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521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故 事 成 語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逐:쫓을 축.鹿:사슴 록.者:놈 자.不:아닐 불.見:볼 견.山:뫼 산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명예와 이욕(利慾)에 미혹(迷惑)된 사람은 도리도 저버림.                  ② 이욕에 눈이 먼 사람은 눈앞의 위험도 돌보지 않음. 또는 보지 못함.  ③ 한 가지 일에 마음을 빼앗기는 사람은 다른 일을 생각하지 않음.    전한(前漢)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중앙 정권에 대항적 인 입장을 취했    던 왕족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은 문하 (門下) 식객(食客)의 도움을 받    아 많은 서책을 저술했는데, 그 중 특히 도가(道家)사상을 중심으로 엮은..

고사성어 2010.06.12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故 事 成 語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春:봄 춘. 來:올 래. 不:아닐 불. 似:같을 사. 春:봄 춘봄이 와도 봄같지 않다.     前漢(전한)의 元祖(원조)때다. 王昭君(왕소군)에게는 봄은 봄이 아니었다.      기원전 33년, 클레오파트라가 자살하기 3년 전 政略(정략)의 도구가 된 宮女     (궁녀) 왕소군은 匈奴(흉노) 王(왕)에게 시집갔다.      왜 그 많은 궁녀 중 하필이면 왕소군 이었던가. 거기엔 기막힌 사연이 있었다.     걸핏하면 쳐내려오는 흉노족을 달래기 위해 漢나라 元帝는 흉노 왕에게 반반     한 궁녀 하나를 주기로 했다.      누구를 보낼 것인가 생각하다가 원제는 궁녀들의 초상화집을 가져오게 해서     쭉 훑었다.      그 중 가장 못나게 그려진 왕소군을 찍었다...

고사성어 2010.06.11

촌철살인(寸鐵殺人)

故 事 成 語촌철살인(寸鐵殺人) 寸:마디 촌, 鐵:쇠 철, 殺:죽일 살, 人:사람 인'촌철'은 손가락 한 개 폭 정도의 무기를 뜻한다.                            '촌철살인'은 날카로운 경구(驚句)를 비유한 것으로,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한 마디의 말이 수천 마디의 말을 능가한다는         뜻임.                                                                                                   남속(南宋)에 나대경(羅大經)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가 밤에 집으로 찾아온 손님들과 함께 나눈 담소를 기록 한 것이 《鶴林     玉露(학림옥로)》이다.     ..

고사성어 2010.06.10

초미지급(焦眉之急)

故 事 成 語초미지급(焦眉之急) 焦:그슬릴 초, 眉:눈썹 미, 之:어조사 지, 急:급할 급눈썹에 불이 붙은 급한 상태. 아주 화급한 상태.    불혜선사(佛慧禪師)는 고승이다. 그의 수행은 당대의 어느 고승보다 뛰어    나다는 평을 받았다.     그러한 그가 왕명을 받고 대상국 지혜선사라는 절에 주지승으로 임명되    었다. 어명을 받고 그는 사문을 불러 모아 물었다.     "내가 왕명을 받들어 주지로 가는 것이 옳으냐, 아니면 이곳 에 눌러 앉아    불도에 정진함이 옳으냐?"     대답하는 자가 없었다. 그러자 선사는 붓을 들어 게(偈)를 썼다.    사르르 눈을 감더니 앉은 채 입적하여 사문을 놀라게 했다. 선사는 살아    있을 때에 사문으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 고 답해 주었다. 어느 날 ..

고사성어 2010.06.10

청천벽력(靑天霹靂)

故 事 成 語청천벽력(靑天霹靂) 靑:푸를 청. 天:하늘 천. 霹:벼락 벽. 靂:벼락 력맑게 갠 하늘의 벼락(날벼락)이란 뜻.                                             ① 약동하는 필세(筆勢)의 형용.                                                      ② 생각지 않았던 무서운 일.                                                          ③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이나 이변(異變)의 비유.                                  이 말은 남송(南宋)의 대시인 육유[陸游:호(號)는 방옹 (放翁)]의《검남시고     (劍南詩稿)》〈9월4일 계미명기작 (九月四日鷄未鳴起..

고사성어 2010.06.09

청천백일(靑天白日)

故 事 成 語청천백일(靑天白日) 靑:푸를 청. 天:하늘 천. 白:흰 백. 日:날 일   푸른 하늘에 쨍쨍하게 빛나는 해라는 뜻.                                              곧 ① 맑게 갠 대낮.                                                                                ② 뒤가 썩 깨끗한 일.                                                                    ③ 원죄가 판명되어 무죄가 되는 일.                                                  ④ 푸른 바탕의 한복판에 12개의 빛살이 있는 흰 태양을 배치한 무늬..

고사성어 2010.06.08

청출어람(靑出於藍)

故 事 成 語청출어람(靑出於藍) 靑:푸를 청. 出:날 출. 於:어조사 어. 藍:쪽 람쪽[藍]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나음을 이르는 말.                                                    이 말은 전국 시대의 유학자(儒學者)로서 성악설(性惡說) 을 창시한 순자(荀     子)의 글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學不可以已(학불가이이)] 학문은 그쳐서는 안 된다      [靑取之於藍(청취지어람)] 푸른색은 쪽에서 취했지만      [而靑於藍(이청어람)] 쪽빛보다 더 푸르고      [氷水爲之(빙수위지)] 얼음은 물이 이루었지만      [而寒於水(이한어수)] 물보다도 더 차다      ..

고사성어 2010.06.07

청운지지(靑雲之志)

故 事 成 語청운지지(靑雲之志) 靑:푸를 청, 雲:구름 운, 之:어조사 지, 志:뜻 지  청운의 뜻. 푸른 구름의 뜻을 품다.                                                      청운은 높은 벼슬을 가리키는 말로 청운의 뜻은 입신 출세의 대망(大望)을      의미함                                                                                                       唐(당)나라 초기의 시인 王勃(왕발)의 藤王閣詩序 (등왕각시서)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곤궁한 때에는 더욱 더 뜻을 굳게 가져 청운의 뜻을 버리 지 않는다(窮且益堅     不墜靑雲之志·궁차익견 불추청운..

고사성어 2010.06.06

청 담(淸談)

故 事 成 語청 담(淸談) 淸:맑을 청. 談:말씀 담. ① 명리(名利) 명문(名聞)을 떠난 청아(淸雅)한 이야기. 고상한 이야기. ② 위진 시대에 유행한 노장(老莊)을 조술(祖述)하고 속세를 떠난 청정    무위(淸淨無爲)의 공리공론(空理空論).                                             위진 시대(魏晉時代:3세기 후반)는 정치가 불안정하고 사회가 혼란해     서 자칫하면 목숨을 잃는 난세였다.      게다가 정치적 권력자와 그에 추종하는 세속적 관료들의 횡포도 극심     했다.      그래서 당시 사대부(士大夫) 간에는 오탁(汚濁) 한 속세를 등지고 산     림에 은거(隱居)하여 노장(老莊)의 철 학이라든가 문예 등 고상한 이     야기를 하는 것이 유행이..

고사성어 2010.06.05

청 담(淸談)

故 事 成 語청 담(淸談) 淸:맑을 청. 談:말씀 담.① 명리(名利) 명문(名聞)을 떠난 청아(淸雅)한 이야기. 고상한 이야기. ② 위진 시대에 유행한 노장(老莊)을 조술(祖述)하고 속세를 떠난 청정   무위(淸淨無爲)의 공리공론(空理空論).                                            위진 시대(魏晉時代:3세기 후반)는 정치가 불안정하고 사회가 혼란해     서 자칫하면 목숨을 잃는 난세였다.      게다가 정치적 권력자와 그에 추종하는 세속적 관료들의 횡포도 극심     했다.      그래서 당시 사대부(士大夫) 간에는 오탁(汚濁) 한 속세를 등지고 산     림에 은거(隱居)하여 노장(老莊)의 철 학이라든가 문예 등 고상한 이     야기를 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고사성어 2010.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