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기(義氣)와 화기(和氣)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의기(義氣)와 화기(和氣) 절의오청운 문장고백설(節義傲靑雲 文章高白雪) 약불이덕성도용지 종위혈기지사기능지말(若不以德性陶鎔之 終爲血 氣之私技能之末) 절의는 청운의 자리라도 내려다보며, 문장은 백설보다 높을지라 도, 만약 그것이 덕성으로써 수.. 고전 이야기 2013.08.28
선생과 곰발바닥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선생과 곰발바닥 군자거인 오호성명(君子去仁 惡乎成名) 군자무종식지간 위인(君子無終食之間 違仁) 조차 필어시(造次 必於是) 전패 필어시(顚沛 必於是) 군자가 인을 멀리하면 어디에서 명성을 높일 수 있겠는가? 군자는 식사를 끝내는 동안이라도 인을 어.. 고전 이야기 2013.08.27
윤리(倫理)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윤리(倫理) 삼강오륜(三綱五倫)은 유교의 도덕 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 지 강령과 다섯 가지 행실을 말한다. 삼강(三綱)ㅡ군위신강(君爲臣 綱) 부위부강(夫爲婦綱) 부위자강(父爲子綱)ㅡ은 임금과 신하, 부 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가 지켜야 할 떳떳한 도.. 고전 이야기 2013.08.26
언덕 위의 나무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언덕 위의 나무 부모님이 돌아가시어 효도를 할 수 없음을 한탄하는 말로 `풍 수지탄(風樹之嘆)`이라는 것이 있다.<한시외전(韓詩外傳)>에 서 유래하는데,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의 `효`편에 다음 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하루는 공자가 길을 가.. 고전 이야기 2013.08.25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물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물 시왈(詩曰) 부혜생아 모혜국아(父兮生我 母兮鞠我) 애애부모 생아구로(哀哀父母 生我劬勞) 욕보심은 호천망극(欲報深恩 昊天罔極) 시경에 전한다.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셨네. 애달프다 어버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 고전 이야기 2013.08.24
색난(色難)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색난(色難) 효경(孝經) : 공자(孔子)와 증자(曾子)가 효도에 관하여 문답한 것 을 기록한 책으로 13경(十三經) 중의 하나이다. 저자에 대해서는 공 자가 지었다는 설, 증자가 지었다는 설, 증자의 제자들이 집록(輯 錄)했다는 설 등 여러 가지가 있어 확실하지는.. 고전 이야기 2013.08.23
새 중의 증삼(曾參)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새 중의 증삼(曾參) 효행을 뜻하는 대표 적인 사자성어인 `반포보은(反哺報恩)`은 `도리어 먹여줌으로써 은혜를 가ㅍ는다`라는 말로, 자식이 늙은 부모님을 모시고 살면서 자기를 양육해 주신 은혜를 갚는자는 뜻이다. 까마귀라 하면 우리는 흔히들 재수 없.. 고전 이야기 2013.08.22
색동옷 입고 춤추다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색동옷 입고 춤추다 춘추시대 초(楚)나라의 노래자(老萊子)는 효자로 유명하다. 노 래자는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기는 정성이 지극하여 그 효성을 따를 자가 없었고, 나이가 들수록 더욱 효성이 깊어졌다. 부모 님께 드리는 음식은 늘 맛있고 부드러운 것으로.. 고전 이야기 2013.08.21
낮에는 구름을 바라보고 밤에는 달빛 아래 서성인다.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낮에는 구름을 바라보고 밤에는 달빛 아래 서성인다. `간운보월(看雲步月)`이라는 이 성어는 고향을 떠나와 타향에 서 가족과 집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한 폭의 수목화처럼 그려내 고 있다. 왕후장상도 결국 부모의 자식이며, 자식으로서 어버 이를 그리는 마.. 고전 이야기 2013.08.20
단장(斷腸) 의 애(哀) 고전(古典) 이야기 ~효와 윤리~단장(斷腸) 의 애(哀) 슬품이 더할 수 없는 극한에 이른 것을 `창자가 끊어진다`고 한 다.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진나라 환온이 촉(蜀)으로 가는 도중 양자강 위에 있는 험난 한 곳으로 이름난 삼협(三峽)이란 곳을 지나게 .. 고전 이야기 201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