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의 시풍(詩風)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두보의 시풍(詩風) `각골면려(刻骨勉慮)`는 뼈를 깎는 정성으로 생각에 온 힘을 쏟 는다는 말로, 무슨 일을 하더라도 온 정성을 다 기울인다는 뜻 이다. 흔히 두보의 시풍을 이를 때 이 말을 쓴다. 거의 같은 시대에 태어나서 뚜렸한 대별(對別)을 보인 천재.. 고전 이야기 2013.10.30
허물을 고침에 꺼리지 마라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허물을 고침에 꺼리지 마라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충실과 믿음을 위주로 해야 하며,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벗으로 삼 지 말고,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아야 한다.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 고전 이야기 2013.10.29
성찰(省察)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성찰(省察) 유예(猶豫)란 동물 이름이다. 그 중에서도 유는 원숭이에 해당하 는 동물이다. 이놈은 얼마나 의심이 많은지 조금만 이상한 소리가 나도 절대로 나무에서 내려오는 법이 없다. 그러나 평소에도 내려 가야 할지 아니면 그대로 나무에 매달려 있.. 고전 이야기 2013.10.28
학문이 깊어 가는 단계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학문이 깊어 가는 단계 장언 수언 식언 유언(藏焉 修焉 息焉 遊焉) 감추고 닦고 쉬고 논다. 오경(오경 ; 주역 시경 서경 춘추 예기)의 하나인 <예기>에 나 오는 말로 학문의 방법, 곧 학문이 깊어 가는 단계를 넷으로 나 누고 있다. `장(藏)`은 학문의 기.. 고전 이야기 2013.10.27
돈과 지식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돈과 지식 재산을 많이 갖는 것보다 한 가지 기술을 익히는 것이 낫다는 말이 있다. 재산은 아무리 있다 해도 없어지는 수가 있다. 그러 나 몸에 익힌 한 가지 재주는 그것이 아무리 보잘 것 없는 것이 라 할지라도 없어지는 법이 없다. 그러므로 돈보다 기.. 고전 이야기 2013.10.26
학문을 성취하려면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학문을 성취하려면 무작정 책장만 넘긴다고 해서 학문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 다. 공부하는 데도 다 방법이 있다는 얘기다. 학문을 함에 있어 선현들은 어떤 점에 유의를 했을 까? 먼저, <열자(列子)> `탕문 (湯問)`에 있는 조언이다. 양궁지자 필행.. 고전 이야기 2013.10.25
사람 만들기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사람 만들기 옥석금철 유가탁마이위기 이황어인야 (玉石金鐵 猶可琢摩以爲器 而況於人也) 옥돌이나 금은 쇠붙이도 쪼고 갈아서 그릇을 만드는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랴. 한나라 유황(劉向)의 <신서(新序)>에 있는 말이다. `옥돌도 쪼 지 않으면 그릇.. 고전 이야기 2013.10.24
사숙과 온고지신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사숙과 온고지신 사숙(私淑)이란 은근히 옛 선조나 멀리 있는 사람의 덕을 사모 하여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못했지만 그 사람을 모범으로 삼아 자기의 인격을 수양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맹자는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따라 서 공.. 고전 이야기 2013.10.23
뜻을 도타이 함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뜻을 도타이 함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搏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 널리 배우고 뜻을 도타이 하며, 간절히 묻고 생각을 비근하게 하면 인(仁)이 그 속에 있다. 여기서 나온 말이 `독지(篤志)`다. <논어> `자장`편에 나온다. 이를 다시 쉽.. 고전 이야기 2013.10.22
학문을 하는 태도 고전(古典) 이야기 ~수련과 성찰~ 학문을 하는 태도 제나라 경공(景公)이 정치의 중요한 요점을 물었을 때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임금은 임금다울 것이요,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비는 아비답 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할 것이라." 임금은 어진 사랑과 위엄을 가지고 신하를 대하고, 신하는.. 고전 이야기 2013.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