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05

새싹보리의 효능

새싹보리의 효능 새싹보리효능 요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럴만한게 정말 몸에 좋다는 부분이 입증이 되어서이죠 일단은 새싹이다보니 당연히 생명력이 상당히 많을 것 같아요. 그래서 새싹보리효능 을 알아보고 다양한 제품을 구입을 하고 있죠. 새싹보리효능 알아보기 전에 새싹보리가 뭔지를 먼저 알아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보리에서 싹을 티운 후 약 10~20센티 자란 어린 보리싹을 새싹보리라고 이야기를 해요. 보리는 오곡중에서도 영야소가 많다 그러죠 그런데 새싹보리효능 이 훨씬 좋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새싹보리효능이 좋은 이유는 싹이 나면서 씨앗에 있던 좋은 성분들이 새싹으로 옮겨가게 되는거죠 그 과정에서 영양성분이 더욱 농축이 되는게 새싹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비타민과 미네랄은 당연히 많이 들어있고 ..

산야초의 효능 2024.03.01

별꽃의 효능

별꽃의 효능 별꽃 학명 : Stellaria medi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 번식 : 분주·씨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번루(繁縷) 키 : 30cm 정도 과 : 석죽과 생활사 :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 5~8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달고 약간 짜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20~3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쇠별꽃의 온포기 별꽃 효능산후젖부족 감기 혈액순환 위장병에 효험 치아청결, 혈액순환촉진, 악창종독, 장옹, 서열구토, 분만촉진, 산후어체복통, 어혈, 젖부족, 위장병, 이뇨, 각기, 해산후의 정혈약, 각종염증질환, 가래, 기침, 기관지염, 감기, 심장질병, 간염, 어린이 경련, 치통, ..

산야초의 효능 2024.02.29

버드나무의 효능

버드나무의 효능버드나무(Salix koreensis Andersson) 다른 이름: 버들, 뚝버들 식물: 높이 10~20미터 되는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잔톱니가 있다. 봄철에 꽃이삭이 돋아나고 작은 꽃이 핀다. 각지의 산, 개울가, 들판에서 자란다. 꽃은 4월에 유이꽃차례로 피고 암수딴그루이다. 수꽃은 길이 1∼2cm이며 꿀샘과 수술이 2개씩이고 수술대 밑에는 털이 난다. 암꽃은 길이 1∼2cm이고 1∼2개의 꿀샘이 있다. 꽃대에 털이 나고 포는 녹색의 달걀 모양이며 털이 난다. 씨방은 달걀 모양으로서 자루가 없으며 털이 나고 암술대는 약간 길며 암술머리는 4개이다. 능수버들과 수양버들을 구별하는 방법은 어리고 가는 가지의 색이 진한 붉은색이면 수양버들이고 누른 녹색을 띠면 능수버들이..

산야초의 효능 2024.02.28

백화사설초(백운풀)의 효능

백화사설초(백운풀)의 효능 * 암 치료 효과,각종 종양과 염증치료.소화기계와 임파계의 종양, 직장염과 간염·기관지염·편도선염·후두염 등의 염증.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며 피를 잘 돌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다. * 백화사설초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일년생초본으로 키는 30㎝정도로 자라며 흰꽃이 핀다하여 (白花)를 대궁의 뱀의 혓 바닥 처럼 생긴 잎이 돋는다해서 사설초(蛇舌草)를 붙여 백화사설초라하며 원래 중국이 원산지 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한라산과 전남 백운산 습지에서 자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하여 일명 백운풀, 이율초라고도 부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등 과거의 한방서적에는 나와 있지 않은 신약초라 할수있고 해방후 중국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에 처음으로 기재되어 중국에서는 40년 전부터 연..

산야초의 효능 2024.02.27

박쥐나무의 효능

박쥐나무의 효능 ♥산중 습기지고 그늘진곳 또는 바위가 굴러내려 모여 있는 숲속 돌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3m 정도이며 줄기는 밑에서 올라와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외피가 흔히 벗겨진다. 작은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지고 어릴때는 녹색이다. ㆍ잎은 호생하고 사각상 또는 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7~20cm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잔털이 있고 밑에서 손바닥 모양 맥이 갈라지며 잎자루는 길이 2~4cm이다. 꽃은 양성화이며 5~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피고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작은 꽃자루에 환절이 있고 꽃잎은 줄 모양이며, 밑이 서로붙고 꽃이피면 뒤로 말리는데 꽃잎이 뒤로 말리는 것이 특징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타원형이고 하늘색으로 9월에 성숙..

산야초의 효능 2024.02.26

바디나물(연삼)의효능

바디나물(연삼)의효능 바디나물(연삼)은 산과 들의습지 근처에서 자라고 있어요한국 ·일본 ·중국 등에주로 분포하고 있고꽃은 8∼9월에 짙은 자주색으로피고 있답니다 바디나물(연삼)은 당뇨에 좋은 효능이 있고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효과도 있어요또한 각종 성인병에도 좋다는 거! 바디나물(연삼) 어린순은 주로 나물로 먹고한방에서 뿌리를 전호라는 약재로 쓰는데,해열, 진해, 거담 작용을 하여감기, 기침, 천식 등에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요 오늘은 바디나물(연삼)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어요궁금증이 해소되었길 바라며다음 이 시간에 더 유익한 정보로 만나요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2024.02.25

밀나물(우미채)의 효능

밀나물(우미채)의 효능 밀나물(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은 백합과 밀나물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밀나물속은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청미래덩굴(팥청미래덩굴, 말개나무, 매발톱가시, 명감나무, 종가시나무, 청열매덤불), 좀청미래덩굴, 선밀나물, 밀나물, 좁은잎밀나물, 청가시덩굴(청가시나무), 민청가시덩굴 등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 우수리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밀나물은 산비탈의 숲속에서 덩굴지며 자라는데 길이는 2~3m 길이로 벋는 줄기는 가지가 많아 갈라진다. 잎 겨드랑이에 턱잎이 변한 1쌍의 덩굴손이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달걀형 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에는 5~7개의 세로맥이 뚜렷하고 뒷면은 연한..

산야초의 효능 2024.02.24

무화과의 효능

무화과의 효능 [무화과] 맛도 좋고 영양도 듬뿍, 무화과의 효능 알아보아요 과일을 좋아해도 너~무 좋아하는 아들 덕분에 무화과를 알게 되었고 먹어보니 맛이 괜찮더라고요. 무화과만 보면 너무 먹고 싶어 한답니다. 며칠 전 마트에 갔더니 무화과가 나왔더라고요. 참새가 방앗간 못 지나 간다지요. 우리 아들도 마찬가지로 그냥 못 지나가고 카트에 한 상자 실었답니다.ㅋㅋ 집에 오자마자 무화과를 씻어 몇 개를 뚝딱 먹네요. 더 먹고 싶다는 걸 하루에 다 먹는 것보다 조금씩 나눠서 먹는게 몸에 좋다고 하니 알겠다고 하네요. 무화과는 어디에 좋을까요? 무화과의 효능 알고 드시면 더 건강에 좋은 것 같아 포스팅해보았어요. [무화과의 효능 11가지]변비 예방 무화과는 펙틴과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 예방에 좋습니다. 소화 ..

산야초의 효능 2024.02.23

무궁화흰꽃의 효능

무궁화흰꽃의 효능 흰색무궁화 꽃을 찾으시면.꽃잎 반쯤 펴진 꽃을 따다 차로 마시면 좋답니다.무궁화 꽃은 계속 가을 때까지 폈다 졌다 하기 때문에 좀 따오셔도 괜찮으세요.;;(제가 알기로 꽃잎은 그날 펴서 그날 지고 다른 꽃이 피는 걸로 알아요. 하루살이 꽃잎?ㅎㅎ) -여기서부터 펌글- 무궁화의 흰꽃은 말려서 약으로 쓰는데 기침, 머리 아픈데 효능이 있다고 하며 차로 마시면 색과 은은한 향을 즐길수 있다고 해요. 허준의 동의보감에도 목근피와 뿌리는중풍예방에 빼빼목과 같이 달여먹으면 좋다 지방분해작용이 뛰어나 체중감량에 많은도움을 준다. 이질, 옴, 피부병에 씨앗은 가래, 해수기침, 편두통에 꽃은 이질, 복통에 꽃술을담궈 1년후 하루소주잔으로 두잔씩 마시면 여성의 갱년기 증상에 많은 도움을준다. 술담글때 꼭..

산야초의 효능 2024.02.22

모시대의 효능

모시대의 효능 학 명 : Adenophora remotiflora 한약명 : 제니(薺苨) 특 징 : 줄기가 매끈하고 자르면 하얀 진이 나온다.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m 정도이고 뿌리는 굵으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 또는 넓은 피침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 8~9월에 종 모양의 자주색 꽃이 원추(圓錐) 꽃차례로 핀다. 뿌리는 해독제, 거담제로 쓰고 어린잎과 함께 식용한다. 모싯대는 우리나라 심산의 그늘진 곳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줄기가 매끈하 고 자르면 하얀 진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모싯대는 생나물로 삶아 먹거나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깨 무침을 해서 먹는다. 또한 데쳐서 말린 다음 묵나물을 해서 먹으면 맛과 향이 매우 좋으며 생나 물로 즙을 내어먹기도 한다. 모싯대는 거담, 해독(..

산야초의 효능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