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꽃 설화 韓國의 說話 할미꽃 설화 홀로 된 어머니가 세 딸에게 박대받고 죽어 할미꽃이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식물유래담의 하나로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옛날에 일찍 홀로 된 어느 어머니가 딸 셋을 키워 시집을 보냈다. 늙은 어머니는 혼자 살아가기가 너무 어려워서 큰딸을 찾아갔더니 .. 한국의 說話 2018.05.11
한근의 살 설화 韓國의 說話 한근의 살 설화 살을 베어내야 하는 위기에 처한 사람이 살을 베되 살만 벨 수 없는 조건을 지켜야 한다는 판결 덕분에 살아나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구전되는 자료를 찾기는 힘든 편이다. 동문수학하던 두 친구가 한 여자를 두고 .. 한국의 說話 2018.05.10
풍수(風水) 설화(說話) 韓國의 說話 풍수(風水) 설화(說話)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지형에 어떤 인문적인 의미를 더하여 인간의 길흉 화복을 해석하려는 풍수지리설에 관한 설화. 지형 설명, 풍수 곧 지사(地師)의 행위, 그 지형으로 인한 여러 모습의 결과 곧 성공 과 실패에 관한 이야기이다. 한국·중국·일본에.. 한국의 說話 2018.05.09
포산이성 설화 韓國의 說話 포산이성 설화 신라시대 관기(觀機)와 도성(道成) 두 성사(聖師)의 신령스러운 삶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 권5 피은편(避隱篇) 포산이성(包山二聖)에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때 관기와 도성 두 성사는 포산(包山 : 경상북도 현풍(玄風)에 있는 琵瑟山의 옛 이.. 한국의 說話 2018.05.08
평강공주(平岡公主) 설화 韓國의 說話 평강공주(平岡公主) 설화 생몰년 미상. 고구려시대의 공주. 평원왕의 딸이며, 남편은 장군 온달 (溫達)이다. ≪삼국사기≫ 온달전에 의하면, 공주는 어릴 때에 잘 울어서, 왕이 희롱하여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 겠다고 말하였다. 그 뒤, 커서 시집갈 나이가 되어 왕이 명문귀.. 한국의 說話 2018.05.07
토끼와 호랑이 설화 韓國의 說話 토끼와 호랑이 설화 동물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군의 하나. 토끼와 호랑이의 관계를 이야 기하는 설화가 단일 유형으로 존재한다기보다 다수가 존재하므로 유 형군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군에 속하는 설화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호랑이에게 자.. 한국의 說話 2018.05.06
콩쥐팥쥐 설화 韓國의 說話 콩쥐팥쥐 설화 계모 밑에서 갖은 학대를 받던 콩쥐가 고귀한 인물과 혼인하게 되고, 콩쥐를 괴롭히던 팥쥐와 계모는 처벌받는다는 내용의 설화. 평안도·경기도·전라북도·경상남도 등지에서 채록되었는데, 전승자의 기억력, 문학적 소양 정도에 따라 다양한 변이상을 보.. 한국의 說話 2018.05.05
추남(楸南) 설화 韓國의 說話 추남(楸南) 설화 인물전설의 하나 고구려의 점보는 사람인 추남에 관한 이야기. 고구려 보장왕 때 국경에 역류하는 물이 있으므로 추남에게 점치라 하였더니, 아뢰되 "대왕의 부인이 음양의 도를 역행하였으므로 그 재변이 이러합니다." 하였다. 대왕이 듣고 놀라 이상히 여.. 한국의 說話 2018.05.04
최치원 설화 韓國의 說話 최치원 설화 말기의 학자·문장가인 최치원에 관한 설화. 최치원이 당나라에 있을 때의 일화에 관련된 문헌설화이다. 한 편의 설화이기는 하나 내용 구 성면에서 다분히 소설적 면모를 띠고 있어 소설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 설화는 원래 ≪수이전 殊異傳≫에 수록되었던 .. 한국의 說話 2018.05.03
최영장군 설화 韓國의 說話 최영장군 설화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관한 설화.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 구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 적은 ≪고려사≫ 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최영장군의 실제 행적과는 다른 설화가 세간에 전승되는데 경기도 .. 한국의 說話 2018.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