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세월 무얼하며 살겠느냐 나머지 세월 무얼하며 살겠느냐 나머지 세월 무얼하며 살겠느냐 물으면 이제 나머지 세월 무얼하며 살겠느냐 물으면 사랑하는 사람과 이렇게 살고 싶다고... 기도로 하루 열어 텃밭에 가꾼 행복 냄새 새벽별 툭툭털어 아침 사랑 차리고 햇살 퍼지는 숲길 따라 야윈손 꼭잡고 거닐며 젊은.. 가져온 글 2018.09.27
사랑과 이해와 용서를 앞세워 사는부부 사랑과 이해와 용서를 앞세워 사는부부한 여성이 부부 세미나에서 강사로부터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요새 부부들은 대화가 너무 부족하다. 남편과 장단점을 다 나눠라." 그 말대로 그녀는 집에 와서 남편에게 서로 부족한 점을 하나씩 나눠 보자고 했습니다. 남편이 주저하다 마지 못해.. 가져온 글 2018.09.24
가는 길이 있으면 오는 길도 있습니다 가는 길이 있으면 오는 길도 있습니다 가는 길이 있으면 오는 길도 있습니다 매일 같은 길을 걷고 같은 골목을 지나도 매일 같은 길은 아니었습니다. 어느 날은 햇빛이 가득 차 눈이 부시고 어느 날엔 비가 내려 흐려도 투명하거나 어느 날엔 바람에 눈이 내려 바람 속을 걷는 것인지 길을.. 가져온 글 2018.09.10
기회는 앞에서 붙잡아야 한다 ◎ 기회는 앞에서 붙잡아야 한다. ◎ 기회는 앞에서 붙잡아야 한다. 소는 뒤에서 붙잡아야 하고 기회는 앞에서 붙잡아야 한다. 소를 뒤에서 잡아야 하는 이유는 소머리에 날카로운 뿔이 있기 때문이고 기회를 앞에서 잡아야 하는 이유는 기회의 뒤에는 잡을 꼬리가 없기 때문이다. 괴로운.. 가져온 글 2018.09.04
매미의 오덕(五德) 매미의 오덕(五德) 중국 진나라 시인 육운(陸雲)은 매미를 들어 다섯 가지의 덕(德)을 갖춘 곤충이라 했다. 매미의 입이 곧게 뻗은 것은 마치 선비의 갓끈이 늘어진 것을 연상케 하므로 선비처럼 학문(文)을 닦았으며, 이슬이나 나무진을 먹고 사니 맑음(淸)이요. 농부가 가꾼 곡식이나 채.. 가져온 글 2018.07.23
[삼복(三伏)의 어원(語源), 유래(由來), 풍속(風俗), 음식(飮食)] [삼복(三伏)의 어원(語源), 유래(由來), 풍속(風俗), 음식(飮食)] 1.삼복(三伏)의 어원(語源)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속절(俗節)이다.하지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庚日)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이라하여,이를 삼경일(三庚日) 혹은 삼복 이라 한다... 가져온 글 2018.07.20
오른쪽으로 누워 자면 안되는 이유 5가지 오른쪽으로 누워 자면 안되는 이유 5가지 오른쪽으로 누워 자면 안되는 이유 5가지 수면 자세는 일반적으로 4가지로 나눕니다. 똑바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왼쪽으로 누운 자세,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 이렇게요. 각각의 수면 자세에는 장단점이 있지만 될 수 있으면 오른쪽으로 누워 .. 가져온 글 2018.07.10
생활의 지혜 생활의 지혜 ●.화분에 식물이 잘 자라지 않을 때는 마늘 몇 개를 으깨어 물에 희석해 뿌려주세요. 화초가 무럭무럭 잘 자라요. ●.쓰레기 봉투가 양이 다 안 찼는데 냄새가 심하면 이럴 땐 신문을 물에 적셔 쓰레기 봉투 위에 얹어 두세요. 신문이 냄새를 쏙 빨아들입니다. ●.달걀을 삶을.. 가져온 글 2018.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