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과 격국(13)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13) [11] 殺重用劫格 (또는 殺刃相停格)1) 상황 설명 이쯤 되면 대충 이름만 봐도 무슨 의미인지 짐작이 될 법도 한데, 어떠신가 모르겠다. 살중용겁격은 官殺이 지나치게 많은데 印星은 보이지 않으면 부득이 比劫을 용신으로 삼아야 하는 형국이다. 이때에.. 풍수지리 2019.11.02
용신과 격국(12)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12) [10] 殺重用印格 (또는 官印相生格) 사주에 관살이 많다는 것은 나쁜 상황 중에서도 가장 불리한 상황이라고 보는 것이 보통이다. 그도 그럴 것이 관살은 내가 감당을 하기에는 너무 큰 강적이다. 더구나 그 비중이 偏官 쪽이라고 한다면 최악의 상황이.. 풍수지리 2019.11.01
용신과 격국(11)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11) [9] 從旺格 (또는 一行得氣格이 있다) 종왕격은 종강격과 비슷하지만, 사주를 감싸고 있는 글자들이 인성이 아니라 比肩과 劫財들이라는 점이 다르다. 그래서 한가지 五行만으로 이뤄진 사주라는 형상을 빌어서 붙여진 이름이 바로 일행득기격이 되는 .. 풍수지리 2019.10.31
용신과 격국(10)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10) [8] 群劫爭財格 군겁쟁재라고 하는 말은 아무래도 즐거운 이야기는 아니다. 사주의 상황에서 이런 이름이 들어가게 된다는 것은 아무래도 불길한 상황이라고 봐야 하겠기 때문이다. 즉 이름이 흉하다고 봐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이러한 이름을 붙.. 풍수지리 2019.10.30
용신과 격국(9)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9) [7] 食神格 (또는 傷官格) (類型-食神生財格, 傷官生財格) 우선 사주에서 비견겁재가 만다는 것은 기본이 된다. 그 상황에서 官殺이 없거나 또는 멀리 있으면서 무력하고, 食神이 유력하게 짜여진다면 이러한 형상을 食神格이라고 하게 된다. 그리고 식.. 풍수지리 2019.10.29
용신과 격국(8)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8) [6] 正官格 (또는 偏官格) (類型-財官格, 財滋弱殺格) 1) 상황 설명 比肩이나 劫財가 많으면 身旺하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비겁이 많은 경우에는 그 비겁을 극제(剋制)하는 성분인 官殺이 용신으로 등장을 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반적인 공식이.. 풍수지리 2019.10.28
용신과 격국(7)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7) 용신 비겁편(2) 比劫이 많은 경우 이번에는 비겁이 많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여기에서 한가지 유의를 해야 할 것은 印星과 比劫이 반반일 경우에는 어떻게 하느냐는 생각이 드실 벗님도 계시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해봤는데, 이것은 고민을 하실 필요가 .. 풍수지리 2019.10.27
용신과 격국(6)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6) [5] 從强格 이번에는 약간 다른 상황의 이야기가 된다. 앞의 경우에는 어쨌든 뭔가 필요로 하는 것이 있어서 그대로 용신을 삼았는데, 아예 그러한 것이 하나도 없는 경우도 있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즉 食財官이 전혀 없는 상황에 印星만 바글바글.. 풍수지리 2019.10.26
용신과 격국(5)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5) [4] 財滋弱殺格 (또는 財官格) 이 격은 앞의 印重用官格과 연관이 있다. 그러니까 官殺을 용신으로 삼는데, 관살이 약하게 되었을 경우라면 재성이 옆에서 관살을 생조 해주기를 바라게 되고, 그렇게 짜여지기만 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하겠다.. 풍수지리 2019.10.25
용신과 격국(4)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4) [3] 印重用官格 (또는 印重用殺格) 원칙적으로 볼 적에는 인성이 많은 상황이라고 한다면 官殺을 용신으로 쓰는 방법은 없다고 봐야 옳다. 그런데 사주에서 재성이나 식상이 없다면 도리 없이 그냥 관살을 용신으로 삼아야 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물.. 풍수지리 2019.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