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은 온 데 간 데 없이 사라지고 ③『궁기마을 전우치 이야기 광양설화 / 설화 』
전우치는 담양(潭陽)사람이다. 그는 아이 시절에 절에서
글을 읽었는데 하루는 중이 술 한 항아리를 빚어 놓고는
그에게 잘 간수하라 하고 산을 내려왔다. 그 중이 여러날
만에 암자에 돌아와서 술항아리를 보니 술은 없고 술찌기
만 남아 있었다. 그러자 중이 우치(禹治)에게 술을 훔쳐
마셨다고 책망하였다. 그러나 우치는 결백을 밝힐 길이
없었다. 이렇게 되자 우치는 할 수 없이 중에게 다시 부탁
하기를,
“또 한 항아리의 술을 빚어 놓으면 내가 틀림없이 도둑을
잡겠다.”하니,
중이 우치의 말대로 다시 술을 빚어 넣었다. 그런데 술이
막 익어갈 무렵에 우치가 지켜보니 흰 기운이 무지개와
같이 창문 틈으로 들어와 술항아리 입에 박혀 있는데 모락
모락 술향기가 나는 것이었다.
그러자 우치는 드디어 흰 기운이 일어난 곳을 찾아 따라가
보니 그 기운이 앞산 바위 구멍으로 연접되었고 그 바위
구멍 입구에는 커다란 흰 여우가 술에 취하여 졸고 있었다.
우치는 밧줄로 그 여우의 주둥이와 네 다리를 꽁꽁 묶어
짊어지고 돌아와서 암자의 대들보에 달아매 놓고 아무일도
없었던 것처럼 글을 읽었다. 얼마 있자 여우가 술에서 깨어
나 사람의 말로 슬피 하소연하기를,
“만약 나는 놓아준다면 마땅히 당신에게 두터이 보답하겠
소.”하므로,
우치가,
“나에게 무슨 물건으로 보답하겠느냐? 그리고 네가 또 도
망간다면 어찌하지. 그러니 너를 죽여서 마음을 시원하게
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하니, 그 말을 들은 여우가,
“나에게 요술하는 비결책이 있는데 그 책을 바위 구멍 속에
감추어 두었소. 그 책을 당신에게 줄 것이니 시험삼아 나를
밧줄로 매어서 그대로 놓아 바위 구멍 속으로 들어가게 해
보시오. 그랬다가 만약 나오지 않거든 그때 그 밧줄을 끌어
내어 나를 죽여도 늦지는 않을 것이요.”하였다.
그래서 우치는 여우의 말대로 하였는데 여우가 한 권의 소
서(素書 신서(神書)라는 뜻)를 가지고 나와서 바쳤다. 우치
가 여우를 놓아주고 그 책을 펴 보니 모두 다 신령한 법술
과 비전(?傳)의 주문(呪文)이므로 주사(?砂)를 갈아 그 책
내용 중 쉽게 깨칠 만한 것 수십 가지에 점을 찍어 놓았다.
그런데 얼마 있다가 그의 집 늙은 종이 머리를 풀어헤치고
통곡하며 와서 그의 아버지의 부음(訃音)을 전하였다.
우치가 보던 책을 버리고 창황(蒼黃)히 문 밖으로 나가니
늙은 종은 간 곳이 없었다.
우치는 그제서야 요망한 여우에게 홀림을 당한 것이라 깨
닫고 그 길로 들어가 여우가 준 비결책을 챙겨보니, 주사로
점 찍어 놓은 것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여우가 다 베어가고
없었다. 우치는 그 후에 환술(幻術)로 세상에 이름을 날리
게 되었는데, 그것은 다 주사로 점찍었던 수십 가지 속에서
사용된 것이라고 한다.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藁)’ 가운데 ‘성수시화
(惺?詩話)’에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우사(羽士) 전우치(田禹治)는 사람들의 말에 신선이 되어
올라갔다고 하며 그의 시는 매우 청월(淸越)하다. 일찍이
삼일포(三日浦)에서 지은 시에
늦가을 맑은 못에 서리 기운 해맑은데(秋晩瑤潭霜氣淸)
공중의 퉁소 소리 바람 타고 내려오네(天風吹下紫簫聲)
푸른 난은 오지 않고 하늘 바다 넓으니(靑鸞不至海天闊)
서른 여섯 봉우리에 가을 달은 밝도다(三十六峯秋月明)
라 하니, 이를 읽노라면 기분이 상쾌해진다.
~다음에 계속~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