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의 고요한 생각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달마의 고요한 생각 면벽구년(面壁九年)이라는 말이 있다. 고승 달마(達磨)가 산중 에서 9년 동안 벽을 바라보고 앉아 정진을 한 끝에 마침내 도를 깨우쳤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오랜 세월 동안 오직 한 곳에 집중하여 노력과 정성을 다하다 보면 이루지.. 고전 이야기 2013.09.17
돌에 박힌 화살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돌에 박힌 화살 이광(李廣)은 한나라의 성기인(成紀人)이다. 문제(文帝) 때에 흉노를 토벌하여 공을 세워서 상시(常侍)가 되고, 활을 잘 쏘아 서 흉노가 두려워하여 비장군(飛將軍)이라 불렸다. 한 번은 이광이 사냥을 나가서 웅크리고 있는 호랑이를 발견 .. 고전 이야기 2013.09.16
절굿공이를 가는 할머니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절굿공이를 가는 할머니 이태백이 산에서 10년 동안 공부를 하고 내려올 때다. "이 정도면 내 공부도 어지간히 되었겠지." 월래 술을 좋아하는 그가 주막집을 그냥 지나칠 리 없었다. 산에서 내려오는 길에 주막 평상에 앉았다. 술을 한 사발 마시 고 있노.. 고전 이야기 2013.09.15
은밀한 생각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은밀한 생각 너무 한가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엉뚱한 생각이 떠오를 때가 있다. 흘러간 세월, 떠나간 사람, 사소한 상념조차 커다란 짐이 되어 어깨를 짓누르기도 하고 때로는 달콤한 환상에 빠져 현실 을 망각하기도 한다. 너무 바빠도 문제다. 자신의 .. 고전 이야기 2013.09.14
근(勤) 이라 함은?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근(勤) 이라 함은? 근자민어덕의 이세인차근이제기빈(勤者敏於德義 而世人借勤以濟其貧) 검자담어화리 이세인가검이식기색(儉者淡於貨利 而世人假儉以飾其색) 군자지신지부 반위소인영사지구의 석재(君子持身之符 反爲小人營私之具矣 惜栽) 근면이란.. 고전 이야기 2013.09.13
마음에 새긴 이름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마음에 새긴 이름 `늑명고성(勒名考誠)`이라는 말이 있다. 기물(器物)에 그 제작 을 맡았던 사람의 이름을 새겨 넣게 함으로써 그 사람에게 정 성이 있었는가 없었는가를 살피는 것을 말한다. <예기> `월렁` 10월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이 달 .. 고전 이야기 2013.09.12
큰 칼과 작은 칼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큰 칼과 작은 칼 할계언용우도(割鷄焉用牛刀), <논어> `양화`편에 보이는데, 공 자와 그의 제자 자유(子游)의 대화에서 나온 말이다. 공자가 무 성(武城)에 갔을 때 일이다. 공자가 빙그레 웃으면서 말했다. "닭을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쓸 것이 있느.. 고전 이야기 2013.09.11
관리를 뽑는 기준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관리를 뽑는 기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인 미수(眉叟) 허목(許穆)이 올 린 상소문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삼가 아룁니다. 병조에서 신설한 무사를 뽑는 법에 벼 슬이 있고 없고 막론하고 추천된 자를 다 소집하여 열을 지어 앉혀 .. 고전 이야기 2013.09.10
저절로 생겨나는 오솔길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저절로 생겨나는 오솔길 한나라 경제(景帝) 때 이광(李廣)이라는 맹장이 있었다. 당시 는 북방 이민족인 흉노와 한창 전쟁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이 광이 적진 깊숙히 들어가 기습 공격을 하여 목표를 이루긴 했 으나 많은 흉노 군사들에게 빽빽이 포위.. 고전 이야기 2013.09.09
노력(努力) 고전(古典) 이야기 ~노력과 발전~ 노력(努力)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진실로 하루라도 새로울 수 있거든 나날이 새롭게 하며 또 날로 새 롭게 하라. 명군 탕왕(湯王)이 자신의 세숫대야에 새겨놓고 좌우명으로 삼았 다는 말이다. 새롭다는 것은 무엇인가. 구태를 벗고.. 고전 이야기 2013.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