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6

괭이밥의 효능

괭이밥의 효능 괭이밥 괭이밥풀, 초장초. 산미초, 작장초, 신장초, 괴싱아. 시금초라고도 하며 큰괭이밥, 애기괭이밥, 선괭이밥(왕괭이밥풀), 덩이괭이밥, 산괭이밥, 붉은괭이밥, 자주괭이밥등으로 구분한다. 집근처 빈터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봄부터 늦가을까지 피며 잎자루 끝에 달린 세 잎이 밤에는 오므라든다. 식용(어린잎). 관상용. 약용으로 쓰인다. 날잎을 찧어서 옴과 기타 피부병, 벌레물린 데 바르며, 민간에서는 토혈에 달여 먹는다. 높이는 10∼30cm이며 가지를 많이 친다. 풀 전체에 가는 털이 나고 뿌리를 땅속 깊이 내리며 그 위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옆이나 위쪽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베란다 화분 하나에 어디서 같이 따라 온 것인지 작년부터 괭이밥이 핀다. 햇살이 나면 꽃잎을 열었다가 해가..

산야초의 효능 2023.06.16

광대나물의 효능

광대나물의 효능 사지마비 타박상 골절상 근육통에 효험 근육통, 사지마비, 나력, 림프절 결핵, 타박상, 골절상, 고혈압, 활혈통락, 해독소종, 근골동통, 반신불수, 안면신경마비, 황달, 축녹증, 종독, 황수창, 어혈 동통에 효험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은 꿀풀과의 한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연약하고 사각 기둥 모양이며 늘 자색을 띠고 있다. 거꾸로 자란 털이 드문 드문 있으며 높이는 10~60센티미터이다. 잎이나 기부는 신장형이나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고 약간 갈라져 있다. 잎의 윗면과 밑면은 모두 털로 덮여 있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기부는 줄기를 싸고 있다. 화륜에 꽃이 2개 내지 몇 개가 있는데 화병이 없고 액생하며 꽃떡잎이..

산야초의 효능 2023.06.15

고수의 효능

고수의 효능 전세계인이 즐기는 향신료 고수풀 건위작용, 소화작용, 담즙 분비 작용, 항진균 작용, 강장작용, 진해, 구풍, 복통, 현기증, 육류 및 생선 냄새 제거, 식중독, 홍역내공, 두창, 치질, 두통, 치통, 설사, 소화불량, 병후회복, 식욕부진, 전립선염, 향신료 및 향미료에 좋은 고수풀 고수풀은 미나리과의 일년생 초본 식물이다. 전초에 털이 없다. 주근은 가늘고 보통 방추형이며 다수의 측근이있다. 줄기는 직립하고 가운데가 비어 있다. 높이는 20~60cm이고 가는 능선이 있다. 최초의 뿌리에서 난 잎은 긴자루가 있고 1~2회 깃꼴로 분열하였으며 열편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부채 모양이고 기부는 쐐기 모양이다. 경엽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비교적 짧고 2~3회 깃꼴로 깊이 갈라졌으며 최후의 열편은 선..

산야초의 효능 2023.06.14

고마리의 효능

고마리의 효능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덩굴식물이며 줄기에는 밑으로 향한 거친 가시들이 나 있다. 잎은 3각꼴로 잎자루가 달리는 쪽의 양 끝이 옆으로 길게 퍼진다. 잎과 잎자루에는 거꾸로 향한 가는 가시들이 달리며 잎자루가 나오는 줄기에는 얇은 막으로 된 잎집이 있다. 꽃은 분홍색이며 8~9월에 피는데, 하얀색 또는 약간 진한 분홍색을 띠기도 한다. 가지 끝에 달리는 꽃은 꽃잎은 없으나 꽃받침잎이 5장 있다. 주로 물가에서 자라며, 특히 하수구 근처와 같은 더러운 물이 있는 곳에서 많이 자라므로 물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식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8~9월에 줄기와 잎을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쓰기도 하는데, 칼에 베인 상처 부위에 잎을 찧어서 바르면 흐르는 피가 ..

산야초의 효능 2023.06.13

개연꽃의 효능

개연꽃의 효능 식물명 : 개연꽃, 개구리연, 개연, 긴잎련꽃(중) 학명 : Nuphar japonicum DC. 분류군 : 수련과 개화기 : 8월, 9월 잎 : 잎은 근생이며 침수엽과 수상엽, 2형이 있다. 침수엽은 길고 좁으며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막질이다. 수상엽은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밑부분이 전형 (箭形)이며 길이 20-30cm, 폭 7-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어릴 때 털이 약간 있으며 광채나는 혁질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상 구형이며 물속에서는 초록색이고 길이 4cm내 외이며 익으면 물컹해져 종자가 나온다. 꽃 : 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피며 뿌리에서 원주형의 긴 화경(花梗)이 나와 황색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지름 5cm..

산야초의 효능 2023.06.12

각시둥굴래의 효능

각시둥굴래의 효능 둥글레 이름의 유래 1. 둥굴레는 에 옥죽(玉竹), 괴무릇으로 표기 되어 있다. 이에 비해 ‘독일은방울꽃(Convallaria majalis)’을 둥글래싹, 둥구리싹이라 하는데 여기서 둥글은 원(圓)이라는 뜻으로 령(鈴방울령)과 비슷한 소형의 흰 꽃이 피기 때문이라고 되어있다. 그런데 이 둥굴래싹과 둥구리싹의 음이 둥굴레와 비슷하다. 그러므로 이 식물의 이름은 잎이 둥글고 ‘독일은방울꽃’과 비슷한 꽃을 피우는 데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2. 둥굴레는 잎에 난 나란히맥이 잎 모양대로 둥글게 나서 붙은 이름이다. 3. 다른 이름에는 옥죽, 황정, 죽네풀, 괴불꽃이 있다. 흉년의 영양식 둥굴레의 뿌리줄기는 보통 뿌리보다도 굵고 영양분을 저장하는 구실을 하며, 녹말을 비롯해 영양분이 풍부하게 들..

산야초의 효능 2023.06.11

가락지나물의 효능

가락지나물의 효능 목 명 : 장미목 한 글 가락지나물 과 명 : 장미과 한 자 蛇含委陵菜 학 명 : 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 영 문 : Klein cinquefoil 일반정보 원산지 : 한국 분 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 태 : 다년생 초본 크 기 : 높이가 20-60cm 정도로 자란다. 잎 : 근생엽은 긴 엽병끝에 5출장상복엽이 달리고 줄기에 잎이 3개씩 달리며 엽병이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1-5cm, 폭 8-20mm 로서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뒷면 맥위에는 복모가 있고 가장 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

산야초의 효능 2023.06.10

망초대(개망초)의 효능

망초대(개망초)의 효능 개망초는 국화과의 망초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세계에 약 25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순수토종과 외국에서 귀화된 종류가 여러종 있는데, 민망초, 개망초, 실망초, 망초, 주걱개망초, 구름국화, 흰구름국화, 과꽃 등이 자라고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처의 밭, 들판, 길가, 산비탈에 자라는 2년생 초본 귀화식물이다. 키는 30~100센티미터이고 전체에 털이 많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잎자루가 길며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난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대부분 실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연모(緣毛)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꽃은 5~11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모여 산방꽃차례처럼 피..

산야초의 효능 2023.06.09

감수(개감수)(독초)의 효능

감수(개감수)(독초)의 효능 감수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Euphorbia sieboldiana 분류 : 대극과 분포지역 : 한국, 사할린섬 남부, 쿠릴열도 남부 서식장소 : 산과 들 크기 : 높이 20∼40cm 강심작용, 사하작용(장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설사를 일으키는 작용), 항염증작용, 몸이 붓고 배에 물이 찼을 때, 숨차고 소변이 잘 나가지 않을 때, 오줌내기약, 센 설사약, 이뇨, 사하, 부기, 수종, 복수(물고임), 각기, 숨이 차고 기침이 날 때, 늑막염, 가슴 아픔, 황달, 사수음(瀉水飮), 파적취(破積聚), 통이변(通二便), 수종창만(水腫脹滿), 류음(留飮), 결흉(結胸), 당뇨병, 저리고 아플 때, 대소변이 나오지 않을 때, 간질, 식도암,징가..

산야초의 효능 2023.06.08

개구리밥 (부평초) 효능

개구리밥 (부평초) 효능 외떡잎식물 : 천남성목 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개구리밥과 분포지역 : 온대에서 열대 서식장소 : 논이나 연못의 물위 크기 : 엽상체 길이 5∼8mm, 나비 4∼6mm 부평초·수평·머구리밥·자평이라고 한다.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가을에 모체에서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위로 나와 번식한다. 엽상체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5∼8mm, 나비4∼6mm이고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상체 뒷면 가운데에서 가는 뿌리가 5∼11개 나오고 그 옆에서 새로운 싹이 생겨 번식한다. 꽃은 흰색이며 7∼8월에 간혹 피는 것이 있으나 매우 작아서 찾아보기 어렵다. 1개의 포 안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산야초의 효능 20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