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구도(鷄鳴狗盜)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계명구도(鷄鳴狗盜) <사기>의 `맹상군전(孟嘗君傳)`에 나오는 말로 `한 가지 재주는 있는 잡배`, 즉 `구더기도 뒹구는 재주는 있다`는 뜻이다. 전국시대 때 제(齊)의 맹상군은 식객들을 우대한 것으로 유명한데, 그는 비록 소인 잡배라 해.. 고전 이야기 2013.12.31
나무 기르기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나무 기르기 중국 당나라 때 유종원(柳宗元)의 글 `나무 심는 곽탁타의 전기_종수곽탁타전(種樹郭橐駝傳)`, 원래 이 글은 나무 심는 법으로 정치의 도를 설명할 목적으로 지은 것이다. 곽탁타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는 자세히 알 길이.. 고전 이야기 2013.12.30
조삼모사(朝三暮四)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조삼모사(朝三暮四) 조삼모사란 거짓된 방법으로 남을 속이고 우롱한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황제`편에 나오는 말이다. 옛날 전국시대 때 송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천성이 원숭이를 좋아하여서 한 무리.. 고전 이야기 2013.12.29
좌정관천(坐井觀天)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좌정관천(坐井觀天) 좌정관천은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보면 조금 밖에 보이지 않는다 하여 세상일에 어두운 것을 이르는 말로 한유(韓兪)의 `원도(原道)`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는 같은 뜻으로 정저지와(井底之蛙)라는 말을 더 즐겨 쓴.. 고전 이야기 2013.12.28
은나라 되기가 멀지 않다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은나라 되기가 멀지 않다 `은감불원(殷鑑不遠)`이라는 말은 <사기> `대아 · 탕(大雅 · 湯)`편에 나오는 시구로서 `남의 실패를 나의 거울`로 삼는다는 뜻이다. 이는 주의 문왕이 은의 주왕을 탄식하며 이른 말로서 주왕의 포악함으로 인.. 고전 이야기 2013.12.27
선즉제인(先則制人)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선즉제인(先則制人) `먼저 일어서면 이기고, 나중에 일어서면 진다`는 뜻으로 <사기> `항우본기(項羽本紀)`에 실려 있다. 진나라가 망해 갈 즈음 전국 각지에서는 군웅들이 할거하여 진의 명운을 재촉하고 있었다. 군웅들 중에서는 강동(.. 고전 이야기 2013.12.26
숨은 재주를 함부로 쓰지 말라 -잠용물용(潛龍勿用)-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숨은 재주를 함부로 쓰지 말라 -잠용물용(潛龍勿用)- 물에 잠긴 용 같은 능력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물속에 잠겨 있는 듯한 사람은 자신의 용 같은 재주를 모두 발휘하지 말라는 말이다. 물속에 잠긴 용이란 바로 이무기에 .. 고전 이야기 2013.12.25
역린(逆鱗)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역린(逆鱗) 중국 한(韓)나라가 매우 위험한 지경에 처해 있었다. 이를 본 한비자(韓非子)는 초조할 수밖에 없었다. 적어도 자기가 이 나라를 구해야 하는데 조정의 전권을 잡고 있는 왕안(王安)이 자기 말을 도무지 듣지 않는 것이었다. 그의 .. 고전 이야기 2013.12.24
무렴녀(無鹽女)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무렴녀(無鹽女) 함(鹹) 자는 다만 짠맛이라는 뜻 외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 여기에는 소금이라는 것이 훨씬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무렴녀(無鹽女)라는 여자가 있었다. <열녀전>이라는 책에 실려 있는 이야기에 의하면 그 여인은 제(齊).. 고전 이야기 2013.12.23
제갈채(諸葛菜) 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B> 제갈채(諸葛菜) 제갈공명은 가는 곳마다 군사들에게 무를 심게 하였다. 도대체 어디다 쓰려는 것인지 아무도 몰랐다. 한데 위현(韋絢)이란 사람이 그 말에 답하기를, "무란 것은 나오자마자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이 그 하나요, 잎이.. 고전 이야기 201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