用 神(13)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13)1) 해결책은 寒煖燥濕 그렇다면 어느 공식을 대입하면 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하겠는데, 이 문제도 간단히 해결이 된다. 즉 抑扶에 구애받지 않는 四柱는 調候로 논하라. 는 이야기를 할 참이다. 실제로 임상을 하면서 느끼는 것은 억부가 급하지 않은 사주를 .. 풍수지리 2019.09.04
用 神(12)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12)(3) 强도 弱도 아닌 사주라면... 공부를 하는 사람에게 가장 큰 괴로움이 바로 이러한 사주들이다. 나름대로 공식은 세워 뒀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어쩌면 30여 만개의 모든 사주를 적어놓고 설명을 해야하지 않겠느.. 풍수지리 2019.09.03
用 神(11)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11)(2) 强弱이 된 원인 분석 일단 강약에 대한 판단을 했다고 전제를 하고서 다음 이야기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그러니까 입수한 사주의 구조를 살펴서 사주가 강하다고 판단이 된다면, 얼마나 강한가를 다시 분별해야 한다. 그리고 약하다면 또 얼마나 약한 것인.. 풍수지리 2019.09.02
用 神(10)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10)⑦ 7급 - 虛弱 (失令, 得地, 失勢) 월지만 얻어도 이미 허약하다는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일지에 하나만 얻은 경우에는 더 이상 허약을 논할 상황이 되지도 못하는 형편이다. 어쩌면 오히려 없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결정될는지도 모른다. 왜나면 日支에도 도.. 풍수지리 2019.09.01
用 神(9)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9)2) 강약을 보는 공식 그러면 이제 이러한 기준에 맞춰서 간단하게 공식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이 공식이 절대가 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대단히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표를 보면서 천천히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月令 ○ ○ &am.. 풍수지리 2019.08.31
用 神(8)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8)1) 强弱을 구분하는 기준 - 令, 地, 勢, 그럼 여기에서 강약을 살피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의 대항이 되어야 하는 것을 말씀드리겠다. 그것은 세가지가 된다. 즉 득령(得令), 득지(得地), 득세(得勢)가 그것이다. 이들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나면 대개의 사주들.. 풍수지리 2019.08.30
用 神(7)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7)(1) 抑扶를 구분하기 위한 전초작업 抑扶用神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해둬야 할 것이 있다. 억부라고 하는 말을 살펴보면 누를억(抑) 도울부(扶)이다. 그렇다면 이 두글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서로 반대가 되는 개념이라고 하는 것을 눈치채는 데에는 .. 풍수지리 2019.08.29
用 神(6)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6) 2. 抑扶用神의 이해用神을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개인차이가 좀 있다고 해야 하겠다. 어떤 사람은 몇 달만 궁구해도 95% 이상의 용신찾는 작업을 성취하게 되는데, 또 어떤 사람은 2년이 지나도 도무지 진전이 없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 물론 올바르게 공.. 풍수지리 2019.08.28
用 神(5)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5)직업을 묻는다면 뭐가 용신? 질문 중에는 당연히 어떤 일을 해야 행복하게 잘 살 수가 있겠느냐는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적성에 맞는지 또는 더 좋은 일이 있음에도 스스로 모르고 있는지 자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무척 .. 풍수지리 2019.08.27
用 神(4) 풍수지리(風水地理) 用 神(4)4) 용신의 확대해석 기본적으로는 앞에서 설명 드린 내용이 용신의 의미라고 봐서 아무런 하자(瑕疵)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용신으로 그 사람의 시회성에만 관찰을 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좀더 넓은 의미로써 용신을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 풍수지리 201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