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옹(逍遙翁)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소요옹(逍遙翁) `소요옹`은 장자의 별명이다. 당나라 시인인 왕유가 그의 사상에 심취한 나머지 시를 지었는데 그 시구에 이르기를, 칠원유오리(漆園有傲吏) 소요옹야(逍遙翁也) 칠원에 오만한 관리가 하나 있으니 그가 바로 소요옹이니라. .. 고전 이야기 2014.04.11
산유(散儒)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산유(散儒) 쓸모없는 유학자라는 뜻이다. <순자(筍子)> `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말이다. 순자가 말했다. "배움에는 배울 것이 있을 만한 사람에게 가까이 접근하는 것이 제일 쉬운 방법이다. 예와 악은 규범을 보이기만 할 뿐 설명이 .. 고전 이야기 2014.04.10
십우도(十牛圖)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십우도(十牛圖) `십우도`는 불도를 수행하는 자의 입문 초기부터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기까지 경로를 소 먹이는 일에 비유하여 알기 쉽게 10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그림을 말한다. `십우도`를 그린 사람은 곽암선사(廓庵禪師)라고도 하고 청.. 고전 이야기 2014.04.09
고인조박(古人糟박)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고인조박(古人糟박) 옛날부터 내려오는 성인들의 저서와 말은 모두 찌꺼기란 뜻으로, 무릇 참된 도는 말과 글로 전달될 수 없으므로 현재 전하는 모든 것은 찌꺼기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장자> `천도편(天道篇)`에 나오는 말이다. 제나.. 고전 이야기 2014.04.08
적연부동(寂然不動)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적연부동(寂然不動) 마음이 안정되어 사물에 동요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주역> `계사상전(繫辭上傳)`에 나오는 말이다. "역(易)에는 성인의 도가 넷이 있다. 이것을 가지고 말하려는 자는 그 말을 숭상하며, 이것을 가지고 행동하려는 .. 고전 이야기 2014.04.07
소인한거위불선(小人閒居爲不善)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소인한거위불선(小人閒居爲不善) 소인이 틈만 나면 나쁜 짓을 한다는 뜻이다. `군자신독(君子愼獨)`이라는 말과 정반대의 뜻으로서 <대학>에 나온다. <대학>의 팔조목(八條目) 중의 `성의(誠意)`를 해설한 전(傳) 6장을 살펴보면 `성.. 고전 이야기 2014.04.06
거불주오(居不主奧)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거불주오(居不主奧) 어른이 앉아야 할 아늑한 자리에 자식이 앉아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오(奧)`는 방의 서남쪽에 위치한 구석자리로서 아늑한 자리, 곧 아랫목을 뜻한다. <예기> `곡례상(曲禮上)`편에 나오는 말이다. "무릇 사람의 자.. 고전 이야기 2014.04.05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이 말은 까마귀는 암수가 비슷하게 생겨서 구별하기 어렵다는 말로, 옳고 그름을 분별하기 매우 어렵다는 뜻이다. <시경> `소아(小雅). 정월(正月)`편에 나오는 말이다. 위산개비 위강위릉(謂山蓋卑 爲岡爲.. 고전 이야기 2014.04.04
해어화(解語花)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해어화(解語花) 말을 할 줄 아는 꽃이다. 아름다운 미인을 뜻한다. 왕인유(王仁裕)의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나오는 말이다. 어느 가을날 당나라 현종이 양귀비와 함께 태액지(太液池)라는 연못으로 놀러 나갔다. 태액지에는 .. 고전 이야기 2014.04.03
기계심(機械心)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기계심(機械心) 남을 속이려는 마음을 말한다. <장자> `천지(天地)`편에 나오는 말이다. 자공이 초나라를 유람하다가 진나라로 돌아갈 때 한수(漢水) 남쪽을 지나가게 되었다. 그때 한 노인을 만났는데 노인은 밭이랑을 일구면서 굴을 파.. 고전 이야기 201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