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장수의 깨달음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종이장수의 깨달음조선조 중엽. 지금의 해남 대흥사 산내 암자인 진불암에는 70여 명의 스님들이 참선 정진하고 있었다. 어느 날 조실 스님께서 동안거 결제법어를 하고 있는데 마침 종 이 장수가 종이를 팔려고 절에 왔다. 대중 스님들이 모두 법당에서 법문.. 韓國野史 2015.08.18
불보를 수지한 스님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불보를 수지한 스님때는 신라 말엽. 여름 안거를 마치고 10여 명의 제자들과 함께 만해길에 오른 혜린 선사는 험한 산중에서 하룻밤 노숙하게 됐 다. 『스님, 아무래도 심상치 않습니다.』 『무슨 일이냐?』 『나라 안에 번지고 있는 괴질이 이 산중까지 옮겨.. 韓國野史 2015.08.17
이태조와 몽불산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이태조와 몽불산『시랑, 삼칠일이 다 되었는데도 아무런 영험이 없으니 필시 과 인의 덕이 부족한가 보오.』 『마마, 황공한가 보오.』 성군이 되기 위해 명산대찰을 찾아 간절히 기도하는 이태조의 모습에 사랑은 참으로 감격했다. 창업 이전의 그 용맹 속에.. 韓國野史 2015.08.16
용궁생 거북이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용궁생 거북이구름 한 점 없이 맑은 어느 가을날. 전남 영암군 신북면에 있는 여석산 기슭을 한 스님이 걷고 있었다. 고개를 오르느라 숨이 찬 스님은 고갯마루에 앉아 숨을 돌리며 이마에 흐르는 땀을 장삼자락으로 닦다가 건너편에 서 있는 커 다란 감나무.. 韓國野史 2015.08.15
윤회의 굴레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윤회의 굴레『그래 너는 어디서 뭘 하다 왔느냐?』 『예, 신라 땅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다 왔사옵니다.』 『신라 땅이라니, 그 넓은 땅 어디서 살았단 말이냐?』 『예, 경주라는 고을이옵니다.』 『평생 뭘하고 살았는지 재미있는 세상 이야길 좀 자세히 말해 .. 韓國野史 2015.08.14
벌거벗은 스님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벌거벗은 스님『내가 오길 잘했지. 만약 그 나이 어린 사미승이 왔더라면 이 눈 속에 었떻게 했을까?』 한껏 허리를 굽히고 바삐 걷던 노스님은 잠시 걸음을 멈추고 하 늘을 쳐다보며 혼잣말로 중얼거렸다. 거센 눈보라가 스님의 얼 굴을 때렸다. 쩔렁거리던 .. 韓國野史 2015.08.13
지명 스님과 팔면경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지명 스님과 팔면경신라 지명법사는 중국에 가서 불교를 공부하기 위해 진평왕 7년 (585) 진나라로 가는 사신들과 함께 불법 수학의 길에 올랐다. 사신들과 동행했기에 융숭한 대접을 받을 수 있었던 지명 스님 은 당시의 고승대덕과 선지식을 두루 친견하면서.. 韓國野史 2015.08.12
눈속에 핀 오동꽃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눈속에 핀 오동꽃① 신라 제41대 헌덕왕의 아들로 태어나 15세에 출가한 심지 스님 이 지금의 대구 팔공산에서 수도하고 있을 때였다. 심지 스님은 팔공산에서 수도하고 있을 때였다. 심지 스님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도 아랑곳하지 않고 걸음을 속리산 길상사.. 韓國野史 2015.08.11
상투를 튼 스님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상투를 튼 스님때는 조선 숙종조 중엽. 배불정책이 극심하여 전국의 절마다 스님들은 부역 아니면 궁중에서 쓰는 종이와 노끈 미투리 등 을 삼느라 혹사당했다. 『원, 이래서야 어디 수도승이라고 할 수 있겠나.』 스님들의 푸념은 어느 절이나 마찬가지였다... 韓國野史 2015.08.10
호랑이의 불심 韓國野史 이야기(불교 전설) 호랑이의 불심신라 선덕여왕 때, 덕망 높은 두운대사는 지금의 경북 소백산 기슭 천연동굴에서 혼자 기거하며 도를 닦고 있었다. 그곳 동 굴에는 가끔 호랑이 한 마리가 찾아와 대사의 공부하는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가거나 어느 때는 스님과 벗하여 놀.. 韓國野史 201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