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22

하늘타리(쥐참외)의 효능

하늘타리(쥐참외)의 효능 과명: 외과 학명: Trichosanthes ririlowii MAX. 이명: 쥐참외용도: 뿌리와 열매를 식용,약용한다. 하늘타리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에 흔히 자라는 박과에 딸린 덩굴식물이다. 가을에 참외보다 좀 작은 타원꼴 열매가 황금빛으로 익어 그 이듬해 봄까지 줄기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모습을 제주도나 남쪽 섬지방 같은데서 흔히 볼 수 있다. 하늘타리 뿌리를 천화분(天花粉)이라고 하는데 마치 칡뿌리처럼 생겼으며 예로부터 약으로 귀하게 썼다. 하늘타리 열매의 주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인데 이 성분이 복수암(腹水癌)세포를 죽이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 하늘타리 열매의 항암작용은 그 씨앗보다 열매껍질이 더 세다. 하늘타리 열매씨의 JTC-26세포(암세포의 한 종류..

산야초의 효능 2023.03.24

자귀나무의 효능

자귀나무의 효능 콩과(Leguminosae) ● 합환목(合歡木)이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silk tree라고 합니다. 북한에서는 야합수라고도 부릅니다. ● 한의학에서는 자귀나무의 껍질을 합환피(合歡皮)라고 부릅니다. ● 산 중턱의 햇빝 따뜻한 곳에 사는 나무입니다. 키는 사람 키의 두 배 정도 됩니다. 잎은 어긋나며, 2회 깃꼴겹잎입니다. 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약 20 송이가 산형화서로 붙으며, 양성 화입니다. 수술이 두드러지게 보이는데 윗부분은 붉고 밑부분은 흰색입니다. 꽃은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합니다. 가을에 꼬투리 열매가 달리며 크기는 손가락 정도의 길이입니다. ● 관상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세공재로 사용됩니다. 자귀나무효능 : 자귀나무의 껍질은 맛이 달고 성질은 평하다. 심경, 간경에 작..

산야초의 효능 2023.03.23

천남성(天南星)의 효능

천남성(天南星)의 효능 (1)식물명 : 천남성 (2)학명 : Arisaema amurense Maxim. var. serratum Nakai (3)생약명 : 천남성 (4)과명 : 천남성과 (5)향명 : 청사두초 (6)이명 : 삼봉자, 남성 (7)약성가 및 고서 : 南星性熱治痰厥 破傷身强風蓄發, '남성은 성열하다. 담궐, 파 상신강, 풍축 발작을 다스린다. 비허에 담이 많은데는 생강찌꺼지를 섞어 진흙으로 싸서 굽는 다.'(본초) (8)분포지 : 전국에 분포 (9)주요생육지 : 제주도를 포함하여 백두산까지 폭넓게 분포, 산지의 그늘지고 습 한곳 (10)분류 : 여러해살이 풀 (11)잎 및 줄기 높이 15~50㎝으로 외대로 자라고 줄기는 굵고 육질이며 연한 녹색 바탕에 자주색 점무늬가 있다. 잎은 새발 모양을..

산야초의 효능 2023.03.22

줄풀의 효능

줄풀의 효능 줄은 강가에 살던 사람에게 친근한 풀이다. 강 옆이나 연못, 방죽 같은 데에 무리를 지어 흔히 자란다. 잎은 갈대를 닮았는데 갈대보다 훨씬 넓고 키도 갈대보다 크다. 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1∼2미터쯤 자라고 진흙 속에 굵고 짧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은 길이 50센티미터에서 1미터, 넓이는 2∼3센티미터쯤이며 아래쪽이 둥글고 끝은 뾰족하다. 꽃은 8∼9월에 30∼50센티미터 되는 꽃이 싹이 올라와서 연한 황록색 꽃이 피어 10월에 길이 2센티미터쯤 되고 길쭉하게 생긴 열매가 익는다. 줄 열매는 옛날에 구황식품으로 흔히 먹었다. 서양에서는 줄풀의 열매를 와일드 라이스(Wild-rice), 곧 야생 쌀이라고 부른다. 한자로는 고미(苽米), 또는 교백자(狡白子), 고실(孤實..

산야초의 효능 2023.03.21

붉나무(오배자)의 효능

붉나무(오배자)의 효능 붉나무(Rhus chinensis) 오배자나무라고도 함. 옻나무과(―科 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 키는 7m에 이른다. 잎은 7~1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어긋나며,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잔잎과 잔잎 사이에는 날개가 있다. 8~9월에 담황색 또는 흰색의 꽃이 암수 따로따로 피거나, 같이 줄기 끝에 원추(圓錐)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꽃잎·꽃받침잎·수술은 각각 5개이며, 암술에는 3개의 암술대가 달려 있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붉게 익으면 하얀 분가루가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봄에 어린순을 데쳐 나물로 먹기도 하는데, 사람에게 유독한 성분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붉나무에 기생하며 자라는 붉나무진딧물(Melaphis chinensis)은 주머..

산야초의 효능 2023.03.20

족두리풀(세신)의 효능

족두리풀(세신)의 효능 두통,기관지천식,감기,어혈,사지마비,근육통,관절염,눈을 맑게하고 가슴을 열어주는 장수 보약 족두리풀은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꽃의 모양이 옛날 결혼식에 사용하던 족두리와 비슷하여 족두리풀이란 식물명이 붙여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도감이나, 약초책에서는 '족도리풀' 이라고 잘못 표기 되어 있다. 족두리풀은 다년초로서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줄기 끝에 2개가 나며, 사람의 콩팥모양이며, 길이 10-15cm이다. 꽃은 4-5월에 쥐방울 모양의 홍자색이 핀다. 족두리풀을 세신이라고 하는데, 뿌리가 가늘면서 매운 맛이 있기 때문에 세신(細:가늘세 辛:매울신)이라고 한다. 뿌리를 캐어 코에 대보면 시원한 향이 가슴을 뚫리게 하며 그 냄새가 기분을 ..

산야초의 효능 2023.03.19

참가시나무의 효능

참가시나무의 효능 강장 강정작용이 높고 몸안의 결석 녹이는 참가시나무 흔히 '가시나무'라고 하면 가시가 돋친 나무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가시가 없으면서도 이름이 가시나무인 나무가 있다. 참가시나무, 돌가시나무, 북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등이 가시없는 가시나무들이다. 가시나무는 도토리가 열린다는 점에서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등과 같다. 도토리나 상수리 따위가 열리는 나무를 모두 아울러 참나무로 부르는데 참나무 가운데서 겨울철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성의 참나무를 가시나무라고 부른다. 참나무에는 겨울에 잎이 지는 것과 지지 않는 것이 있다. 겨울에 잎이 지는 참나무는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라지만 겨울에 잎이 지지 않는 참나무는 따뜻한 남쪽지방 일부에서만 자란다. 그런 까..

산야초의 효능 2023.03.18

만병초의 효능

만병초의 효능 높은 산꼭대기에 자라며 고혈압,저혈압,관절염,간경화증,심장병,두통,비만증 등에 두루 좋은 효능을 보이는 이름 그대로 만능의 약초다,, ▶ 약재에 대하여 만병초는 높고 추운 산꼭대기에서 자라는 늘푸른떨기나무로 잎은 고무나무 잎을 닮았고 꽃은 철쭉꽃을 닮았으며 하얗게 핀다. 천상초(天上草), 뚝갈나무, 만년초, 풍엽, 석암엽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중국에서는 칠리향(七里香) 또는 향수(香樹)라는 이름으로 부르는데 꽃에서 좋은 향기가 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우리나라에는 태백산, 울릉도, 한라산, 지리산, 오대산, 소백산, 설악산 등 해발 1천 미터가 넘는 곳에서 자란다. 백두산에 노랑색 꽃이 피는 노란만병초의 군락이 있고, 울릉도에는 붉은 꽃이 피는 홍만병초가 있다. 생명력이 몹시..

산야초의 효능 2023.03.17

한련초(旱蓮草)의 효능

한련초(旱蓮草)의 효능 머리카락을 검게 하고 대머리를 다스린다는 풀 줄기에 상처를 내면 먹처럼 까만 즙이 흘러나오는 풀이있다.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 지방의 논이나 개울가, 물기 있는 땅에 자라는 한해살이 풀이다. 한련초는 희어진 머리를 검게 하고 수염을 잘 자라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한련초 생즙을 머리카락에 직접 바르는 방법도 있다. 또한 양젖 한 되를 달여서 한 번 끓어오르면 한련초 생즙 석 되, 참기름 두 되, 돼지기름 한 되를 넣고 두 세 번 끓어오르도록 달여서 식힌 다음 사기그릇에 담아두고 날마다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검어진다고 하였다. 한련초는 남성의 양기부족, 음위등을 치료하는데에도 효력이 탁월하다. 그리고 오래 먹으면 뻐와 근육이 튼튼해지고 몸이 날아갈 듯 가벼워지며 무병장수한다...

산야초의 효능 2023.03.16

산청목 (벌나무)의 효능

산청목 (벌나무)의 효능 산청목은 최진규씨가 처음 발견하여 이름을 붙인 약초이므로 한자이름, 영어 이름 같은 것이 없습니다. 우리나라 북쪽지방의 매우 높고 추운 골짜기에 매우 드물게 자랍니다. 갖가지 간질환에 매우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산청목에 대한 다음의 글을 참고하십시오. 지난해에 어느 국제 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간과 콩팥 질환의 선약 산청목 산청목은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다. 이 나무의 잎과 잔가지, 껍질은 지방간,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의 간질환과 소변이 잘 안나오거나자주 나오는 등의 콩팥질환에 뚜렷한 치료작용이 있다. 1998년부터 산청목을 여러 종류의 간질환과 콩팥질환이 있는 사람들한테 써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산청목은 해발 6백 미터 이상 되는 ..

산야초의 효능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