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5) 풍수지리(風水地理)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5) 고향을 떠나는 집터 집안의 가장이 고향을 떠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何知人家主離鄕一山主竄過明堂 (하지인가주리향일산주찬과명당) 내룡이 지나치게 명당까지 뻗어가 있는 경우. 明堂은 혈장 앞에 펼쳐진 논밭을 말한다. 이 경.. 풍수지리 2019.10.04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4) 풍수지리(風水地理)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4) 목매죽을자가 나올 집터 집안에 목을 매 죽는 사람이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何知人家弔經死龍虎經上有條路 (하지인가조경사용호경상유조로) 청룡이나 백호 윗부분이 꺼져 있는 경우. 弔는 매어달다 는 뜻으로 쓰였으며 經.. 풍수지리 2019.10.03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3) 풍수지리(風水地理)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3) 재산과 세력을 갖춘 집터 재력과 세력 있는 사람 나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何知人家出富豪一山高了一山高 (하지인가출부호일산고료일산고) 산이 하나같이 존귀하거나 고상한 경우. 재산이 풍부하고 세력을 갖춘 사람이 태여 나.. 풍수지리 2019.10.02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2) 풍수지리(風水地理)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2) 빈곤한 집터 집안의 빈곤함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何知人家貧了貧山走山斜水返身(하지인가빈료빈산주산사수반신) 산이 달아나고 산이 비스듬히 기울고 물이 반궁수(反弓水)인 경우. 집에서 바라보았을 때 산이 감싸고돌아야 좋은 것.. 풍수지리 2019.10.01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1) 풍수지리(風水地理)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1)우리가 살아가는데 대문의 위치가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대문을 통해서 사람들이 드나들기 때문이며 福도 대문을 통해서 들어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면 대문의 위치는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 ? 그 답은 풍수고전으로 吳子 가 저술한.. 풍수지리 2019.09.30
太乙數란?(6) 풍수지리(風水地理) 太乙數란?(6)태을수(太乙數)가 다른 수론(數論)과 다른 점은 천문학과 주역의 구궁(九宮) 팔괘(八卦) 12지(十二支)라는 정율(定律)에 바탕을 두고 태을을 위시해서 주객2목(主客二目) 사보(四輔) 팔장(八將) 주산(主算) 객산(客算) 대유(大遊) 소유(小遊) 5복(五福) 3.. 풍수지리 2019.09.29
太乙數란?(5) 풍수지리(風水地理) 太乙數란?(5)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때는 도선비기(道詵秘記)가 있었고 이조 때에는 정감록(鄭鑑錄) 비결이 있었으나 체계적이지 못하다고 보는데 중국에서는 구체적 이론 정립이 되어 있는 추배도(推背圖)나 소병가(燒餠歌)가 전해 내려와 이에 대한 주석서가 출판되.. 풍수지리 2019.09.28
太乙數란?(4) 풍수지리(風水地理) 太乙數란?(4)전국책(戰國策)이나 오월절서(吳越絶書) 등에서 자서(子壻), 소백(少伯)이 육임(六壬)에 능통했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2천5백여년전 전국시대때 이미 기문, 태을, 육임 등을 군국대사에 관여할 수 있는 귀족층에서는 크게 활용했음을 알 수.. 풍수지리 2019.09.27
太乙數란?(3) 풍수지리(風水地理) 太乙數란?(3)주역의 발전을 4단계로 볼 수 있는데 4단계란 상(象), 수((數)-(卜)), 의((義)-사(辭)), 리(理)로 사단계(四段階)으로 보는데 후대 즉 한나라를 거쳐 당역, 송역으로 와서는 의리역(義理易)이 발전한 대신에 주역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수리(數理)의 영역이 퇴.. 풍수지리 2019.09.26
太乙數란?(2) 풍수지리(風水地理) 太乙數란?(2)원래 이러한 기록들을 복사(卜辭)라고 하는데 사실 이것은 주역(周易)의 원형(原形)이라고 본다. 상고시대에는 삼역(三易)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삼역이란 연산역(連山易) 귀장역(歸藏易) 주역(周易) 등을 말한다. 연산역(連山易) 은 하나.. 풍수지리 201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