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20

애기똥풀의효능

애기똥풀의효능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양귀비과 애기똥풀속 학명 :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분포 : 아시아, 유럽 서식 : 길가, 풀밭 크기 : 약 30cm~80cm 꽃말 : 몰래 주는 사랑 애기똥풀은 일찍이 독일에서 제약자원으로 썼던 식물이다. 생약명을 백굴채(白屈菜, chelidonium herba)라 하였다. 이 생약은 월년초이고 온대지역에 광범하게 분포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생약명은 백굴채(白屈菜)라고 한다. 꽃을 포함한 모든 줄기와 잎을 약으로 쓴다. 꽃피고 있을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잘게 썬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독이 있어서 과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 식물의 ..

산야초의 효능 2023.04.21

꿩의다리의 효능

꿩의다리의 효능 ▶ 어린 줄기와 잎은 독을 제거한 후 식용한다. ▶ 정원이나 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 根(근) 및 根莖(근경)을 翅果唐松草(시과당송초)라 하며 약용한 다. ① 가을에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건조한다. ② 약효 : 淸熱(청열), 해독 효능이 있다. 肺熱咳嗽(폐열해수), 咽峽喉炎(인협후염), 각종 熱症(열 증)을 치료한다. 黃連(황련) 대용으로 쓴다. ③ 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시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한방에서 감기·두드러기·설사·장염·이질·B형간염·결막염·종기 등에 약으로 쓴다. 꿩의다리 어린 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한방에서 뿌리줄기와 뿌리를 동아당송초(東亞唐松草)라 하여 청열, 해열, 치통, 급성피부염, 소염, 습진, 감기, 홍역, 복통, 이질, 종..

산야초의 효능 2023.04.20

녹약(鹿藥,풀솜대)의 효능

녹약(鹿藥,풀솜대)의 효능 풀솜대는 백합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학명은 Smilacina japonica A. Gray 이다. 분 포 :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 자생지 : 산지와 숲속에서 자란다 풀솜대는 키가 20-50 cm정도 자라며 꽃은 흰색으로 5~7월에 핀다. 특징 잎 : 잎은 5∼7개가 두 줄로 배열하고 긴 타원형으로 세로맥이 있으며 양면에 털 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위로 갈수록 털이 많다. 꽃 : 5∼7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의 원추꽃이삭에 달린다. 꽃은 지름 5mm 정도이고 화피는 6개이며 옆으로 퍼진다. 씨앗 : 장과는 둥글고 지름 5mm 정도이며 적색으로 익는다. 결실기는 8 월이다. 풀솜대의 이용 ★ 식용 어린 순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 약용(효능..

산야초의 효능 2023.04.19

단삼의 효능

단삼의 효능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40∼80cm이고 전체에 털이 많이 난다. 중국이 원산지 이다. 줄기는 모나고 자줏빛을 띠며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친다. 뿌리는 붉은 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홀잎 또는 2회 깃꼴겹잎으로 긴 잎자루가 있다. 작은잎은 1∼3쌍으로 달걀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층층이 달린다. 꽃대에 선모(腺毛)가 빽빽이 있다. 포는 줄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작은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8∼10cm의 통(筒) 모양이고 자줏빛이 돈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길이가 2∼2.5cm이며 아랫입술꽃잎이 3갈래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 중 가운데 것이 가장 길고 끝이 파지며 가장..

산야초의 효능 2023.04.18

수정란풀의 효능

수정란풀의 효능 수정란풀은 허약체질, 진경, 진정, 익정, 이뇨, 몸보신, 기침, 해수에 효험이 있다 보통 식물이라면 당연히 초록색이여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만 수정란풀은 하얀 백색에 백수정과 같은 맑은 색을 띠고 있는것이 보기에도 깨끗함을 느끼게 해주는 부생 초본 식물이다. 수정란풀의 다른이름은 몽란화(夢蘭花), 수란초(水蘭草), 수정란(水晶蘭)등으로 부른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과 러시아 등지에서도 자란다. 수정란(Monotropa uniflora L.)은 노루발과의 기생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높이가 약 18센티미터이고 식물 전체가 백색을 띠며 뿌리는 매우 가늘고 엉켜서 덩어리 모양이며 표면이 균근으로 덮여서 갈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수정란풀속은 전세계에 3~4종이 있으..

산야초의 효능 2023.04.17

당뇨초(명월초,구명초)의 효능

당뇨초(명월초,구명초)의 효능 명월초는 베일속의 신비한 약초식물 중국에서는 명월초라 하고 일본에서는 구명초라 하며 한국에서는 당 뇨 초라고 합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명월초에 대하여 오래전부터 연구를 하고있으며 한국에서도 몇년전부터 신비함의 베일을 벗기기 위하여 연구하고 있답니다. 명월초는 혈압과 당뇨의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 밝혀진 혈행 개선과 신장에도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나의 경험으로 명월초잎을 단 2잎을 먹는도중에 눈이 광명을 찿은듯 번뜩이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른분들도 그렇한 느낌을 받았다고합니다. 불과 몇개월 전만해도 국내에선 거의 모르는 약초식물 이었습니다. 하늘의 별따기 처럼 구하기가 어려웠으며 가격도 1주에 10만원 이상이었으나 국내에서도 재배에 성공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산야초의 효능 2023.04.16

냉초의 효능

냉초의 효능 냉증과 숙변없애는 냉초 냉초라는 이름은 냉증을 고친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수뤼나물 또는 숨위나물이라고도 하며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1~1.5미터쯤 자라고 잎은 3~5개씩 돌려나기로 나는데, 잎모양은 넓은 피침꼴 이다. 여름에 붉은 빛이 섞인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피어서 가을에 둥근 열매가 달린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기슭에 더러 자란다. 뿌리에 사포닌, 잎과 줄기에는 쿠마린, 아스코르빈산, 알칼로이드 등이 들어 있다. 민간에서 흔히 쓰고 전통 한의학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 이른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서 여성의 냉증이나 대하증, 불임증 치료약으로 쓴다. 특히 여성이 아랫배와 자궁이 허하고 냉하여 생긴 불임증에 효과가 좋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나 요통 등에 통증을 멎게 하..

산야초의 효능 2023.04.15

쇠비름(五行草)의 효능

쇠비름(五行草)의 효능 오행초(쇠비름). 잎은 푸르고, 꽃은 노랗고, 줄기는 빨갛고, 씨앗은 까맣고, 뿌리는 하얗다 하여 오행초라고 부른다. 이질을 낫게 한 잡초 옛날, 아버지를 여의고 나이 많은 어머니와 세 아들이 함께 사는 집이 있었다. 맏아들과 둘째 아들은 장가를 들어 가정을 꾸렸지만 막내아들은 아직 총각이어서 늘 쓸쓸하게 지냈다. 늙은 어머니는 막내아들이 혼자 지내는 것이 안쓰러워 민며느리를 들이기로 했다. 그래서 중매장이를 통하여 가난한 집 처녀를 돈을 주고 사서 막내 아들의 민며느리로 삼았다. 그런데 늙은 시어머니와 큰 동서는 이제 열네 살밖에 안 된 어린 며느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 심하게 구박했다. 다 헤어진 옷을 입히고 먹다 남긴 음식을 주었으며 힘들고 어려운 일만 시켰다. 그뿐 아니라 걸..

산야초의 효능 2023.04.14

박새(속앓이 고치는 독초), 여로의 약효

박새(여로)의 약효 여러 종류의 여로와 박새. 여로와 박새는 생김새도 비슷하고 효능도 비슷하다. 하나, 옛날, 어느 마을에 사는 농부의 막내 아들이 간질에 걸렸다. 일 년에 한번 발작하기도 하고, 한 달에 한 번, 때로는 여러번 발작하기도 하는데 발작할 때의 증상은 각기 달랐다. 발작이 시작되면 갑자기 기절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입에 거품을 물고 헉헉대기도 하고, 헛소리를 하기도 하며 갑자기 난폭해져서 사람을 때리고 마구 욕을 하기도 했다. 날이 갈수록 증세가 점점 심해져서 이웃집 아이를 때려서 다치게 한 것이 여러 번이었고, 또 언젠가는 이웃집 돼지를 죽여 그 값을 물어 준 일도 있었다. 식구들은 가는 데마다 말썽을 일으키는 막내 아들을 성가시게 여겼다. 어느 날 막내 아들이 또 발작을 일으키자 ..

산야초의 효능 2023.04.13

이질풀의 효능

이질풀의 효능 설사와 변비 동시에 고치는 약초, 이질풀 이질풀은 가을철이면 높은 산꼭대기의 풀밭이나 개울가의 빈터 같은 곳에 무리지어 연한 보라빛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그 꽃빛깔이 가을 하늘보다 맑고 청초하다. 꽃이 피기 전에는 눈에 잘 뜨이지 않아 그런 풀이 있는 줄도 모르 다가 초가을철 산꼭대기 넓은 들에 꽃이 가득 만개하여 밤하늘 별빛처럼 수놓은 뒤에야 사람들이 야, 이렇게 아름다운 꽃도 있구나 하고 관심을 갖는 풀이 이질풀이다. 줄기는 30-60센티미터쯤으로 땅에 비스듬하게 깔려서 뻗어 나가고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4-5개 갈라진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줄기차게 피었다 진다. 꽃잎은 다섯 장이며 흰 빛, 보라빛, 연보라빛, 붉은 빛 등 여러 색깔로 핀다. 꽃이 지고 나면 하늘로 향해..

산야초의 효능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