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과 격국(3)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3) [2] 食神生財格 (또는 傷官生財格) 식신생재라고 하는 말은 식신이 재성을 생해주는 것을 말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이름은 여기에서는 어울리지 않는 이름이다. 인성이 많아서 신강한 사주에서 식신생재를 하고 있다는 것은 약간 어울리지 않는 맛이 .. 풍수지리 2019.10.23
용신과 격국(2)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2) [1] 印重用財格 (또는 棄印就財格) 印星이 많고, 그래서 사주가 강하다고 판단이 될 경우에 해당하는 이름이다. 즉 사주에 인성이 중첩되어 있는 상황(印重)에서 財星을 用神으로 삼아서 형성된 格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러니까 인성이 상당히 많고, 비.. 풍수지리 2019.10.22
용신과 격국(1) 풍수지리(風水地理) 용신과 격국(1)이제 이번 항목에서는 사주를 보고서 그 사주의 용신을 찾는 공부를 할 것이다. 그냥 격국만 정하는 공부를 한다는 것은 너무 지면이 아깝기 때문에 일단 용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아울러서 용신격을 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것은 용신을 찾.. 풍수지리 2019.10.2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4)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4) 음양오행과 간지(干支)의 속성(屬性) 12지지별 속성 l 자(子)(쥐: 鼠) – 집안일보다 바깥일에 능하고 (사교적), 깔끔하고 강단 있으나 불만이 많다. 배우자 보다는 자식사랑이 깊고 식성이 까다로울 수 l 축(丑)(소: 牛) &.. 풍수지리 2019.10.2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3)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3) 12지지별 속성l 자(子)(쥐: 鼠) – 집안일보다 바깥일에 능하고 (사교적), 깔끔하고 강단 있으나 불만이 많다. 배우자 보다는 자식사랑이 깊고 식성이 까다로울 수 l 축(丑)(소: 牛) – 착실하고 느리며 온순하다. 기회.. 풍수지리 2019.10.20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2)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2) 지지(地支) – 12 地支지지의 음양오행 (木->火->(土)->金->水)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子.午.巳.亥는 體用이 바뀐다. 子.午: 體(陽) -> 用(陰) 巳.亥: 體(陰) -> 用(陽) 양(陽) 인(寅) 오(午) .. 풍수지리 2019.10.19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1) 풍수지리(風水地理)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1) 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하는데 간지(干支)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합칭어(合稱語)이고 음양(陰陽)과 오행(五行)론에서 이미 설명했지만 간단히 부언하면 원래 음양은.. 풍수지리 2019.10.18
패철론(佩鐵論)(11) 풍수지리(風水地理) 패철론(佩鐵論)(11) 13층 충록대.소황천(沖祿大.小黃泉) 대황천(大黃泉)과 소황천(小黃泉)을 실었다. 大黃泉은 양간(陽干)의 녹(祿)을 沖하여 나가는 수(水)이고 小黃泉은 음간(陰干)의 녹(祿)을 沖하여 나가는 수(水)이다. 五行色은 干과 祿이 위치하.. 풍수지리 2019.10.17
패철론(佩鐵論)(10) 풍수지리(風水地理) 패철론(佩鐵論)(10) 10층 납음오행(納音五行)육십갑자의 納音五行을 실었다. 투지룡(透地龍)과 분금(分金) 망명(亡命)의 納音五行을 찾아본다. 생극(生剋)을 대조하여 가려낸다. 11층 이십팔숙(二十八宿) 이십사천성(二十四天星) 向앞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이 二十八宿.. 풍수지리 2019.10.16
패철론(佩鐵論)(9) 풍수지리(風水地理) 패철론(佩鐵論)(9) 7층 천산칠십이룡(穿山七十二龍)정침의 24방위를 72방위로 세분화 한다. 정침으로 래룡(來龍)을 격정하고 정침의 아래 실린 천산(穿山)으로 래룡의 입수(入首)를 격정 한다. 천간자(天干字)의 정중(正中)은 빈칸으로 대공망(大空亡)이 되고 지지.. 풍수지리 20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