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은 것을 새기지 않고 그대로 남에게 전하기만 할 뿐 조금도 제 것으 로 만들지 못한 학문
순자(荀子)의 <勸學篇>에 이렇게 씌여 있다. 군자의 학문은 귀에 들어가면 그대로 마음에 말하고, 신체에 정착하여 인격을 높이고,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난다. 그러한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사소한 말이나 동작도 많은 사람이 거 울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가면 곧바로 입으로 나온다. 즉 들은 대로 즉시 타인에게 전하고, 조금도 자신을 수양하는 양식으 로 두지 않는다. 귀와 입 사이 는 겨우 네 치, 그 네 치 사이만 신체에 머물러 있었던 것 으로 된다. 그러므로 이것을 "口耳之學"이라고 한다. 이래서는 대 장부의 마음과 행동을 훌륭하게 할 수가 없다. 옛날 사람은 자신의 몸을 닦고 덕을 높이기 위해 학문을 했으 나 요즈 음 사람은 배운 것을 남에게 가르쳐서 생활의 수단으로 하기 위해 학 문을 하고 있다. 군자의 학문은 자신을 훌륭하게 하기 위한 것인데 비해 소인의 학문은 생활의 도구로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묻지 않은 것까지 가르치는 것을 훤조(喧조) 라고 한다. 하나를 물으면 둘을 대답한다. 이것을 다언(多言)이 라고 한다. 훤조도 다언도 다같이 잘못이다. 군자는 묻지 않은 것은 대답하지 않으며, 하 나를 물으면, 때리면 울리듯이 하나 만을 대답한다. 순자가 지적했듯이 곧잘 다른 사람을 가르치고 싶어하며 모르 는 바를 아는 체하는 것을 《맹자》에서는 "사람들의 병폐는 자기가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되는 것을 좋아하는 데 에 있다"고 훈계하고 있다.
이 "구이지학"과 뜻이 비슷한 말로 《論語》<陽貨篇>에 "도청도설(道廳 塗說)"이 있다. "길에서 들은 풍월을 길에서 되받아 옮기는 것(道廳而 塗說)은 덕을 버리는 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