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0

종말굽버섯의 효능

말굽버섯의 효능귀하디 귀한 난쟁이(종말굽) 말굽버섯 입니다.  이 난쟁이 말굽버섯을 본래 말굽버섯이라 칭하는데요,   워낙 귀하다 보니 크기가 이 버섯의 작게는 5배 많게는 10배가 넘는 생김이   비슷한 버섯을 말굽버섯이라고들 합니다.   저도 그렇게 부르고요..   하지만, 약리 성분이 다른 게 많고 약성 또한 차이가 많다고 합니다.  건재 겨우살이와 버섯을 잘게 잘라 종이컵 한컵 분량(동량)을 물 3리터에 넣  고 작은불로 오랫동안 끓여 보리차처럼 드세요.  모양 좋은 녀석들은 술에 빠뜨려 놓으셨다 드셔도 좋습니다.  담금 후 한달 정도 지나면 황금빛으로 잘 우러나는데요,   맛도 좋거니와 보기도 여간 좋지 않습니다 ^^*  크기는 주먹만한 녀석부터 오백원 동전만한 것 까지 갖가지 고루 섞여 있습니..

산야초의 효능 2024.05.12

능이버섯의 효능

능이버섯의 효능~능이~능이버섯과 개능이버섯이 있는데~ 능이는 많이들알고있지만 개능이는 모르는분들이 많다능이는 {성능이} {참능이}라하며 흑갈색,황색,백색등으로 가끔혼란을 일으킨다는 분들이많다~ㅎㅎ~개능이~개능이는 몇년전만해도 먹지못하는버섯이라고 거들떠보지도않았던 몹쓸버섯으로 외면당하던 버섯이지만산야~에서 수년전부터 된장이나 고추장에박아두고 장아찌로도먹고 술안주로도 애용하기도하고~ㅎㅎ특히 무침요리로해놓으면은 쌉쌀한맛이 오히려 일품입니다한번맛들이면은 그맛을 잊을수가없는 고급버섯으로 어느새 대우받는 버섯으로 군림하고 있습니다 성능이는 이미 학술적으로 폐암 기관지천식 각종암에 항암기능이 있다고밝혀져 많이들 애용하는상태이고식용으로도 그맛과향은 어느버섯도 따라올수없는 독특한향으로 정평이나있습니다능이를 3키로정도 채..

산야초의 효능 2024.05.11

운지(雲 芝)버섯효능과 먹는법

운지(雲 芝)버섯효능과 먹는법운지버섯의 효능구름버섯이라고도 불리는 운지버섯. 혹시들어보셨나요?우리나라에서는 구름버섯이라 불리고 중국에서는 운지버섯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도 운지버섯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있는 듯 합니다.운지버섯의 무늬는 고풍스러움과 신비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신선도 그림 배경에 들어갈법한 구름무늬라고 해야할까요. 운지버섯은 대게 흑색, 회색을 띄고 가까이서 보면 짧은 털이 많이 나있습니다. 군집되어있는 운지버섯은 흡사 기와지붕처럼 보이기도 한답니다. 침엽수, 활엽수의 고목에서 발생하고 주로 죽은 나무나 쓰러진 나무 그루터기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버섯이 균류인건 많이들 아실텐데요, 꽃이 '피고', 열매가 '맺는'다고 표현하는데 버섯의 경우는 '발생한다'고 표현한답니다. ..

산야초의 효능 2024.05.10

황기의 효능

황기의 효능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작은잎은 길이 약 1∼2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7∼8월에 황백색 꽃이 피고 열매는 11월에 결실하며 협과다.일반적으로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황기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 피부 미용에 좋고 노화를 방지하는 데에도 좋은 효능을 보이는 약재 입니다. 섭취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피부 저항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피부의 잡티를 제거해주고여드름..

산야초의 효능 2024.05.09

홍화의 효능

홍화의 효능1.홍화씨 효능1). 홍화씨가 산삼보다 낫다‘홍화(紅花)’라는 풀이 있다. 우리말 이름은 ‘잇꽃’인 홍화는 꽃이 붉어 예부터 천연색소로 이용해왔다. 한방에서도 중요하게 취급되어 어혈(瘀血)을 푸는 약, 여자들의 생리불순을 해소하는 약으로 주로 쓰여 왔다. 홍화는 몸안의 죽은피를 몰아내면서(破血) 새 피를 만들어내기도(生血補血) 한다. 홍화의 약성은 꽃이 아니라 씨앗에 몰려 있다.뼈를 튼튼하게 하고, 뼈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홍화씨가 지상 최고의 약성을 발휘한다.뿐만 아니라 홍화씨는 인간의 생명을 연장시켜 준다.1960년대까지만 해도 홍화는 흔히 볼 수 있는 풀이었는데 멸종 직전까지 갔다가 인산 선생의 말씀으로 화려하게 부활, 이제 다시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아직도 홍화..

산야초의 효능 2024.05.08

해방풍(갯방풍)의 효능

해방풍(갯방풍)의 효능이름 그대로 중풍을 막아주고 기침과 가래를 없애는데 탁월한 효력이 있는 약초 갯방풍(해방풍)은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로 바닷가 부근의 모래밭이나 바위 절벽에 붙어서 자란다. 겨울철에 더 잎이 시들지 않으며 갯방풍 또는 빈방풍이라고도 하며 잎이나 뿌리를 나물로 무쳐서 먹기도 한다. 높이 30~40센티미터쯤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두 번 세 개로 갈리지며 쪽잎은 타원형이다. 전체에서 특이한 향기가 나며, 여름철에 흰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피고 가을에 날개가 붙은 타원형의 납작한 열매가 달린다.   -. 해방풍을 술로 담가서 먹으면 오래된 중풍을 고칠 수 있다. -. 해방풍을 다른 이름으로 북사삼(北沙蔘)이라고도 한다. -. 한의학에서 흔히 쓰는 방풍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

산야초의 효능 2024.05.07

해바라기 씨의 효능

해바라기 씨의 효능과 용법해바라기씨는 노화를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위 건강을 좋게하고, 치매 예방, 천식 개선, 변비에 효능이 있다해바라기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식물로, 꽃은 두상화이다. 해바라기속에 속하는 다른 여러해살이풀도 보통 해바라기라 부른다.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16세기에 유럽에서 도입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관상용으로 많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해바라기가 속하는 해바라기속 식물은 약 60종 이상이 있다. 꽃이 태양이 있는 방향으로 향하는 성질(굴광성)이 있다. 영양번식은 가능하다고만 알려져 있을 뿐 자세히 알려져 있진 않다역사약 2,000~3,000년 전부터 북미 인디언이 식량작물로 해바라기를 재배하기 시작한 이후, 콜럼부스의 신대륙 발견을 통해 1510년 스페인으로 건너갔고, 1600..

산야초의 효능 2024.05.06

해국의 효능

해국의 효능해국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우리아라 동서해안의 절벽지대에서 자란다.해국의 키는 30~60cm 정도인데, 8월 중순경에 연보라색의 꽃이 피기 시작하여 11월경에 열매가 여문다.약으로는 전초(전초)를 쓴다.간부위통증, 소화장애, 고창 등의 자각증상은 87.5%이상 없어졌거나 개선되었고, 교질반응은 81%, 효소반응은 100%가 개선 되었다고 한다."경희대학교 약학대에서 성분을 조사한 자료에서는, 해국이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한다.민간에서는, 해국의 어린 잎은 식용하며, 전초를 이뇨제, 보익제, 해수, 방광염 등의 약으로 사용한다.또한 기침이나 감기가 걸렸을 때 해국 전초를 달인물로 식혜를 담가서 먹거나, 막거리를 만들어 마시면 질병을 퇴치하기도 한다......

산야초의 효능 2024.05.05

포도씨의 효능

포도씨 효능 9가지와 부작용포도종자 추출물이라고도 불리는 포도씨, 해외에서 포도씨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 되었는데요, 현재까지 포도종자 추출물로 진행 된 연구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우리에게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포도씨, 포도종자 추출물과 관련,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대체 통합건강센터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에 포도종자 추출물 관련 예비 연구를 지원 했으며 미국 국립 암연구소는 전립선암, 폐암, 결장암 예방 관련 포도종자 추출물에 대한 예비 연구를 지원 했는데요, 프랑스인들의 심장질환 관련이 낮은 이유가 포도주 때문일 것이라 가정하여 포도 관련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식품군에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 포도종자 추출물 섭취와 유익한 생리적 ..

산야초의 효능 2024.05.04

풀솜대(지장나물)의 효능

풀솜대(지장나물)의 효능분류 : 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분포 : 일본·중국·우수리강·헤이룽강 (학명 : Smilacina japonica)서식 : 산지의 숲속 (크기 : 높이 20∼50cm)풀솜대는 솜대·솜죽대·녹약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뿌리줄기는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비스듬히 20∼50cm로 자라며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많아진다.밑부분은 흰색 막질의 잎집으로 싸여 있다.잎은 어긋나고 5∼7개가 두 줄로 배열하고 긴 타원형으로 세로맥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잎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길이 6∼15cm, 나비 3∼5cm로 잎자루가 짧다.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줄기 끝의 복총상꽃차례에 달린다.꽃지름은 5 mm 정도이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2∼3..

산야초의 효능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