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후천적인 지식을 명확히 함.[주자(朱子)의 설]. 서술한 책으로서 그 내용은 삼강령(三綱領 : 明明德, 新民, 止於至善), 팔조목(八條 目 :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으로 요약된다. 팔조목 중 여섯 조목에 대해서는 《대학》에 해설이 나와 있으나 '격물' '치지'의 두 조목에 대해서는 해설이 없다. 그래서 송대(宋代) 이후 유학 자들 사이에 그 해석을 둘러싸고 여러 설이 나와 유 교 사상의 근본 문제 중의 하나로 논쟁의 표적이 되어 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송나라 주자(朱子 : 朱熹, 1130∼1200)의 설과 명(明)나라 왕양명(王陽明 : 王守 仁, 1472∼1528)의 설을 들을 수 있다. ① 주자의 설 : 만물(萬物)은 모두 한 그루의 나무와 한 포기의 풀에 이르 기까지 각 각 '이(理)'를 갖추고 있다. '이'를 하나하나 궁구(窮究 : 속 속들이 깊 이 연구함)해 나가면 어느 땐가는 활연(豁然 : 환하게 터진 모양)히 만물의 겉과 속, 그리고 세밀함[精]과 거침[粗]을 명확히 알 수가 있 다. ② 왕양명의 설 : 격물(格物)의 '물'이란 사(事)이다. '사'란 어버이를 섬긴 다던가 임 금을 섬긴다던가 하는 마음의 움직임, 곧 뜻이 있는 곳을 말한 다. '사'라고 한 이상에는 거기에 마음이 있고, 마음밖에는 '물'도 없고 '이'도 없다. 그러므로 격물의 '격'이란 '바로잡는다'라고 읽어야 하 며 '사'를 바로잡고 마음을 바로잡는 것이 '격물'이다. 악을 떠나 마음을 바로잡음으로써 사람은 마음 속에 선천적으로 갖추어진 양지(良知)를 명확히 할 수가 있다. 이것이 지(知)를 이루는[致] 것이며 '치지'이다. ※ 양지 : ① 배우지 않을 수 있는 타고난 지능. ② 양명학(陽明學)에서, 마음의 본체. [출전]《大學》<八條目>《柳河東集》 ......^^백두대간^^........白頭大幹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초보은(結草報恩) (0) | 2009.09.21 |
---|---|
견토지쟁(犬兎之爭) (0) | 2009.09.20 |
검려지기(黔驢之技) (0) | 2009.09.18 |
걸해골(乞骸骨) (0) | 2009.09.17 |
걸견폐요(桀犬吠堯) (0) | 200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