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몸이 주거주거 - 정 몽 주 -
이 몸이 주거주거 일백 번 고쳐 주거.
백골(白骨)이 진토(塵土)되여 넉시라도 있고 업고
님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현대어 풀이]
◎이 몸이 죽고 또 죽어 백 번을 되풀이 해서 죽어서
◎백골이 티끌과 흙이 되어 영혼이 있거나 말거나
◎임(고려 왕조)을 향한 일편단심의 충성심만은 변할 줄이
있겠는가?
[창작 배경]
이성계가 역성 혁명을 추진하고 있을 때, 고려 충신인 포은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려고 이방원이 <하여가>를 그에게 보
냈으나, 정몽주는 그것에 대한 화답가로서 이 <단심가>를
지어서 읊었다고 한다.
[이해와 감상]
이미 기울어가고 있던 고려 왕조이지만 끝까지 굳은 결의를
지키려는 유학자의 자세가 나타나고 있는 작품이다.'죽어 죽
어 일백 번 고쳐 죽어' 그야말로 가혹하리만큼 냉철한 결단
이다. 한 번밖에 없는 죽음을 백 번을 되풀이 해도, 한 번 굳
힌 마음에는 털끝만큼도 변화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반복법과 점층법을 써서 그 어떠한 것에도 굴하지 않을 충절
을 다짐하고 또 다짐함으로써, 고려왕조에 대한 일편단심에
대한 단호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 어느 한 구석에도 타협의
여지가 없는, 변함없는 충절을 노래한 시조로서, 500년을 내
려오면서 끊임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불려지고 있는 불후의
작품이다.
[정리]
□ 성격 : 평시조, 단심가, 절의가
□ 표현 : 반복법, 점층법, 과장법, 설의법, 영탄법
□ 주제 :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일편단심)
□ 참고 : 이방원의<하여가(何如歌)>에 대한 화답 시조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