론은 정신적(精 神的)인 형상과 물질적(物質的)인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서 지구 위에서 .. 풍수지리 2018.10.23
초보자를 위한 음양론(陰陽論) 풍수지리(風水地理) 초보자를 위한 음양론(陰陽論)이제 본격적으로 음양오행의 이야기로 들어가보자. 역학의 정의에 대해서는 이 정도면 충분하지는 못하다고 해도, 그런대로 대략적인 분위기는 파악이 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음양오행의 이치를 궁구함에 있어서 가장먼저 음양의 이.. 풍수지리 2018.10.22
자평명리학(子平命理學) 풍수지리(風水地理) 자평명리학(子平命理學)지금 우리가 접근을 해볼 학문이 바로 자평명리학(子平命理學)이다. 이 자평명리학은 지금으로 부터 약 500 ~ 600년 전 쯤에 기본 골격이 형성된 사주학이라고 생각되는데, 특이한 점은 태어난 날을 중시해서 본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풍수지리 2018.10.21
지장간의 사령(司令) 풍수지리(風水地理) 지장간의 사령(司令)사주의 신강과 신약을 판단할 경우에, 일주(日主)가 반드시 출생한 월에서 건록이나 제왕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월령에서 휴수(休囚)가 되어도 년, 일, 시, 가운데서 장생이나 녹이나 제왕 등을 만난다면 신약(身弱)한 것이 아니다. 심지어 양.. 풍수지리 2018.10.20
천간과 사계절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과 사계절하늘과 땅에는 음양이 있고 오행이 생기기 때문에 오행 가운데 각각 음양이 있다. 천간에는 갑을 병정 무기 경신 임계의 10 천간이 있고, 지지에는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의 12지가 존재한다. 갑을은 목의 음양이다.갑은 을의 기이며, 을이란 갑의 .. 풍수지리 2018.10.19
음양(陰陽)의 조화 풍수지리(風水地理) 음양(陰陽)의 조화음과 양은 도(道)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둘은 보완적 대립 관계에 있다. 더불어 작용하며 생물과 무생물의 모든 면을 형성한다. 음은 어둡고 양은 밝으며, 음은 수동적이고 양은 능동적 속성을 보유한다. 이들이 결합하게 되면 조화, 즉 도(道)를 구현.. 풍수지리 2018.10.18
명성과 평판에 해로운 물건들 풍수지리(風水地理) 명성과 평판에 해로운 물건들 1. 물풍수에서 물은 불을 소멸시킨다. 따라서 이곳에 물을 너무 많이 두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만약 이곳에 욕조나 샤워기, 변기 등이 있다면, 창조적인 순환이나 파괴적인 순환을 사용하여 공간의 균형을 잡아 주어야 한다. ,br. 한 가지 .. 풍수지리 2018.10.17
육친(六親)과 십신(十神)과의 관계(3) 풍수지리(風水地理) 육친(六親)과 십신(十神)과의 관계(3) 십신의 특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월지(월령)에서 당령한 용신으로 보고 개인의 천성을 간주한다. 비견[比肩]양 일간은 자존심이 지나치게 강하여 남애게 지는 것을 싫어하는 형으로 융통성이 없어 남과 잘 충돌한다. 음 .. 풍수지리 201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