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망회회 소이부실(天網恢恢 疎而不失)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천망회회 소이부실(天網恢恢 疎而不失) 하늘의 그믈은 크고 엉성한 것 같지만 결코 놓치는 적이 없다는 말로, 자연의 법칙은 엉성한 것 같으나 지상 만물중 어느 것 한 가지에도 미치지 않는 법이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뜻이 작아.. 고전 이야기 2014.04.01
태극도설(太極圖說)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태극도설(太極圖說) 송나라 주돈이(周敦頤)의 학설로서, 무극(無極)인 태극에서 음양오행과 만물이 생성,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태극도설은 성리학의 근원으로서 <근사록(近思錄)>에 실혀 있다. 주돈이는 성리학의 시조로.. 고전 이야기 2014.03.31
항형(抗衡)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항형(抗衡) `항형`은 서로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것을 말한다. <사기> `육가전(陸賈傳)`에 나오는 말이다. 한 고조 때 위타(尉他)라는 자가 남월(南越)을 멸망시키고 그곳의 왕이 되었다. 고조가 육가에게 명하여 위타에게 인장(印章)을 .. 고전 이야기 2014.03.30
증익(增益)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증익(增益) 더하고 늘인다는 뜻이다. <맹자> `고자하`편에 나오는 말이다. 맹자가 말했다. "순(舜)은 역산(歷山)에서 밭을 갈다가 등용되었고, 부열(傅說)은 흙으로 담을 쌓다가 등용되었다. 교격(膠鬲)은 난리를 만나 여염집에서 고기.. 고전 이야기 2014.03.29
치희(痴姬)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치희(痴姬) `치희`란 어리석은 여자를 말한다. 왕의 총애(寵愛)를 받는 사람에게 아부하지 않고 소신껏 처신한 결과 나중에 화를 입지 않은 여자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북사(北史)> `열녀전`에 전한다. 요씨(姚氏)의 아내인 양씨(楊氏)는 .. 고전 이야기 2014.03.28
궁자후이 박책어인(躬自厚而 薄責於人)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궁자후이 박책어인(躬自厚而 薄責於人) 자기 스스로에게는 엄하게 행하나 남의 잘못은 너그럽게 용서해야 한다는 뜻이다. <논어> `위령공(衛靈公)`편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가 말했다. "자기의 잘못은 엄히 다스리고, 남의 잘못은 너그.. 고전 이야기 2014.03.27
윤집궐중(允執闕中)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윤집궐중(允執闕中) 핵심을 확실하게 잡으라는 뜻이다. <논어> `요왈(堯曰)`편에 나오는 말이다. 요임금이 말했다. "아아, 그대 순(舜)이여! 하늘의 운수가 그대에게 있으니 진실로 그 중(中)_지나침도 없고 모자라지도 않는 핵심_을 잡아.. 고전 이야기 2014.03.26
조상이 남겨준 것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조상이 남겨준 것 명나라 때 홍자성(洪自成)이 쓴 ,채근담(菜根譚)>에 보면, 조상이 나에게 남겨준 것은 무엇이며 또 내가 후손에게 물려줄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적절하게 말하고 있다. "조상의 덕을 묻는다면 내 몸이 누리는 것이 바로.. 고전 이야기 2014.03.25
복숭아나무 아래는 저절로 길이 생긴다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복숭아나무 아래는 저절로 길이 생긴다 겸손(謙遜)은 동양의 미덕으로 통한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무엇인가를 주면 으례 한두 번은 사양을 한 뒤 받는다. 그것이 어른에 대한 아랫사람의 예절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옛날 중국의 어떤 .. 고전 이야기 2014.03.24
어리석은 약장수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어리석은 약장수 중국 금릉(金陵)_지금의 남경_에 이상한 약장수가 있었다. 그는 항상 관음보살상을 가지고 나와서 약을 팔았다. 그런데 약을 파는 그의 모습이 매우 기묘했다. 사람들이 와서 필요한 약을 달라고 하면 반드시 그 관음보살상.. 고전 이야기 201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