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에게 거문고 소리를 들려 주는 것과 같이 어리석은 사람에게 도리를 말해 도 조금도 이해하지 못하므로 헛수고라는 뜻임.
후한(後漢) 말기에 모융(牟融)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불교학 에 밝았는데, 유학자에게 불교를 설명할 때는 불전(佛典)이 아 니라 유학의 《시경》《서경》등의 경서를 인용했다. 유학자가 이를 책 하자 모융이 말했다.
"너희는 불전을 읽은 일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너희가 잘 알 고 있는 경서를 인용하는 것이다."
그리고는 공명의(公明儀)의 고사 를 인용했다.
"노(魯)나라의 공명의라고 하는 어진 사람이 하루는 소를 향해 거 문고를 켜 주었다. 그런데 소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계속 풀을 먹고 있었다. 소가 못 들은 것은 아니다. 청각(淸角)이라는 고상한 곡조는 소 귀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모기와 등애의 울음 소리와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의 울음 소리를 흉내냈다. 그러자 소는 꼬리를 흔들면서 발굽 소리를 내며 걸어다니고, 귀를 세우고 그 소리 를 다소곳이 들었다. 이는 소의 마음에 맞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내가 너희에게 《시경》을 인용하여 불교를 설명하는 것과 같은 것이 다."