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1703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4)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4) 천진기를 대고 진찰한다(12포태법의 운용) 패철을 이용해 내룡의 이기를 12포태법으로 판별하려면, 우선 도두 결혈처에 이르러 패철 8층을 이용해 파를 보고 국을 정한다. 파가 정미·곤신·경유의 구획에 있으면 목국이고, 신술·건해·임자의 구획에 있으면 화국이고, 계축·간인·갑묘의 구획에 있으면 금국이다. 그 다음에 패철 4층을 이용해 입수한 내룡을 재본다. 입수한 내룡을 패철로 잴 경우는 결인처부터 혈장까지 뻗어온 내룡이 휘이고 꺽인 지점마다 패철을 놓고 쌍산이 배합하였는가, 혹은 불배합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불배합되었다면 잠룡이니 흉지이고, 배합룡이라면 국에 따라 12포태법 상으로 어떤 기운을 가진 내룡인가를 분별한다. 결인처부터 입수에 이르는 내룡을 격..

풍수지리 2023.02.12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3)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3) 자연의 생로병사(12포태법) 자연 현장에서 파를 보아서 국을 정했다면, 다음에는 목국이든, 화국이든, 수국이든, 금국이든 간에 국에 속한 땅의 기운을 살펴야 한다. 이것은 땅의 개성을 파악하려는 것으로, 생기 왕성한 터인가 아니면 쇠약하고 병든 땅인가를 알아야 그곳에 주택을 짓고 살거나 혹은 조상을 매장하던 간에 좋고 나쁜 영향을 가릴 수 있다. 여기서 좋은 땅이란 흙이 두터워 초목이 무성하게 자라는 곳이고, 흉한 땅은 바위 위나 수맥이 흘러가는 곳으로 생기가 왕성치 못한 곳이다. 사람이라면 기운의 정도를 유아기, 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등 5가지로 구분하는데, 우리는 그 사람이 현재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가에 따라 기운의 정도를 알 수 있다..

풍수지리 2023.02.11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2)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2) 항문이 중요하다(파) 땅의 독립된 생명체의 단위는 국(局)이다. 자연의 생명 단위가 국임은 알았으면, 어떤 논리로 국을 정하는가를 알아야 한다. 생명체라면 당연히 음식을 먹고 그것을 소화시킨 다음 배설하는 생명유지계통을 가져야 한다. 먹고 소화하고 배설하는 시스템을 갖지 못한다면, 그것은 무생물에 불과하지 생명체는 아니다. 사람은 식물처럼 광합성 작용을 통해 양분을 생산해 섭취하지는 못하지만, 외부의 생물체를 섭취함으로써 생명 활동을 유지한다. 땅 역시 생명체로 본다면 음식을 먹고서 소화시킨 다음 배설하는 계통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땅은 스스로는 모양도 지질도 변화시키지 못하는 정적(靜的)인 상태이다. 그렇다면 땅은 무엇을 먹고 무엇을 배설하는가? 용..

풍수지리 2023.02.10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1)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는 삼각형을 좋아한다.(1) 자연은 개성을 가진 생명체(국) 인류학자인 굳카인드(E.A. Gutkind)는 서양 사람들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가 단계별로 변화했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자연을 외경의 대상으로 생각해 자연에 의존해 생활한 단계로 그것을 '우리의 관계(I-thou)'라 규정하였다. 둘째는 사람의 두뇌가 발달함에 따라 '우리의 관계'는 깨지고 '너와 나의 관계(I-it)'로 변했는데, 그 결과 자연을 정복해야겠다는 야심이 생겼다. 그 배경에는 유일신만을 믿고 고집하는 기독교의 출현이 컸다고 한다. 성경에 따르면 여호와는 모든 것을 사람에게 선물로 주면서, 그들을 이용하여 번성하라고 하였다. 따라서 사람들은 땅, 동물, 식물할 것 없이 닥치는 대로 공격하여 약탈함은 물론, ..

풍수지리 2023.02.09

陰陽五行의 吉凶 方位

풍수지리(風水地理) 陰陽五行의 吉凶 方位 [기타] 각종 음양오행의 길흉 방위 (各種 陰陽五行의 吉凶 方位) 음양오행에 따르면, 길흉방위는 다음과 같이 대략 10가지로 분류된다. (1) 귀인방 (貴人方) 귀인방은 등과급제(登科及第)하여 벼슬에 출사(出仕)하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귀인 방위에 용(龍)과 문필봉(文筆峰), 귀인봉(貴人峰), 고축봉(告軸峰) 등의 사격(砂格)이 있거나 물이 득수(得水)하면 매우 길하다. . 건(乾), 갑(甲), 인(寅), 해(亥) 좌는 축(丑)과 미(未) 방위가 귀인방이다. . 곤(坤), 을(乙), 묘(卯), 진(辰), 미(未) 좌는 자(子)와 신(申)이 귀인방이다. . 간(艮), 병(丙), 오(午), 정(丁), 술(戌) 좌는 유(酉)와 해(亥)..

풍수지리 2023.02.08

음택풍수학 기초(6)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6) 줄기에는 과일이 열리지 않는다[패철 5층 - 穿山72龍] 하늘의 기운이 땅에 닿아 그 형상대로 산천이 생기고, 땅 속에는 만물을 생육하는 생기가 흐른다. 따라서 땅 속의 지기는 산천의 모양을 보고서 형세를 가늠할 수 있고, 산천을 보고서는 천기(天氣)를 가늠할 수 있다. 산세가 웅장하면 기운이 강한 것이고, 산세가 밋밋하거나 힘이 없으면 그 속에 내재된 지기 또한 약하다. 천산(穿山)이란 '산과 산을 뚫는다'는 뜻으로 어떤 산이 다음 산으로 솟구치려면 반드시 몸을 낮추면서 기운을 움츠린 곳이 있다. 그런 곳을 풍수학은 과협(過峽)이라 부르며 대개는 고개나 도로가 관통한다. 따라서 '천산72룡'은 과협 내에서 어느 방위로 좋은 지기가 흐르는가를 측정하는 층이다. 과..

풍수지리 2023.02.07

음택풍수학 기초(5)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5) 땅 속을 유리관처럼 본다[패철 4층 - 지반정침(地盤正針)] 패철 4층에는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는데, 내룡의 이기를 판단하고 양택 풍수에서는 주택의 좌향을 놓는 층이다. 지반정침(地盤正針), 내반정침(內盤正針), 혹은 정침이라 부른다. 왜냐하면 지반정침은 복희선천(伏犧先天)에 해당하니, 정적이며, 음기이고, 여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묘의 좌향이나 득수, 파는 패철4층이 아닌 동적이고, 양기이고, 남자인 패철8층으로 정해야 음양이 조화를 이룬다. 그럼, 현장에서 내룡의 이기를 판단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만약 생기충만한 용을 찾고 싶다면 먼저 산등성의 중심에 패철을 내려놓고 내룡이 패철 4층의 어느 글자 사이로 내려 뻗었는가를 살핀다. 패철의 위치는 산등성에 물을..

풍수지리 2023.02.06

음택풍수학 기초(4)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4) 삼합은 용(龍), 파(破), 향(向)을 가리킨다 [패철 3층 - 삼합오행론] 이기론 풍수의 핵심은 패철의 3층에 대하여 명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동양의 우주관이 집약된 삼합오행(三合五行)의 운용이 표시된 칸으로, 이것은 오행국(五行局)을 판별한 다음에 용[관(關)]과 향[원(元)]과 파(규(竅)]가 서로 상통하는 법칙이다. 즉, 삼합이란 용(龍), 향(向), 파(破)를 가리키며, 용은 물을 받아들임으로 혈을 잉태하고, 향은 물에 따라 집이나 묘터가 놓이는 방위를 말하며, 이것을 원관통규(元關通竅)라 한다. 먼저 패철 3층을 보자. 패철 4층과 대비하면, 진·신·자 아래에 수(水)가 쓰여 있고, 미·해·묘 아래에 목(木)이 쓰여 있고, 술·인·오 아래에 화..

풍수지리 2023.02.05

음택풍수학 기초(3)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3) 생기를 빼앗아 가는 팔요풍 [패철 2층 - 팔요풍(八曜風)] 묘의 형태를 보면, 봉분의 뒤쪽에서 좌우 측을 둥글게 감싸안은 흙 둔덕을 볼 수가 있다. 보통은 '활', '활개' 혹은 '내성'이라 부르고, 왕릉의 경우는 곡장(曲墻)이라 한다. 물론 공원 묘지에 자리잡은 묘들은 협소한 터 때문에 내성을 갖추기 어렵다. 그렇다면 내성은 어떤 이유로 봉분을 감싸고 두르는가? 어떤 사람들은 묘의 형태가 자궁을 닮았으므로, 사람은 자궁에서 태어나 다시 자궁 속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내성을 자궁에 달린 나팔관이라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내성은 자궁의 형태를 본따 꾸민 것이 아니고, 묘 아래의 광중으로 침입하는 흉한 바람(황천수)을 막기 위해 설치한 풍수적 산물이다. 그럼 패철..

풍수지리 2023.02.04

음택풍수학 기초(2)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2) 음택 풍수학 중급 / 1. 패철론 방위란 사람이 지닌 공간 의식의 한 형태으로, 서양은 주로 8방위를 쓰고, 동양에서는 24방위가 일상적으로 쓰였다. 콜룸부스는 서방 항로로 가면 인도에 갈 수 있다는 설을 믿고 탐험에 나섰다. 하지만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는데 그치고, 황당하게도 죽을 때까지 자기가 발견한 곳이 신대륙이란 사실을 몰랐다. 그렇지만 진시황을 위해 불로초를 구하러 떠난 서복(徐福)은 정확하게 동쪽인 한국 땅을 밟았다, 그렇지만 서복은 돌아가지 않았다. 왜, 한국 땅의 기운이 좋아 스스로 신선이 되었기 때문이다. 동양의 과학자들은 땅의 모양과 지질적 변화 그리고 순환 원리를 연구해, 그 결과를 패철의 각층에 속속들이 담아 놓았다. 따라서 패철..

풍수지리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