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410

세계무형유산 /모로코 /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70)

세계무형유산 /모로코 /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Cultural space of Jemaa el-Fna Square]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제마 엘프나 광장 문화 공간국가 : 모로코(Morocco) 등재연도 : 2008년본문 :제마 엘프나(Jemaa el-Fna) 광장은 마라케시(Marrakesh)의 주요 문화 공간 가운데 하나로서 11세기에 세워진 이후 마라케시 도시를 상징하는 것들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제마 엘프나에서는 음악·종교·미술 표현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표현 안에는 모로코의 민중적 문화 전통이 ..

세계무형유산 2019.08.11

세계무형유산 /콜롬비아 /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의 문화 공간(69)

세계무형유산 /콜롬비아 /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의 문화 공간[Cultural space of Palenque de San Basilio]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의 문화 공간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의 문화 공간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의 문화 공간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의 문화 공간국가 : 콜롬비아(Colombia) 등재연도 : 2008년본문 :약 3,500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Palenque de San Basilio) 마을은 카르타헤나(Cartagena) 지방의 남동쪽 마리아 산(Montes de María) 기슭에 있다. 팔렝케 데 산 바실리오 마을은 17세기에 도망친 흑인 노예들이 건설한 팔렝케(palenques)라는 성곽 안의 거주 공동체 중의 하나이다. 이전에 있던 여러 팔렝케 ..

세계무형유산 2019.08.10

세계무형유산 /기니 /소쏘발라 문화 공간(68)

세계무형유산 /기니 /소쏘발라 문화 공간[Cultural space of Sosso-Bala]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소쏘발라 문화 공간국가 : 기니(Guinea) 등재연도 : 2008년본문 :소쏘발라(Sosso-Bala)로 알려진 신성한 밸러폰(balafon, 서아프리카의 대형 실로폰)은 만딩궤(Mandingue) 공동체의 자유와 화합의 표상이 되어 왔다. 만딩궤 공동체는 한때 말리(Mali) 제국에 속하던 영토 전역에 분포해 있다. 13세기 초기에 소쏘(Sosso) 왕조를 계승한 수마오로 칸테(Sumaoro Kan..

세계무형유산 2019.08.09

세계무형유산 /요르단 /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67)

세계무형유산 /요르단 /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Cultural space of the Bedu in Petra and Wadi Rum]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페트라와 와디 룸의 베두족 문화 공간국가 : 요르단(Jordan) 등재연도 : 2008년본문 :베두(Bedu)족은 요르단 남부, 특히 페트라(Petra)와 와디 룸(Wadi Rum) 부근, 반건조의 고원이나 사막 지대에서 정착 또는 유목생활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조건 때문에 두 공동체는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발전하고 공존할 수 있었다.베둘(Bdul)·암마린(Ammarin)·사이디..

세계무형유산 2019.08.08

세계무형유산 /도미니카 공화국 /비야 메야 지역의 ‘성령형제단의 콩고스’ 문화 공간(66)

세계무형유산 /도미니카 공화국 /비야 메야 지역의 ‘성령형제단의 콩고스’ 문화 공간[Cultural space of the Brotherhood of the Holy Spirit of the Congos of Villa Mella]비야 메야 지역의 ‘성령형제단의 콩고스’ 문화 공간비야 메야 지역의 ‘성령형제단의 콩고스’ 문화 공간국가 : 도미니카 공화국(Dominican Republic) 등재연도 : 2008년본문 :비야 메야(Villa Mella)에 있는 ‘성령형제단(the Brotherhood of the Holy Spirit)’은 춤 및 민속 의식에 필요한 음악 분야에서 두드러지는 역할을 하는 모임이다. ‘성령형제단’은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조합과 같은 모임으로, 여기서 ‘성령’은 지역을 수호하고 죽..

세계무형유산 2019.08.07

세계무형유산 /말리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65)

세계무형유산 /말리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Cultural Space of the Yaaral and Degal]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야루알과 데갈의 문..

세계무형유산 2019.08.06

세계무형유산 /필리핀 /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64)

세계무형유산 /필리핀 /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Darangen epic of the Maranao people of Lake Lanao]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있는 마라나오 족의 서사시 다랑겐라나오 호수 인근에 살고 ..

세계무형유산 2019.08.05

세계무형유산 /아르메니아 /두둑과 그 음악(63)

세계무형유산 /아르메니아 /두둑과 그 음악[Duduk and its Music]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두둑과 그 음악국가 : 아르메니아(Armenia) 등재연도 : 2008년본문 :두둑(duduk)은 오보에와 같은 아르메니아 전통의 더블 리드 관악기이다. 음색은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여린 비음을 낸다. 두둑은 기명악기 종류에 속하며, 아제르바이잔과 이란에서 연주되는 바라반(balaban), 조지아의 두두키(duduki) 그리고 터키의 네이(ney)와 관련이 있다. 두둑은 살구나무의 부드러운 목재를 이용해서 몸체를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감이쉬(ghamish) 또는 예그헤그(yegheg)라 불리..

세계무형유산 2019.08.04

세계무형유산 /니카라과 /엘 궤궨세(62)

세계무형유산 /니카라과 /엘 궤궨세[El Güegüense]El Güegüense(엘 궤궨세)El Güegüense(엘 궤궨세)El Güegüense(엘 궤궨세)El Güegüense(엘 궤궨세)El Güegüense(엘 궤궨세)El Güegüense(엘 궤궨세)El Güegüense(엘 궤궨세)국가 : 니카라과(Nicaragua) 등재연도 : 2008년본문 :식민 통치에 대한 강한 저항의 표현이었던 ‘엘 궤궨세(El Güegüense, 마초 라톤(Macho Ratón)이라고 알려져 있다)’는 니카라과 전역에서 널리 행해지던 풍자극이다. 이 연극은 카라소(Carazo) 주 디리암바(Diriamba) 시의 수호성인 ‘성 세바스티안(the feast of San Sebastián) 축제’(1월 17일~1월 ..

세계무형유산 2019.08.03

세계무형유산 /슬로바키아 /푸자라와 그 음악(61)

세계무형유산 /슬로바키아 /푸자라와 그 음악[Fujara and its music] 호레흐로니에의 다성부 가창 음악호레흐로니에의 다성부 가창 음악국가 : 슬로바키아(Slovakia) 등재연도 : 2008년본문 :푸자라(Fujara)는 손가락 구멍이 3개인 매우 긴 관악기로서, 전통적으로 슬로바키아(Slovakia)의 양치기들이 연주하는 악기다. 이 악기는 슬로바키아 중부의 전통 문화에서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푸자라는 단순한 악기를 넘어, 매우 정교하고 개성적인 장식이 있어 예술적 가치를 큰 공예품이기도 하다.관악기의 주요 몸체는 길이가 160cm~200cm 가량 되며, 50cm~80cm 길이의 더 짧은 관에 연결되어 있다. 푸자라의 특징은 낮은 음역에서 나오는 깊고 ‘중얼거리는 듯한’ 음색과, 악기..

세계무형유산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