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란?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교육이란? 천명을 성(性)이라 하고....................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 성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고.........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 <중용>에서는 위와 같이 성, 도, 교를 정의하였.. 고전 이야기 2013.10.18
대학(大學)의 도(道)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대학(大學)의 도(道) 명명덕어천하자 선치기국 욕치기국자 선제기가 욕제기가 (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欲齊其家) 자 선수기신 욕수기신자 선정기심 욕정기심자 선성기의 욕 (者 先修其身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 고전 이야기 2013.10.17
학문의 길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학문의 길 실제 있는 일로써 올바른 이치를 구한다_實事求是_는 말은 곧 학문의 가장 긴요한 길이다. 만일 실제로 있지도 않는 것으로 일을 삼아 다만 텅 비고 엉성한 꾀로써_以空流之術_방편을 삼 고, 그 올바른 이치를 구하지 않고 다만 먼저 들은 말로.. 고전 이야기 2013.10.16
학문과 독서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학문과 독서 군자지학 비위통야(君子之學 非爲通也) 위궁이불곤 우이의불쇠야(爲窮而不困 憂而意不衰也) 지화복종시이심불혹야(知禍福終始而心不惑也) 군자가 학문을 하는 목적은 영화를 누리며 살기 위해서가 아니고, 어려운 처지에서도 곤혹스럽워 .. 고전 이야기 2013.10.15
재능이 넘치면 적이 많다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재능이 넘치면 적이 많다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는다`는 경문이 있다. 또는 `안다고 말 하는 사람은 모르는 사람이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노자(老子)는,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는다. 말하는 사람은 모르는 사람이 다." 라고 했다. 도(道)라고 하는 것을 .. 고전 이야기 2013.10.14
입지전(立志傳)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입지전(立志傳) 어려운 환경을 이기고 뜻을 세워 노력하여 목적을 달성한 사람 의 전기를 `입지전`이라 한다. 이런 인물들에 대한 얘기를 전 할 때 자신의 출신이나 환경을 탓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이 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귀주출천방(貴珠出賤蚌.. 고전 이야기 2013.10.13
그늘에서 핀 꽃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그늘에서 핀 꽃 타고난 인재도 있겠지만 평범한 사람이 수련을 통해 등용문을 통과하고 세상이 알아주는 명실상부한 인재로 거듭나기까지는 혹독한 시련과 고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좌구명이란 사람이 있었다.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공자의 행적을 .. 고전 이야기 2013.10.12
물살을 거슬러 오르는 물고기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물살을 거슬러 오르는 물고기 후한 말엽, 환제(桓帝) 때 일이다. 발호(跋扈)장군이라는 별명 을 가진 횡포한 외척 양기(梁驥)가 죽임을 당하자, 이를 대신하 여 단초(單超) 등 소위 오사(五邪)의 환관이 포학을 마음대로 하기 시작했을 때, 일부 관료들은 이.. 고전 이야기 2013.10.11
강국(强國) 이란?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강국(强國) 이란? 國有賢良之士衆(국유현량지사중) 則國家之治厚(즉국가지치후) 賢良之士寡(현량지사과) 則國家之治薄(즉국가지치박) 나라에 훌륭한 인재가 많으면 나라가 발전하고, 훌륭한 인재가 적 으면 국력이 약해진다. <묵자(墨子)> `친사(親士.. 고전 이야기 2013.10.10
공자의 인물평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공자의 인물평 공자가 주(周)에 가서 노자에게 예(禮)에 관해서 가르침을 받으 려 하자 노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대가 옛 성현이라고 우러러보던 이들은 이미 육체나 뼈마 저 썩어 버리고 다만 남은 것이라고는 그 공언(空言)뿐이다. 게 다가 군자라는 .. 고전 이야기 201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