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20

투구꽃의 효능

투구꽃의 효능 투구꽃,돌쩌귀,놋젓가락나물,바꽃(약초명;附子/草烏) 그늘돌쩌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투구꽃, 세잎돌쩌귀, 놋젓가락나물,지아비꽃,이삭바꽃,키다리바꽃 등의 덩이뿌리를 약용으로 가공한 것을 말한다. 이삭바꽃 ·세잎돌쩌귀는 한국 각지의 산에서 자라고 키다리바꽃은 북부의 산에서 자란다. 가을에서 봄 사이 덩이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허약한 사람과 열증(熱症)으로 아픈 데는 쓰지 않는다. 반하(半夏),과루인(瓜蔞仁),백렴(白렴),백급(白급)등과 함께 쓰지 않는다. (1),투구꽃(Aconitum jaluense) 은 한국(속리산 이북), 중국 동북부, 러시아의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에 강한 독이 있는데, 초오(草烏)라고 하며 약용한다. 높이 약 1m이다..

산야초의 효능 2023.05.01

익지인의 효능

익지인의 효능 높이 25~30cm 정도 되는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남부 해남도 등에서 자랍니다. 여름에 여문 열매를 따서 말립니다. 쓸 때 겉껍질을 벗기고 씨만을 씁니다. 본 약제는 진액부족하면서 열이 뜨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유정을 낫게하고 축소변하고 연타를 조정하고 익기와 안신 및 조기를 한다. 반드시 약간 볶아서 사용해야 된다. 향기가 매우 강하여 너무 지나치게 볶으면 향기가 다 날라가서 약효가 나지 않으며 약간 볶고 반드시 껍질이 깨질 정도로 빻아야 된다. 이와 같이 씨앗을 약으로 쓰는 약재는 대부분 껍질이 단단해서 깨트리지 않으면 아무리 달여도 전혀 우러나지 않는다. 한방 민간요법 ▶ 소변이 탁할 때 : 익지인4g, 비해4g, 석창포4g, 오약4g, 백봉령4g, 감초 2g 을 물 ..

산야초의 효능 2023.04.30

마름의 효능

마름의 효능 항암 근골통 사지마비 사마귀 위궤양에 효험 ■항암작용 (각종암, 위암, 간암, 식도암, 유선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편평상피암 등), 자양강장약, 소화촉진, 보약, 위장병약, 수렴성 설사멎이약, 진경진정약, 땀내기약, 담즙분비약, 청서해열, 제번지갈, 익기, 건비, 안중보장, 모든 요퇴의 근골통, 전신과 사지마비, 풍습입규증, 알코올해독, 혹, 소갈증, 사망독해독, 설사, 오두의 독을 푸는데, 치질, 탈항, 정종, 황수창, 천포창, 변혈, 여러 종독, 손가락에 생긴 천사, 위궤양, 다발성사마귀, 비위보양, 무릎과 발을 튼튼하게 함, 힘을 굳세게 하고 기를 보충함, 더위를 물리치게 함, 해독, 어린아이의 주마감, 어린아이의 머리에 난 부스럼, 시력증진, 피부에 난 사마귀를 다스리며 해를 등지..

산야초의 효능 2023.04.29

다닥냉이 (정력자)의 효능

다닥냉이 (정력자)의 효능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짙은 녹색이며 한군데에서 많이 나와 방석같이 퍼지고 길이 3-8cm로서 우상복엽이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밑부분에서 위로 가면서 기수우상 및 도피침상의 단엽을 거쳐 선형으로 되며 길이 1.5-5cm, 폭 2-10mm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단각과는 길이 2.5-3mm, 폭 2mm정도로서 타원상 원형이며 납작하고 끝은 약간 오목한 2실이며 2개의 연한 홍갈색 종자가 있으며 6-7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적갈색으로서 작으며 원반형이고 가장자리에 있는 백색 막질의 날개가 젖으면 점질로 된다. 꽃은 5-7월에 피며 흰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작은 십자화가 총상화서로 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로 녹색이며 같은 수의 꽃잎은 거의 퇴화된다. 6개..

산야초의 효능 2023.04.28

산석송의 효능

산석송(다람쥐꼬리)의 효능 ▶ 중풍 소아마비 관절염 타박상 좌골신경통 사지마비에 신효 석송은 석송과에 속하는 상록성 다년생 초본인 석송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 말린다. 지면으로부터 길게 벋으면서 15~25센티미터 정도 곧추 선다. 잎은 밀생하고, 침형으로 비스듬히 처지는데, 8~9월경에 담황갈색의 포자를 형 성한다. 포자는 석송자라고 하여 약용하며, 한라산, 흑산도, 울릉도 등의 어느 정도 햇볕이 들어오는 심산 숲속의 반음지와 일본, 중국, 아프리카 등지에서 자란다. 여름에서 가을철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심장, 간장, 비장에 들어 간다. 거풍, 진통, 활혈, 이뇨, 풍습성 마비통, 관절염, 좌골신경통, 근골연약, 소아마..

산야초의 효능 2023.04.27

복수초의 효능

복수초의 효능 약재에 대하여 복수초는 이른 봄철 눈이 녹기 전에 눈 속에서 꽃을 피워 주변의 눈을 식물 자체에서 나오는 열기로 녹여 버린다. 꽃이 필 무렵에 복수초의 뿌리를 캐내어 보면 뿌리에서 온기가 느껴지고 하얀 김이 무럭무럭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굵고 짧은 뿌리 줄기에 수염 뿌리가 모여 나며, 줄기는 곧게 서고 줄기 밑동은 비늘 조각에 싸여 있다. 꽃은 2~3월에 눈 속에서 노랗게 핀다. 눈 속에서 새싹과 줄기가 움이 터 올라와서 줄기 끝에 선명한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꽃잎이 연꽃처럼 아침에 열렸다가 저녁에 닫힌다.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에는 꽃잎이 열리지 않는다. 약성 및 활용법 복수초는 맛이 쓰고 성질은 평하다. 풍습성 관절염이나 신경통에도 효험이 있다..

산야초의 효능 2023.04.26

무릇의 효능

무릇의 효능 ■ 무릇 (면조아, 지란, 지조) 1 ) 무릇의 특징 오늘 여러분과 배워보는 무릇은 외떡잎식물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2~3cm 정도 굵기의 알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릇은 4~5장의 가늘고 길쭉한 잎이 알뿌리 로부터 자라는데 보통 2장씩 마주보는 상태로 자랍니 다. 잎의 길이는 15~30cm이며 연하여 꺽어지기 쉽습니다. 무릇의 꽃자루는 잎사이로부터 길게 자라나며 높이는 50cm에 이릅니다. 꽃자루 끝에 많은 꽃이 이삭 모양으 로 모여 피는데 6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지름은 3mm 정도입니다. 무릇꽃의 빛깔은 보라빛을 띤 연분 홍색이며 꽃이 지고 난 뒤에는 길이 3mm 정도의 타원 꼴 열매를 맺는데 익으면 갈라져서 "파씨" 와 같은 검은 씨가 쏟아집니다. 무릇의 생약명은 "면조아."..

산야초의 효능 2023.04.25

남천의 효능

남천의 효능 남천의 효능과 특징, 간징환에 특효 신선이 먹는 식품(食品)으로 잎을 쌀에 섞어서 먹으면 백발이 검어지고 노인이 젊어지기 때문에 성죽(聖竹)이라 불리는 나무가 있다. 바로 남천나무(Nandiana domestica)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정초에 열매가 달린 나무를 사서 사당이나 집을 장식하며 노인에게 선물하기도 하였다. 또 남천가지로 젓가락을 만들어 사용하면 중풍을 예방 한다고 믿었다. 일본에서는 잎이 해독과 부패방지 작용을 한다고 생각하여 생선회 밑에 무채와 함께 깔거나 집안 경사 때 짓는 팥찰밥 위에 얹어서 다른 집에 보내기도 하였다. 남천의 특징 노랑, 파랑, 흰색 등 각양각색의 꽃들이 피는 여름과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되면 빨간 열매가 달리는 여러 나무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남천..

산야초의 효능 2023.04.24

조뱅이의 효능

조뱅이의 효능 조뱅이( Cephalonoplos segetum ) 요약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Cephalonoplos segetum 분류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분포지역 : 한국·중국·일본 서식장소 : 밭 가장자리와 빈터 크기 : 높이 25∼50cm 본문 밭 가장자리와 빈터에서 자라는데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 군데에서 순이 나와 높이는 25∼50cm로 자라며 줄기는 어긋나고 타원상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와 더불어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5∼8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나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3cm이고 총포는 종처럼 생기고 포조각이 8줄로 배열하며 바깥 것이 가장 작고 암꽃과 수꽃이 있으며 열매는 9∼10월에 결실하고 수과이다. 관모는 결..

산야초의 효능 2023.04.23

댑싸리(대싸리) 효능

댑싸리(대싸리) 효능 소태 변비등 특효 ㅇ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 학 명 : Kochia scoparia 분 류 : 명아주과 원 산 지 : 유럽 및 아시아 서식장소 : 들 크 기 : 높이 1m 정도 ㅇ 대싸리라고도 한다. 유럽 및 아시아 원산이다. 높이는 1m 정도로 곧게 자라고 뜰에서 재배하던 것이 들로 퍼졌다. 줄기는 처음에 녹색이었다가 붉게 된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개의 맥이 있다. 길이 2~5cm, 폭 2~8mm로 긴 털이 나 있다. ㅇ 댑싸리의 꽃 꽃은 7∼8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는데, 대가 없는 꽃이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모여 달리고 꽃 밑에 포(苞)가 있으며 윗부분의 잎이 포처럼 작아지므로 전체가 ..

산야초의 효능 2023.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