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살에 홀로 아비 무덤을 만들던 대문장가 유희경
유희경은 13살 되던 해에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는데,
어린 나이에 홀로 흙을 날라다 장사지내고 3년간 여
막살이를 했으며 3년상을 마치고 나서는 병으로 앓
아누운 어머니를 30년간이나 모신 효자로 소문이 났
습니다.
여막살이 중에 마침 수락산 선영을 오가던 서경덕의
문인 남언경에 눈에 띄어 주자가례를 배운 뒤 예학
(禮學)에 밝아진 그는 국상이나 사대부가의 상(喪)
때는 으레 초빙되었지요.
“하룻밤 맘고생에 귀밑머리 희었어요
소첩의 맘고생 알고 싶으시다면
헐거워진 이 금가락지 좀 보시구려”
이 시는 조선 선조 때의 유명한 여류시인 매창이 그
의 정인(情人) 유희경을 그리워하며 지은 <금가락 지>
입니다. 얼마나 애타게 그리웠으면 가락지 낄 손가락
이 여의었을까요? 그렇게 매창이 그리워한 촌은(村隱)
유희경(劉希慶, 1545~1636)은 허균의 <성수시화>에
보면 “유희경이란 자는 천한 노비이다.
그러나 사람됨이 맑고 신중하며 충심으로 주인을 섬
기고 효성으로 어버이를 섬기니 사대부들이 그를 사
랑하는 이가 많았으며 시에 능했다.”라고 소개합니다.
미천한 신분이라 관직없이 시를 지으며 지내다가 부
안지방에 이르러 명기 매창(1573~1610)을 만나 사랑
에 빠졌으나 임진왜란을 맞아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
하는한편 호조의 비용을 마련코자 부녀자의 반지를
거둬 충당케 한 공로로 선조로부터 통정대부(通政大
夫)직을 받게 됩니다.
이후 인목대비로부터 여러 번 술과 안주를 받게 되며
시문학에도 뛰어나 정업원(淨業院) 하류에 침류대
(枕流臺)를 짓고 시를 읊으며 당시에 쟁쟁한
사대부들과 교류하였지요. 노비 출신이지만 효성이
지극하고 주자가례에 통달하였으며 나라의 위태로
움에 발 벗고 나선 유희경은 장수하여 80살에 금강산
을 유람하고 92살의 나이로 숨을 거둔 보기 드문 천민
출신 선비요 학자였습니다.
- 옮겨온 글 중에서 -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