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1703

‘CEO 풍수학’을 연재하며(2)

풍수지리(風水地理) ‘CEO 풍수학’을 연재하며(2) 대부분의 중국인들에게 풍수는 사업 경영술의 요체로 여겨져 왔다. 이제는 많은 서구 기업들까지도 동양에서 축적되고 비롯된 힘의 전략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이를테면 일본의 무사도적인 위계를 받아들인 사업 관행이나, 사내에서 쿵푸 연마, 단전 호흡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수익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가장 각광 받는 분야는 단연 풍수적 개념이다. 홍콩을 중심으로 시티 은행의 아시아 지점 등의 영업에 관해서는 수시로 풍수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있음을 자사의 간부들이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 이외도 홍콩상하이은행(HSBC), 제이피모간 체이스 은행, 페인 웨버, 맥킨지 앤 컴패니사, 아시안 월 스트리트 저..

풍수지리 2023.03.14

‘CEO 풍수학’을 연재하며(1)

풍수지리(風水地理) ‘CEO 풍수학’을 연재하며(1) 동양의 예측술(豫測術)은 명(命), 복(卜), 상(相) 이렇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역학의 지식 체계를 응용하여 실생활에 연계 키는 역술의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자평사주, 자미두수, 육효 등의 역점(易占)류, ‘기문둔갑. 육임. 태을’의 삼식(三式)류, 산명(算命)술, 인상(人相), 수상(手相), 성명 판단, 기타 기학(氣學)류에 이르기까지 수십 종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소위 팔자술(八子術)로 대변되는 명(命)의 단계는 운명은 이미 정해진 것으로 개선의 여지가 없다는 정명론(定命論)에 기초하고 있다. 복(卜)이란 어느 한 사건의 경과와 성패를 점치는 것으로 우리가 흔히 이해하는 ‘점’의 의미는 이 복(卜)의 분야에 한정된다. 이에 반해 상(相)의..

풍수지리 2023.03.13

풍수지리학의 의의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학의 의의 풍수학, 풍수설, 풍수사상 풍수지리학은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을 바탕으로 바람과 물의 순환 이치[天] 그리고 땅의 형성 과정과 지질적 여건[地]을 연구하여 인간과 동식물[人]이 자연 속에서 좀더 건강하고 안락하게 살아갈 터를 구하는 동양의 지리관이며 경험 과학적 학문이다. 방법은 지질, 일조, 기후, 풍향, 물길, 경관 등 일련의 자연적 요소가 생물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파악하여 그들의 우열을 가리며, 그 중에서 좋은 것만을 선택하여 생활에 이용하자는 실용 학문이다. 여기서 풍수 사상은 자연이 가진 생명력(生氣)에 사람이 왕성하게 감응 받으면, 즉 길지에 조상을 매장하던가 혹은 길지에 살면 후손이나 사람이 부귀영화를 누린다고 생각하는 믿음이고, 풍수지리학은 바람과 ..

풍수지리 2023.03.12

[동양의학 혁명 총론](4)

풍수지리(風水地理) [동양의학 혁명 총론](4) 역시 艮은 괴로움, 곤란이니 하는 인간이 갖는 감정의 부정적 내면을 상징하여 괘를 풀이한 것을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우주의 실상을 외형적, 가시적인 어떤 구성요소로서 판단되어진 것으로 나타낸 것이 하나요, 내면적인 감정 인식의 세계를 나타낸 것으로 보는 것이 또 하나입니다. 즉, 물질과 마음이 둘이 아닌 차원에서 관찰 표현되어진 것이 주역의 八卦 철학이론이 아닌가 합니다. 그렇다면 乾과 坤도 역시 어떠한 마음의 긍정적인 상태와 부정적인 상태로 표현한 것이요, 離와 坎, 巽과 震들 역시 긍정과 부정적 상태로 표현한 것임을 추리하여 볼 수 있습니다. 요컨대 옛 선인들은 인간 내면의 감정세계를 탐사하여 그 상대성인 어떠한 원리로 나타내어 이곳에 은밀..

풍수지리 2023.03.11

[동양의학 혁명 총론](3)

풍수지리(風水地理) [동양의학 혁명 총론](3) 靑은 東方 木이요, 赤은 南方 火라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보라색은 五行上 어디에 속합니까? 회색이나, 누르팅팅하거나, 벌거죽죽하거나, 혼합색 등 오행에 없으나 우주 속엔 온갖색이 다 있습니다. 중간자적이거나 입체적이거나 복합적인 모든 것을 이해 하도록 주역을 열어 놓은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입니다. 나의 어떤 기분과 너의 어떤 기분이 만나서 어떤 상황을 이루게 되는가 하는 것에 대해 대상을 붙여 놓은 것이 八卦입니다. 그런데 무형학적인 卦象을 붙여 놓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마음을 관찰한 사람이 아니고서는 어렵지 않겠어요? 주역 64卦를 공부하면 귀신도 잡는다는 말은 아마도 거짓이 아닐 것입니다. 저는 주역 卦象까지 강의할 실력은 없습니..

풍수지리 2023.03.10

[동양의학 혁명 총론](2)

풍수지리(風水地理) [동양의학 혁명 총론](2) 坤은 어머니로서 유순하면서도 항상 모든 걸 받들어 주고 陰德을 키우는 것이죠. 그래서 주역 64괘에는 모두 인간이 지켜야 될 예절과 같은 인간관계가 담겨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한 집안에 8식구가 산다고 가정할 때 바로 周易八卦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여덟 사람이 이루는 음양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남녀 궁합이 아무리 잘 맞는 경우라 해도 나와 내 마누라가 한 이불을 덮고 자지, 마누라를 팽개치고 어머니와 한 이불을 덮지는 않지요. 같은 음양이라 하더라도 서로 부딪칠 것이 있고 또 서로 친할 것이 따로 있는 법입니다. 병이 일어나는 원인도 나에게 있을 수도 있고, 마누라 혹은 아버지, 어머니에게 있을 수도 있는 등 무궁무진합니다. 이렇게 서로 부딪치는 ..

풍수지리 2023.03.09

[동양의학 혁명 총론](1)

풍수지리(風水地理) [동양의학 혁명 총론](1) 3.경락 팔괘 (2편) 그러면 지금까지 장황하게 설명드렸던 여러 이야기의 학문적 근거는 어디 있는지, 그리고 또 주역 八卦에는 어떠한 증거가 있는지 한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八卦를 반으로 접게 되면 서로 상대적으로 되어 있습니다. 一 乾天과 八 坤地, 二 兌澤과 七 艮山, 三 離火와 六 坎水, 四 震雷와 五 巽風 이렇게 상대적입니다. 그러므로 인체를 보면, 하늘(머리)은 둥글고 몸은 모나다고 하는 것은 하나는 양이고 하나는 음이라는 말입니다. 동물의 예를 보면 쥐는 머리에 비해 몸이 크니까. '음- 너는 陰的이겠구나!'말이나 사자처럼 몸집에 비해 머리가 큰 것은 陽的이겠구나 하는 짐작을 금방 할 수가 있겠지요. 식물도 이렇게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그..

풍수지리 2023.03.08

음택풍수학 기초(9)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9) 산을 보고 인물을 안다 혈 주변에 버티고 선 사들이 혈에 어떤 효험을 주는가는 크게 방위로 판단하는 것과 사의 생김새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뉜다. 방위로 판단되는 길흉은 뒷장 이기론 풍수의 '인반중침'을 참조하면 충분히 알 수 있어, 이 장에서는 형기론의 모양에 따른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을 다룬다. 그러나 주변 사의 길흉을 평하는 것도 우선은 '혈을 맺은 용 내에서 혈을 정확히 잡고(龍眞穴的)'난 후의 일이다. 소위 혈도 제대로 잡지 못한 채 사의 모양만을 탐하여 이러쿵저러쿵 한다면 올바른 풍수사가 아니다.

풍수지리 2023.03.07

음택풍수학 기초(8)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8) 4. 사 론(2) 장 풍 산에 숨겨진 명당을 찾으려면 먼저 산에서 떨어져 보아야 한다. 멀리서 산을 바라보면 산자락(내룡)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펴고 있거나 혹은 병풍이 펼쳐진 듯한 형세로 겹겹이 장막(帳幕)을 치고 흘러내린 것을 알 수 있다. 풍수는 이를 개장(開帳)이라 한다. 멀리 큰 산줄기로부터 뻗어와 들판이나 물가에서 멈춘 내룡은 한자락이 아니라 겹겹으로 흘러내렸고, 산자락과 산자락 사이에는 크던 작던 계곡이 있다. 이곳에 명당을 찾는 비결이 있다. 산자락의 한 지점에 서서 산 아래를 바라보자. 먼저 산 아래의 커다란 자연의 흐름을 살핀다. 풍수는 외당(外堂)을 살핀다고 하는데, 외당은 혈 바깥의 자연을 말한다. 외당의 물이나 바람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흘러..

풍수지리 2023.03.06

음택풍수학 기초(7)

풍수지리(風水地理) 음택풍수학 기초(7) 안 산 안산(案山)은 혈장 앞에 낮게 엎드려 있는 산으로 앞쪽에서 혈로 부는 바람을 차단한다. 안산은 책상과 같은 것으로 높으면 눈썹의 높이요, 낮으면 심장의 위치로 가지런해야 좋다. 한쪽으로 치우치면 흉하다. 안산이 손에 잡힐 듯이 보이면 재물이 쌓이고, 외방에 수려한 봉이 천 개가 있어도 하나의 안산만 못하다고 한다. 이것은 조산의 길흉화복이 안산의 것보다 못하다는 뜻이다. 또 안산이 너무 가까우면 내당이 협착하여 기를 모으기 어렵고, 너무 멀면 바람을 가두기 어려워 혈에 살풍이 분다. 안산의 모양이 초승달이나 반달같은 아미사라면 딸 중에서 왕비가 나거나 미인이 나고, 안산 앞으로 맑은 물이 흘러가면 재색을 겸비한 딸이나 며느리가 나온다고 한다. 만약 안산이 ..

풍수지리 2023.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