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7

개구리밥 (부평초) 효능

개구리밥 (부평초) 효능 외떡잎식물 : 천남성목 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개구리밥과 분포지역 : 온대에서 열대 서식장소 : 논이나 연못의 물위 크기 : 엽상체 길이 5∼8mm, 나비 4∼6mm 부평초·수평·머구리밥·자평이라고 한다.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가을에 모체에서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위로 나와 번식한다. 엽상체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5∼8mm, 나비4∼6mm이고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상체 뒷면 가운데에서 가는 뿌리가 5∼11개 나오고 그 옆에서 새로운 싹이 생겨 번식한다. 꽃은 흰색이며 7∼8월에 간혹 피는 것이 있으나 매우 작아서 찾아보기 어렵다. 1개의 포 안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산야초의 효능 2023.06.07

맨드라미의 효능

맨드라미의 효능 맨드라미 식물명 : 맨드라미 맨드래미, 단기맨드래미 학명 : Celosia cristata L. 분류군 : 비름과 일어 : ケイトウ 영문 : Cockscome 개화기 : 7, 8 월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예저이고 톱니가 없다. 열매 : 과실은 개과(蓋果)로서 난형이며 숙존악에 싸여 있고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가로로 벌어져서 뚜껑처럼 열리고 3-5개의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흑색이며 광택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황색 또는 백색이며 정생(頂生)하고 꽃대 상단은 닭의 볏 모양이며 아랫면에 대가 없는 다수의 잔꽃이 밀착한다. 꽃받침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5mm..

산야초의 효능 2023.06.06

견우자(牽牛子)나팔꽃 효능

견우자(牽牛子) 효능 견우자는 나팔꽃 씨앗을 말하는데요. 기를 아래로 내리고 다리가 붓는 증상을 치료하며, 風邪(풍사)의 침범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하고, 소변을 시원하게 하며, 복부에 기가 뭉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를 치료하고 대소변을 시원하게 하고, 허약해서 생긴 부종을 빼며, 胎兒(태아)를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하는 견우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1.學名 및 生物學的分類 1)학명 : Pharbitis nil 2)계 : 식물 3)문 : 속씨식물 4)강 : 쌍떡잎식물 5)목 : 통화식물목 6)원산지 : 인도 7)서식장소/자생지 : 길가나 빈터 8)크기 : 길이 약 3m 2.生態 및 特徵 인도가 원산지인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관상용으로 심지만 길가나 빈터에 야생하기도 한다. 줄기는 아래쪽을 ..

산야초의 효능 2023.06.05

청미래 덩쿨의효능

청미래 덩쿨의효능 청미래덩굴은 우리 산야에 흔히 자라는 백합과에 딸린 덩굴성 떨기나무다. 두껍고 유난히 번쩍거리는 잎이 인상적이고 가을에 빨갛게 익는 열매가 아름다워 요즘 꽃꽂이재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상당히 굵고 크며 목질이어서 딱딱하다. 겉은 갈색이고 속은 담홍색이며 혹처럼 뭉친 덩이뿌리가 연달아 달리며 맛은 쓰고 떫다. 수십년이나 수백년쯤 묵은 것도 더러 발견되는데 이런 것은 뿌리길이가 0~15m쯤 되고 무게도 수십kg이 나간다. 바위틈 사이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리므로 여간해서는 캐기도 어렵다. 청미래덩굴은 암나무와 수나무가 서로 다른 포기인 암수딴 그루식물이다. 암나무에서만 열매가 달리고 수나무에서는 열매가 달리지 않으며 암나무의 뿌리가 더 통통하게 살이 찐다. 청미래덩굴은 이..

산야초의 효능 2023.06.04

깔잎 용담의 효능

깔잎 용담의 효능 인엽용담(鱗葉龍膽)·암용담·자화지정·구슬봉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10cm로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난 잎은 큰 달걀 모양 마름모꼴이고, 장미꽃 모양으로 난다. 길이 1∼4cm, 나비 5∼12mm로 가장자리가 두껍고 끝이 까끄라기처럼 뾰족하다. 줄기에서 난 잎은 마주나고 작으며 밑부분이 합쳐져 잎집을 이루며 줄기를 싸고 있다. 5∼6월에 종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핀다. 꽃자루는 짧고 꽃받침통은 길이 4∼6mm이다. 화관통은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열매는 삭과로 긴 대가 있고 화관 밖으로 나오며 가을에 익는다. 종자는 방추형으로 편평하고 매끄럽다. 한국·일본·동아시아등지에 분포한다. ▶구슬붕이(Gentiana squarrosa..

산야초의 효능 2023.06.03

쇄양의 효능

쇄양의 효능 쇄양은 유일하게 중국의 내 몽고 지방에서 자생한다 . 쇄양은 말에서 떨어진 정액과 땅의 정기를 받아서 생긴다고 한다. 옛날부터 중국 남편들이 전쟁터로 나가거나 장사를 하러 멀리 말을 타고 나갔다 . 그러면 홀로 남은 부인들은 남편이 돌아올 때까지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봄, 가을에 자라는 쇄양을 움켜지고 밤을 지새웠다는 이야가 있다. 쇠사슬 쇄( 鎖 )같이 양 (陽)기가 단단해서 쇄양(鎖陽)이라 불리는 약초 , 자물쇠 같은 단단한 양물(陽物)과 비슷하다고 해서 쇄양(鎖陽)이라고 불리는 이 약 초의 모양과 크기가 꼭 남자의 성기를 닮았다. 쇄양(鎖陽)은 성 기능이 약한 양위증, 조루증, 유정(遺精) 등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성욕을 높여주고, 정수를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기가 있다 . [전쟁과 남편..

산야초의 효능 2023.06.02

메밀의 효능

메밀의 효능 예년에 비해 때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불볕 더위가 이어지는 여름철은 주체하기 힘들 정도로 땀을 흘리는 데다 더위에 지쳐 자칫 소화장애나 식욕부진을 야기 하기 쉬운 계절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여름철이면 으레 식욕을 돋구어주는 별미를 찾곤 하는데 함흥냉면이니 또는 평양냉면이니 하는 메밀냉면은 그 중에서도 대표적 음식이다. 쫄깃쫄깃한 메밀냉면에 오이와 배를 얹고 시원한 육수나 동치미 국물을 부어 먹는 맛이야말로 식욕을 돋구는 것은 물론 무더위를 단번에 날려버릴 수 있는 별미중의 별미다. 이처럼 여름철 별미 음식으로 널리 이용되는 메밀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 중앙 아시아 북부가 원산지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기온이 차고 높은 지대..

산야초의 효능 2023.06.01

남가새(질려자)의 효능

남가새(질려자)의 효능 혈액순환촉진작용, 천연 비아그라작용, 이뇨작용, 소염작용, 혈압 낮춤 작용, 항균작용, 현기증, 감기, 눈의 피로, 눈의 충혈, 눈물이 자주 나오는데, 자양강장, 음위증, 두통, 진해, 거담, 복수, 백전풍, 사마귀, 평천, 가려움증, 안질, 전신 부종, 급성 요통, 치루, 대하, 분만촉진, 유방암, 유선암의 동통, 치아출혈, 이가 흔들리며 아플 때, 이질, 시력을 아주 좋게 하는 남가새 남가새는 바닷가 모래 언덕, 길섶에 자라는 남가새과 남가새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다년생풀이다. 남가새과는 열대와 온대의 모래땅이나 사막에 약 21속 160여종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속 1종이 분포되어 있다. 바닷가의 모래땅에 자라는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기고 길이 1미터..

산야초의 효능 2023.05.31

마황의효능

마황의효능 맛이 맵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은 없습니다. 폐와 방광에 작용하여 땀을 내주어 몸을 풀어주며 인체에서 발생하는 한기를 없애고 기관지를 활성화합니다. 발열과 오한이 있으면서 땀이 나지 않는 감기나 기침, 천식, 관절의 쑤심 등에 사용하며 이외에 부종, 마비, 소양감 등을 다스립니다. 추분전후에 녹색의 가는 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린 후 썰어 쓰거나 볶거나 찧어서 사용하며, 1회에 3-10g을 달여서 복용 합니다. 생것을 쓰면 발한력이 강하고 꿀로 볶거나 찧어서 쓰면 발한력이 약해집니다. 체력이 약하고, 땀이 많고, 고혈압 환자는 조심해서 써야 합니다 마황(麻黃)은 다년생 초본(草本) 또는 소관목(小灌木)으로 높이가 10~30㎝ 가량 된다. 뿌리와 뿌리줄기가 굵고 길며 단단하고 홍갈색(紅..

산야초의 효능 2023.05.30

적양자(赤陽子) 효능

적양자(赤陽子) 효능 본초명(本草名) 적양자(赤陽子)는 식물명 장미과(薔薇科) 피라칸다의 과실(果實)로서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적체(積滯)를 제거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지혈(止血)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임 1.學名 및 生物學的分類 1)학명 : Pyracantha angustifolia(Franch.) C.K.Schneid. 생물학적 분 류 2)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3)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4)목 : 장미목(Rosales) 5)과 : 장미과(Rosaceae) 6)속 : 피라칸다속(Pyracantha) 7)개화기 : 5월~6월 8)꽃색 : 노란색, 백색 9)형태 : 상록 활엽 관목 10)크기 : 높이, 1 ~ 2m 11)분포 : 중국 원산. 전라북도 및..

산야초의 효능 2023.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