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7

깽깽이 풀의 효능

깽깽이 풀의 효능 속 명 : 조황연.상황련.천연.황연.토황연.모황련 분포지 : 남부. 중부. 북부지방의 산골짜기 낮은 곳 개화기 : 4 - 5 월 꽃 색 :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결실기 : 7 월 높 이 : 25 cm 안팎 특 징 : 원줄기는 없고 뿌리줄기에서 여러개의 잎이 나온다. 잎이 연잎을 축소한 모양 같아 황연이라 한다. 용 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효 능 : 뿌리 줄기를 이뇨. 하리. 당뇨. 임질 건위 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복통과 설사에 깽깽이풀 뿌리 1 - 2 돈을 물 2홉에 넣고 그 반이 될 때까지 달여서 1일 3번씩 식후에 데워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원래 위장이 약한 사람도 평상시 복용하면 위장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다. 황련(깽깽이풀) 강장 동맥경화 병후쇠..

산야초의 효능 2023.05.18

벌개미취의 효능

벌개미취의 효능 벌개미취(쑥부쟁이) 학명은 Aster koraiensis Nakai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고려쑥부쟁이, 별개미취, 조선자원으로 불리며, 꽃말은 너를 잊지 않으리. 추억. 숨겨진 사랑. 청초 등이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60~100cm이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잎대가 없고 가에 톱니가 있다. 6~10월에 연한 자주색 두상화(頭狀花)가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산이나 들에서 나는데 중부이남 제주도에서 강원도 이남까지 분포하며, 꽃은 6월에서 10월까지 피는 야생꽃이다. 벌개미취 야생성이 강하여 토질이나 환경에 상관없이 잘 자라고 건조에 강하며 환경에 대한 내성도 강하다. 양지 바른 곳을 좋아하며 습한 곳을 제외하면 어느 곳에서나 잘 자..

산야초의 효능 2023.05.17

전호나물의 효능

전호나물의 효능 ▶식물명 = 바디나물 / 다른이름 : 전호, 사양채, 연삼, ▶학명 = Anthriscs aemula Schisch ▶목명 =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80~150cm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깃모양 겹잎인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피침 모양이고 잎 밑 이 잎줄기로 흘러 날개 모양을 이룬다. ▶8~9월에 자주색 또는 흰색 꽃이 가지나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길이4mm쯤의 타원형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중국,등지 에 분포. ▶바디나물의 어린순은 식용하고, 한방및 민간에서 뿌리를 말린 것을 일전호(日 前胡)라하여 두통, 부인병, 해열, 진통, 진해, 거담, 기관지염, 감기,..

산야초의 효능 2023.05.16

매발톱의 효능

매발톱의 효능 ▒ 매발톱나무의 효능과 활용에 대하여.. 매발톱나무는 줄기와 잎에 매의 발톱처럼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매자나무과의 떨기나무이다. 우리나라 중, 북부지방의 깊은 산속이나 산능선 양지 쪽에 많이 자라며 상동나무, 시금치나무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가을철에 빨갛게 익는 열매가 먹음직스럽고 사랑스럽다. 우리나라에는 왕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 매자나무, 연밥매자나무, 좁은잎매자나무 등의 닮은 식물이 자라고 있다. ▶ 학명: Berberis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 영명: Amur Barberry ▶ 원산지: 한국 ▶ 꽃말 : 승리의 맹세 ▶ 분류: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 분포: 일본, 만주, 중국,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다후리..

산야초의 효능 2023.05.15

홀아비꽃대의 효능

홀아비꽃대의 효능 홀아비꽃대는 한반도 각처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곧게 서며, 그 끝에는 4개의 잎이 서로 붙어서 마주나므로 얼핏 보면 마치 돌려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른 봄이 되면 줄기 끝에서 흰색의 꽃들로 이루어진 1개의 꽃이삭이 자란다. 3개의 긴 수술대를 가지는데, 이들은 아랫부분에서 서로 합쳐져 씨방에 붙어 있다. 이 중 바깥쪽 2개의 수술대는 아랫부분에 꽃밥이 있는 반면, 가운데에 있는 하나의 수술대는 꽃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꽃이삭이 촛대처럼 홀로 피는 홀아비꽃대 종양 억제 작용, 혈액순환촉진, 기의 순환 조절, 풍습통, 악창, 옴, 머리상처, 백전풍, 피부병, 상처를 아물게 하는 약, 눈과 코 점막의 염증, 학질, 기침멎이약, 피부가려움증, 유방종결, 뱀에 물린 상처, ..

산야초의 효능 2023.05.14

등심초(골풀)의 효능

등심초(골풀)의 효능 꽃말: 온순 외떡잎식물 백합목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등심초라고도 한다. 들의 물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짧은 마디가 많으며 여기서 원기둥 모양의 밋밋한 녹색 줄기가 나온다. 줄기는 속이 가득 차 있고 잎은 비늘 모양으로 밑동에서 나서 줄기를 감싼다. 꽃은 5∼7월에 줄기 윗부분에서 총상꽃차례로 옆으로 1개씩 달리며 녹갈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세모난 달걀 모양이며 9∼10월에 익는다. 생약 등심초는 줄기 속을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진통·이뇨·지혈 등에 처방한다. 한국(전라남도)·일본·타이완·중국·헤이룽강·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늦여름과 이른가을 사이에 줄기를 잘라서 참..

산야초의 효능 2023.05.13

꼭두서니의 효능

꼭두서니의 효능 사진에 보는 약초는 산과 들에 많이 있어서 구하는데 그리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 됩니다. 이것을 캐어 보면 뿌리가 가는 게 노란색이 나지요. 뿌리를 한줌 넉넉히 캐어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돌로 약간 두드려 찌어 30도 소주에 담근 후 바로 아침 저녁으로 한 잔씩 들어 보세요 . 2년 전에 어느 어르신네가 가르쳐 주셔서 술에 담가 한 달도 채 안먹었는다 나은게 아직까지도 아프지 않으니 너무나 신기 하지요. 저희 친구들도 해 먹는 사람마다 다 나으니 하도 신기 해서 이렇게 올려 봅니다 . 사진에 보는 약초의 학명은 모르겠네요 다만, 그 어르신네가 신경초라고 하더군요. 우리 중년들 거의 무릅과 관절이 아파서 고통이 심하지요. 여러분들도 해 잡수시고 즐거운 생활을 하시도록 해보세요. 컴에 자료를 ..

산야초의 효능 2023.05.12

큰뱀무의 효능

큰뱀무의 효능 뱀무 - 혈액순환촉진 음위증 정신불안에 효험 장미과의 뱀무속은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 대에 수십 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하고 있다. 큰뱀무와 뱀무가 자라고 있다. 큰뱀무는 개화기가 6~7월에 결실기는 8~9월이다. 뱀무는 개화기가 6~7월에 결실기는 9월이다. 뱀무는 산과 들의 습기가 있는 풀밭 또는 황무지나 들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여러 개가 모여 나는 뿌리잎은 새깃꼴로 깊게 가라진 모양이 무잎과 비슷하다. 잎자루 끝의 작은 잎은 크고 흔히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는 25~100cm 높이로 곧게 자라며 전체에 털이 나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작고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7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몇 개씩 핀다. 둥그스름한 열매에는 긴..

산야초의 효능 2023.05.11

쥐오줌풀의 효능

쥐오줌풀의 효능 유럽에서는 천연 불면증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어 해마다 가장 많이 판매되는 자연약초라고 합니다. 일년에 50톤 이상이 판매 된다고 합니다. 유럽은 대체요법이 발달하여 부작용이 강한 화학약물 대신 천연약초로 만들어진 대체요법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하지요 합리적인 사람들입니다. 쥐오줌풀 학명 : Valeriana officinalis 영어 이름 : Velerian 독일어 이름 : Baldrian 원산지 : 기후가 온화한 유라시아 쥐오줌풀은 2000년 훨씬 이전부터 약초로 이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기원전 500년 전에 히포크라테스가 서양 쥐오줌풀의 안정작용과 경련 해소작용에 대해서 기술한 바 있으며 불안감과 신경과민에 대해서 서양 쥐오줌풀을 권하였다. 쥐오줌풀이 혹자는 성경..

산야초의 효능 2023.05.10

기린초의 효능

기린초의 효능 속명 : 북경천. 비채. 경천삼칠. 혈산초. 꿩의비름 분포지 : 남부. 중부. 북부지방의 산 바위틈 개화기 : 5 - 7 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9월 높이 : 30 cm 안팎 특징 : 전체가 육질이며 잎이 두껍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 성분과 약성 기린초는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여러 대의 줄기가 포기로 자라며 높이는 20cm 안팎이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는데 자리하는 간격이 좁다. 잎의 생김세는 계란꼴 또는 길쭉한 타원꼴로서 두텁게 살쪄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가 나 있다. 일반적으로 노란 기운이 감도는 푸른빛인데 불그스럼한 갈색빛을 띠고 있을 때도 있다. 6~8월에 피는 ..

산야초의 효능 202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