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3

고채(씀바귀)의 효능

고채(씀바귀)의 효능 잎을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오며, 잎과 뿌리에 쓴맛이 대단히 많이 나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다. 싸랑부리, 쓴귀물, 씀바기, 씸배나물, 고채, 씀바구나물, 씀바귀(영남), 황매채, 신냉이(경남), 꽃씀바귀, 흰씀바귀, 씀바귀(북한), 고채(약초명), 쓴나물, 싸랭이 (이)라고도 한다. 성미 :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 청열(淸熱), 양혈(凉血), 해독(解毒)작용이 있다. 해설 : ① 이질에 유효하며, ② 간경화에는 이 약물과 초장초(酢漿草)를 각각 40그램씩 돼지고기를 싸서 복용하고, ③ 만성 기관지염에는 대추와 같이 달여 복용한다. ④ 부인의 유방염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이고, ⑤ 구내염에는 즙을 내어 술에 타서 마십니다. 성분 : 항종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 생쥐..

산야초의 효능 2021.02.24

결명자의 효능

결명자의 효능 인체에서 가장 많은 일을 하는 중요한 장기 간! 이런 중요한 간이 손상되는 주요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음식이다. 기름진 안주, 설탕이 많이 첨가된 음식, 밀가루 위주의 식생활은 노폐물을 많이 만들어 간을 피로하게 만들고 인스턴트, 가공식품, 물론 술도 우리간을 과로하게 만들 수 있다. ▷간이 나빠지면 나타나는 증상! 첫째, 눈의 흰자위나 피부가 노랗게 보인다. 둘째, 이유 없는 피로감 셋째, 급격한 체중 감소 넷째, 소변의 색깔이 진할 때 마지막으로 성욕이 감퇴되거나 성기능 장 애 등의 증상이있다. ■ 결명자의 효능 1. 원산지: 북아메리카 2. 분류: 콩과 ▷ 결명자는 간기(肝氣)를 돕는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결명자는 간기, 즉 `간의 기운을 돕는다.' 라고 전하고 있다. 그 외에도 중국의..

산야초의 효능 2021.02.23

노린재나무 효능

노린재나무 효능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노린재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학명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분류 : 노린재나무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히말라야산맥 서식장소 : 산과 들 크기 : 높이 1∼3m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1∼3m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가지는 퍼져 나며 작은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노란색이다. 끝으로 갈수록 점차 뾰족해지며 길이 3∼7cm, 나비 3∼4cm이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 털이 나거나 없고 작은 톱니가 있으나 때로 뚜렷하지 않다. 잎자루는 길이 3∼8mm이다. 5월에 흰 꽃이 피는데, 새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

산야초의 효능 2021.02.22

백당나무의 효능

백당나무의 효능 접시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높이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코르크층이 발달한다. 새가지에 잔털이 나며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2cm이다. 끝이 3개로 갈라져서 양쪽의 것은 밖으로 벌어지지만 위쪽에 달린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고 잎자루 끝에 2개의 꿀샘이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꽃이삭 주변에 중성화(中性花)가 달리고 정상화는 가운데에 달리며 중성화는 지름 3cm 정도이다. 화관은 크기가 다른 5개의 갈래조각으로 갈라진다. 정상화는 5개씩의 꽃잎과 수술이 있고 꽃밥은 짙은 자줏빛이다. 열매는 핵과(核果..

산야초의 효능 2021.02.21

굴피나무의 효능

굴피나무의 효능 굴피나무/화향수과 과 : 가래나무과 속 : 굴피나무속 국명 : 굴피나무 별명 : 구낭, 굴낭(제주) 약초명 : 화향수엽化香樹葉 분류 : 낙엽활엽소교목 원산지 : 한국 분포 :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경기 이남의 표고 50~1,200m의 산지에서 자란다. 전체크기 : 높이 12m, 직경 53cm이지만 일반적으로 높이 3m, 직경 10㎝정도이다. 잎 : 잎은 기수우상복엽으로 길이 15~30cm로서 7-19개의 대가 없 는 소엽으로 되며 엽축(葉軸)과 엽병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 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0cm로 서 긴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약간 낫과 비슷하게 구부러 지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양면에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

산야초의 효능 2021.02.20

컴프리의 효능

컴프리의 효능 한방에서 컴프리를 감부리(甘富利)라하여 잎과 뿌리를 변비, 건위, 소화기능 향상, 피로회복, 자궁근육 수축, 식욕 증진, 보익, 고혈압, 진정, 간염, 황달, 소화 불량, 위산과다, 위염, 위십이장궤양, 기관지염, 위궤양, 발기부전, 빈혈, 종기, 악창, 피부염, 영양제, 천식, 골절, 종독 등에 약재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최근 "간에서 나오는 혈류를 막아 간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여 FDA에서 금지약물로 등록... 사용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참고사항] 1. 2세 이하 어린이는 절대로 사용하지 말 것. 2. 임산부나 산모는 사용하지 말 것. 3. 간염, 간경화 등 간질환 환자들과 알콜 중독자는 사용하지 말 것. 4. 꼭 써야 할 경우 용량을 초과하지 말고 3개월 이상 사..

산야초의 효능 2021.02.19

차풀의 효능

차풀의 효능 눈밝게하며 암세포 죽이고 위를 보호하는 차풀 ▶ 건위작용, 정장작용, 항암작용, 청열해독, 생진지갈, 이뇨, 통변, 신염수종, 해수다담, 습관성 변비, 칠창(옻이 오른데), 정창, 청간이습, 산어화적, 습열로 인한 황달, 여름식중독, 토사곽란, 피부종창, 옻나무독, 폐결핵, 간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는데, 비장의 기능을 조화시키는데,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데, 눈앞이 아찔해지는 데, 어혈, 야맹증, 편두통, 부종, 각기, 위경련, 황달, 간을 보호하여 암세포 죽이며 위를 튼튼하게 해주는 차풀 차풀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인 차풀이다. 차풀속은 전세계에 약 450종이 분포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는 현재 1종이 야생에서 자라고 있다. 높이는 약 30~60센티미터이고 잎은 짝수 깃곂잎이고 줄기와 열매..

산야초의 효능 2021.02.18

치자의 효능

치자의 효능 노란색을 내기 위해서 사용해왔던 치자는 맛이 독특해서 음식으로도 쓰입니다. 치자가루를 내서 사용한다면 쓰고 매운 씨의 맛이 많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치자를 먹으면 우리 몸의 열이 떨어지는데 좋다고 합니다. 이런것 말고도 치자효능은 오래전부터 사용해왔기 때문에 한약재처럼 쓰인다고 합니다. 불면증 개선 평소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분들은 치자를 드셔보세요. 이런 불면증 증상들은 우리 몸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잠 자는 시간이 줄어들도록 만든다고 합니다. 불면증을 줄이려면 치자를 활용해야 합니다. 치자를 먼저 달여내고 물처럼 마시면 좋습니다. 식사를 하고 난 다음에 세번 나누어서 먹는다면 불면증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서 잠을 잘 잔다고 합니다. 목감기 예방 치자를 이용하면 목이나 기..

산야초의 효능 2021.02.17

접시꽃의 효능

접시꽃의 효능 분포지 :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중국원산 개화기 : 6 - 8 월 , 결실기는 10월 특징 : 원줄기는 털이 있고 둥글다. 용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두해살이 풀 (여러해살이도 있음) 다른이름 : 촉계화. 설기화. 마간화. 과목화. 대근화. 기단화. 단오금. 촉 규근. 덕두화 중국이 원산지며 꽃이 아름다워서 정원에 흔히 심는다. 키는 2미터 넘게 자라고 잎은 넓은 심장 꼴로 6∼7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6월에 무궁화를 닮은 크고 납작한 꽃이 핀다. 지방에 따라 명칭이 달랐는데, 서울지방에서는 어숭화·평안도에서는 둑두화 삼남지방에서는 접시꽃이라 불렸다. 또 옛날에는 촉규화(蜀葵花)라고도 불렸는데, 신라시대 최치원이 촉규화에 대한 시를 지은 것으로 보아 재배된 역사가 무척 오랜 꽃..

산야초의 효능 2021.02.16

계뇨등(계요등)의 효능

계뇨등(계요등)의 효능 (닭똥 냄새와 같은 냄새가 나서 구린내덩굴이라고 하며 계뇨등(鷄尿藤)이라고 한다.)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 학명 : Paederia scandens 분류 :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 분포지역 : 한국(전남 ·경남 ·충북) ·일본 ·중국 ·필리핀 서식장소 : 산기슭의 양지쪽 크기 : 줄기 길이 5∼7m, 잎 길이 5∼12cm, 나비 1∼7cm 산기슭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줄기의 길이는 5∼7m이다. 잎은 길이 5~12cm, 나비 1∼7cm의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로 마주난다. 잎의 앞면은 털이 있고 뒷면에는 잔털이 있거나 없는 것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꽃차례[圓錐花序] 또는 취산꽃차례[聚揀花序]로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산야초의 효능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