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05

영지버섯의 효능

영지버섯의 효능 ▣ 영지버섯 생김새는 갓표면의 무늬가 뚜렷하며, 갓은 직경 가로 10-20cm, 세로 5-10cm이고 콩팥모양으로, 갓표면은 다갈색에서 자갈색, 흑갈색으로 고리홈이 뚜렷하며 방사상으로 미세한 주름이 있습니다. 전면에 각피가 덮혀 있고 니스상의 분비물을 생성하여 광택이 납니다. 갓뒷면은 관공(미세한 구멍)이며 자루는 측생 또는 직립형이며 흑갈색 또는 흑색으로 조직은 콜크질이며 상하 2층으로 분리되어 상층은 백색 하층은 옅은 황갈색입니다.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8부,9부 능선주변에서 습하지 않고, 물빠짐이 좋으면서 바람이 잘 통하는곳에서 활엽수의 살아있는 나무나 고사목 그루터기에서 발생합니다. ▣ 영지버섯 드시는 방법 술로 담그시거나 차로 끓여드시면 좋으며, 영지버섯을 보관하실 때에는 잘 ..

산야초의 효능 2024.03.31

연잎차의 효능

연잎차의 효능 연꽃은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입니다. 연꽃은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인데요.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며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한특징이있습니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하는데요. 연꽃의 여러부위중 연잎을 활용한 연잎차효능과 먹는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연잎차는 피를 맑게 해서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입냄새와 니코틴을 제거하는 효과가있습니다 ‘지리산에서 만든 산야초이야기’(화남)의 저자인 산야초연구가 이문희씨는 “연잎차는 갈증을 해소하는 기능 때문에 숙취 해소에도 도움이 되고..

산야초의 효능 2024.03.30

양지꽃의 효능

양지꽃의 효능 양지꽃 ▶ 지혈 신경통 류머티스관절염 통풍 당뇨병 위염 기관지천식 기침 장염 설사에 효험 몸이 허약할 때에 양지꽃을 오래 먹으면 좋다. 여름철에 뿌리를 캐서 그늘에서 말려 두고 수시로 차로 끓여 마시거나, 말린 것을 가루 내어 찹쌀풀이나 꿀로 알약을 지어 두고 수시로 복 용한다. 뿌리를 오래 달여 먹으면 몸이 튼튼해지고 눈이 밝아진다. 어느 노인이 간경화라는 병원의 진단을 받고 산과 들을 다니면서 양지꽃 등을열심히 캐서 달여 먹고 간경화를 고쳤다는 일화가 있다. 양지꽃은 간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데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6∼7월에 꽃잎이 다섯 개인 황금빛 꽃이 귀엽게 핀다. 우리나라 각지의 들이나 바닷가 풀밭에 흔히 자란다. 뿌리는 지혈제로 매우 훌륭하다. 자궁출혈, 장출혈,..

산야초의 효능 2024.03.29

산부추의 효능

산부추의 효능 ▶학명 : Allium thunbergii / 속명 : 산구. 산부추. ▶분류 : 백합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타이완 ▶자생지 : 산지나 들 / ▶용도 : 식용. 약용. ▶크기 높이 : 30∼60cm ▶꽃색 : 붉은 자주색 ▶꽃은 8∼11월에 붉은 자줏빛으로 피고 꽃자루는 속이 비어있으며 끝에 여러송이가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1∼2.2cm이고 포는 넓은 달걀모양이다. 화피갈래 조각은 6개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뒷면에 녹색의 중륵이있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보다 길다. 씨방밑동에 꿀주머니가 있으며 꽃밥은 자줏빛이다. 열매는삭과이다. ▶비늘줄기와 어린순은 식용한다. ▶특징 : 땅속에 비늘 줄기가 있고 2~3개의 잎이 나온다. 부추와 비슷하고 향도 비..

산야초의 효능 2024.03.28

앵두의 효능

앵두의 효능 학명: Prunua tomentoas Thunb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멎나무속 원산지: 중국 국내분포지: 전지역 꽃색깔: 흰빛, 연한 붉은빛 크기: 2~3m. 앵두나무는 약 2~3m의 키를 지니고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있습니다. 앵두나무의 껍질은 검은 빛을 띠고 있는 갈색계통이며 어린 가지에 곱슬곱슬한 모양의 털이 있습니다. 또 앵두나무의 잎은 약 5~7cm가 되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나 타원형입니다. 또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 자리에 톱니가 나 있습니다. 잎의 표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도 털이 빽빽하게 있습니다. 잎자루느길이는 약 2~4mm입니다. 앵두나무의 꽃과 열매에 대하여 앵두꽃은 보통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기도 하고 동시에 피기도..

산야초의 효능 2024.03.27

애기나리(보주초)의 효능

애기나리(보주초)의 효능 학명 : Disporum smilacinum 분류 : 현화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형태 : 여러해살이풀 자생지 : 그늘진 숲 속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국내분포지 : 중부 이남 원산지 : 한국 꽃말 : 깨끗한 마음 꽃색깔 : 흰색 개화시기 : 4~5월 개화계절 : 봄 수확시기 : 8~9월 꽃생김새 가지 끝에 1~2개의 작은 흰색 꽃이 고개를 살짝 숙인 채 핌. 꽃잎은 6개로 피침형이고 수술은 6개임. 꽃밥의 길이가 수술대 길이의 1/2 정도임.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짐. (둥글레와 비슷함) 특징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뻗으며 대개 무리지어 자란다. 줄기는 15~30cm 정도로 곧게 서며 가지는 간혹 갈라지기도 한다. 장타원형의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

산야초의 효능 2024.03.26

아까시아꽃의 효능

아까시아꽃의 효능 아카시아꽃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이며, 수령은 100여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는 20미터 가량이고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아카시아 꽃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열대와 온대 지역에서 약 500종이 분포합니다. 잎은 짝수 2회 깃꼴겹이고 작은잎이 매우작으며 잎자루가 편평하여 잎처럼 된것도 있습니다. 꽃향기가 너무좋아 꽃으로 차도 끓여먹고, 샐러드, 효소, 술도 담그지만, 녹말을 묻힌 후 튀김 옷을 입혀 살~짝 튀겨서도 먹는다. 아카시아 꽃의 효능 아카시아는 꿀 채취를 제외하고 별로 쓸모없는 나무라고,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했지만 요즘은 점점 대우가 달라지고 있답니다. 아카시아꽃 속에는 "아카세틴"이라는성분이 있어서 소염작용 이뇨작용 이담작용을 하기때문에 염증이 심한 ..

산야초의 효능 2024.03.25

씀바귀의 효능

씀바귀의 효능 1. 높이: 25~50cm 2. 별칭: 고채, 유동, 씸배나물, 싸랑부리 등 3. 봄나물의 별칭은 고채, 유동, 씸배나물, 싸랑부리... ▷ 씀바귀는 암세포 억제 정상세포 보호 씀바귀로 암세포 증식에 관한 실험을 한 결과, 암세포 증식을 60%에서 무려 87%까지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정상세포에는 비교적 낮은 증식 억제를 보여 정상세포는 덜 손상시키고 암세포는 효과적으로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토코페롤 14배 UP! 박테리아 DOWN! 토코페롤14배!! 토코페롤은 일반적으로 비타민E로 알려진 성분인데, 뛰어난 항산화 작용으로 암을 예방한다. 그런데 이 토코페롤에 비해 씀바귀는 항산화 효과가 무려 14배나 뛰어나다고 한다. 특히, 씀바귀는 뿌리까지 먹을 수 있..

산야초의 효능 2024.03.24

쑥부쟁이의 효능

쑥부쟁이의 효능 쑥부쟁이의 꽃말은 그리움, 기다림 흰 까실쑥부쟁이 국화과의 다년초인 쑥부쟁이를 생약명으로 "산백국"이라고 한다. 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개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섬쑥부쟁이등 지상부를 모두 약용한다. 비슷한 꽃이 피는 종류를 통틀어 '들국화'라고 부른다. 쑥부쟁이의 맛은 쓰며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소풍청열해독, 거담진해의 효능이 있어 기침을 멎게 하고 풍을 게거하며 해열, 해독하며 벌에게 쏘인상처, 풍열로 인한 감기로 열이 나는데, 편도선염, 기관지염, 진해, 거담, 유방염, 종기, 독사에 물린데, 노인성 만성 기관지염, 코피나는데, 천식을 치료한다. 여름과 가을에 뿌리가 달린 전초를 채취하여 신선한 것을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하루 20~80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찧은 즙을 마신다...

산야초의 효능 2024.03.23

쑥의 효능과 부작용

쑥 효능 부작용 쑥은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흔하게 볼수 있는 다년생 식물인데요. 100당 열량이 18kcal로 아주 낮습니다. 1.2m까지 자라기도 하는데요. 쑥속에 속한 식물 중 쑥과 겉모습이 비슷한 식물을 모두 쑥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쑥의 종류에는 흔히 쑥, 개똥쑥, 인진쑥, 참쑥, 황해쑥이 있는데요. 강화약쑥으로 불리는 사자발쑥이나 싸주아리쑥은 유전적으로는 황해쑥과 가까운 아종입니다. 싸주아리쑥은 황해쑥을 강화도에서 키운 것이며 사자발쑥은 황해쑥의 일부 변이체를 선별해서 키운 것입니다. 쑥의 효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의학에서 쑥, 참쑥, 황해쑥은 성질이 따뜻하고 개똥쑥과 사철쑥은 차다고 하는데요. 흔히 여성분들이 사용하는 쑥은 성질이 따뜻한 쑥, 참쑥, 황해쑥 종류를 이야기 합니다...

산야초의 효능 202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